‘수구지심(首丘之心)’이라 했던가? 교직에서의 남은 기간이 2년여를 남기고 보니 예전보다 더욱 고향을 향한 마음은 아쉬움에 가슴이 막막해진다. 필자는 고향 대전을 떠나 인천에서의 교직 타향살이가 35년이 훌쩍 넘었다. 1979년 명문 대전고를 58회로 졸업하고 국립사범대를 거쳐 청운의 꿈을 안고 교사가 되었다. 당시 고교 동문들은 5대 도시 고교평준화의 틈새를 파고들어 전통의 명문고로서 위상을 확고히 세웠다. 필자는 고교 3년간의 생활을 통해 공부의 속성을 잘 파악하게 되었다. 그리고 살아가면서 어느 분야든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며 이 사회의 동량(棟梁)으로 살아가는 동문들의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필자 또한 이 나라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담당하며 교육계에서 어떻게 사도(師道)를 실천할지를 숙고해 왔다.
누구에게나 빛과 그늘의 양면성이 있듯이 필자는 사교적이고 역동적이기보다는 과묵하게 자신의 위치를 고수하며 공부하기를 좋아하는 기질 탓에 교육자로서의 한정된 역할과 책임에만 집착해왔다. 그래서인지 안타깝게도 익숙한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비교적 오랜 기간 고립되어 살아왔다. 뜻있는 동료 교사들은 불혹의 나이를 경계로 자신의 진로를 재설계하고 보다 큰 뜻에 열정을 바쳐 제2의 인생의 출발을 맞이했다. 그들은 이제 안정된 위치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최근까지도 교실에서 학생들과의 시간에 기나긴 여정을 함께 했다. 그때는 그것만이 군자삼락(君子三樂)의 하나인 양 주위를 둘러보지 않았다.
어느 날 문득 고개를 들어 살펴보니 “뛰는 자 위에 나는 자가 있다”는 말이 저절로 다가왔다. 저만치 앞서 자신의 전문성을 쌓아가던 동료 교사들은 소위 교육 전문직(장학사, 연구사)의 길로 접어들어 맘껏 자신의 역량을 빛내고 있었다. 문제는 그들이 어느 시점부터 필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연민으로 변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비교의 시선을 의식하자 불행의 시작이 도래했다. 필자는 그 순간부터 의기소침한 상태에서 대인 기피증이란 악재를 만났다. 그래서인지 한때 인연이 깊은 동료들은 필자가 전공(영어교육)을 살려 미국으로 진출했거나 아니면 명퇴를 한 것으로 착각을 했다. 그만큼 대중 속의 고독을 즐기며 침잠의 상태로 근 10년을 살았다.
‘아프고 나면 성숙해진다.’고 한다. 우여곡절 끝에 관리자로서의 뒤늦은 입문과 교육에의 의지와 열정을 되살리면서 그동안 젊어서 고향 대전에서 교직에 봉직하지 못한 것이 내내 깊은 아쉬움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현업의 장소가 제2의 고향이랄까, 어디에서든지 아이들이 즐겁게 배우고 행복한 생활을 통해 성장하는 교육환경, 어느 누구도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서 공부 잘하는 아이는 심화학습으로, 다른 분야에 관심 있는 아이는 합당한 재능을 키워 사회와 국가, 세계로 나아가는 인재와 민주시민으로의 육성에 교육철학을 담고자 하였다.
필자는 4년 차 고교 교감으로서 세 가지 교육철학- 상호존중, 학생 성장, 전문성 향상-을 기치로 교장을 보좌하고 교무를 관리하며 학생을 교육하는 교감으로서의 과업을 실행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솔선수범하면서 관계지향적인 아날로그식 교직원 문화, 학생 개개인의 재능을 키우는 디지털 방식의 교육, 전문가로서 교사 역량을 더욱 발현하도록 지원하는 미래지향의 관리자가 되고자 한다. 꿈에도 기리던 필자의 고향에서 봉직하는 마음으로 애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한밭(大田) 출신의 넉넉한 자부심을 발휘하여 남은 교직에서의 삶을 더욱 가치 있는 삶으로 존재의 의미를 정립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