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여행] 여름, 조선왕릉 숲 산책

2021.06.22 09:38:56

황제릉 홍유릉 이야기

 

[박광일 여행작가·㈜여행이야기] 답사에서 무덤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 않다. 워낙 그 수가 많기도 하지만 한 사람의 삶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가볍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무덤 주인공이 왕이나 왕비라면 어떨까. 왕릉 답사라고 하면 자칫, 밋밋하게 생각하는 분들도 적지 않다.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유 중 하나인 ‘몇 세기에 걸친 전통을 잘 지킨 것’과도 역설적인 관련이 있을 것 같다. 왕릉이 대체로 비슷하다는 선입견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 90년대 이전 수도권에서 학교를 다닌 사람들이라면 서로 다른 왕릉으로 소풍을 갔지만, 그저 너른 잔디 공간이 있는 곳으로 기억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조선왕릉도 조금만 관심 갖고 보면 북한의 2기를 제외한 40기의 무덤이 모두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왕릉을 조성하게 된 내력이나 사연까지 알게 되면 각각의 왕릉은 전혀 다른 인상을 준다. 
 

조선왕릉 가운데 가장 특이한 곳은 어디일까. 능침의 석물이 모두 2세트인 헌릉(태종, 원경왕후)이나 세 개의 무덤에서 정자각으로 이어지는 신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목릉(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혹은 왕과 왕비의 무덤이 위·아래로 있는 영릉(효종, 인선왕후) 등을 떠올릴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가장 특이한 무덤은 아무래도 기존 왕릉과 전혀 다른 모습의 황제릉 형식을 갖춘 홍릉과 유릉이다. 이들 무덤은 일제강점기에 조성돼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편이다. 하지만 홍릉과 유릉 역시 조선왕릉 전통 속에 존재하며 무엇보다 많은 역사 사실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공간이다.
 

조선왕릉은 모두 많은 사연을 가지고 있다. 이장(천릉)한 무덤이 수두룩하며 생뚱맞게 왕과 왕비가 헤어지기도 하고 만나기도 한다. 홍릉 역시 복잡한 사연을 가졌다. 시작은 을미사변(1895년 8월 20일(음))이다. 일본 군인, 낭인의 경복궁 침탈과 왕비 시해는 엄청난 충격이었으며 무엇보다 조선 역사를 통틀어 생각할 수 없는 사건이었다. 그러다 보니 왕릉 조성 문제 역시 지체가 돼 두 달이 지나서야 겨우 장례 준비에 들어갔다. 왕릉이 들어설 장지는 지금 동구릉의 숭릉(현종과 명성왕후 무덤) 옆으로 결정됐다. 이름도 지금 알려진 홍릉이 아닌 숙릉이며 이때 왕비의 시호 역시 ‘명성’이 아닌 ‘순경’이었다. 그러므로 당시 왕릉 공사는 ‘순경왕후의 숙릉’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숙릉’ 공사는 금방 마무리돼 1896년에 접어들며 왕릉으로서 모습을 모두 갖춰 국장 날짜만 정하면 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1896년 2월, 아관파천 이후 고종은 갑작스럽게 숙릉 공사를 중단시켰다. 터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새로운 길지를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터를 찾아 나선 ‘간심단(왕릉 후보 장소를 찾는 관료와 지관)’은 27곳의 후보 장소를 선택했으며 논의 끝에 지금의 청량리 일대를 새 터로 정했다. 이때 능의 이름을 홍릉으로, 왕비의 시호는 문성으로 했다가 정조와 겹쳐서 명성으로 바꾸게 됐으니 ‘명성왕후의 홍릉’이 비로소 등장한 것이다. 
 

변경된 홍릉 공사는 1897년 2월, 경운궁(덕수궁) 환궁 이후 본격적으로 준비됐다. 그런데 이때 홍릉에는 이전에 볼 수 없는 건물, 즉 정자각(丁字閣) 대신 침전(寢殿)이 들어섰다. 이는 당시 고종이 사람을 시켜 중국 명나라의 황제릉을 조사하도록 한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결국 왕비의 장례는 대한제국 선포, 그리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이후인 1897년 11월 이후에 진행돼 ‘명성왕후’가 아닌 ‘명성황후’로서 치러진 행사가 됐으니 격이 달라진 셈이다. 이렇게 해서 청량리에 ‘홍릉’이 들어섰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홍릉 석물에 문제가 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다른 조선왕릉에서도 가끔 일어나는 일이니 특이한 일은 아니었다. 석재를 다른 곳에서 옮겨 와 다시 석물을 만드는 작업에 들어갔다. 공사는 대략 1900년 1월에 마무리됐다. 그런데 새로 제작한 석물을 홍릉에 설치할 때 이르러 고종은 뜻밖의 명령을 내렸다. 홍릉의 재변경을 요구한 것이다. 배경에는 홍릉이 길지가 아니라는 상소를 받아들여 새로운 능역을 물색하는 것이었지만 다른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홍릉이 들어갈 새 장소를 찾는 것과 동시에 홍릉에 자신이 묻힐 무덤(이렇게 살아서 자신의 왕릉을 준비하는 것을 수릉이라고 한다)도 같이 만들라는 것이었다. 이미 홍릉에 침전이 들어섰지만 황제릉의 격식을 갖췄다고 보기에는 미흡하다고 본 것은 아닐까. 그런 점에서 고종의 명은 단지 홍릉의 이전을 넘어 황제의 지위에 어울리는 무덤을 만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시 간심단이 26곳의 길지를 살핀 뒤 최종적으로 결정된 곳이 지금 홍릉이 들어선 남양주 금곡이다. 이때 조성될 무덤은 침전만 달라진 청량리 홍릉과 달리 명 황릉의 모습을 참고해 만들고자 했다. 예를 들어 능침에 있던 문석인과 무석인, 석마 등은 모두 침전 앞으로 옮기고 별도로 다른 동물, 기린과 해치, 코끼리와 사자, 낙타 등 동물을 조각한 석물을 배치했다. 또 이전 왕릉에서는 능침 부분만 곡장을 둘러쌌다면 새로 조성한 무덤은 능역 전체를 담장으로 둘러싸 이전 조선왕릉의 전통과 사뭇 달라진 모습으로 바뀌었다.
 

다만, 무덤의 규모나 동물에 대한 의미 등이 중국과 다르다. 홍릉의 경우 기린-코끼리-사자-해치-낙타-말의 순서지만 명의 경우 말-기린-코끼리-낙타-해태-사자의 순으로 돼 있다. 조선에서는 기린을 가장 신성하게 여겼는데, 명에서는 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통이 있어 능침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한 것이다. 대신 홍릉의 경우 무석인과 문석인 옆에 말을 배치하던 전통과 관련 있어 보인다. 그래서 말의 크기가 다른 동물에 비해 작은 모습으로 조각돼 있다.
 

 

1900년 8월 이후, 홍릉을 옮기는 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나 또 논란이 일어 인근의 군장리가 풍수적으로 낫다고 해 그곳에 공사를 했다. 1901년 5월, 다시 금곡이 낫다고 해서 왕릉 조성 사업이 진행됐다. 이런 과정에서 홍릉을 옮기는 시일이 지체됐는데 길일을 정하는 과정도 10여 차례 연기되며 1903년까지 홍릉의 이전 및 고종의 수릉 공사는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대한제국의 상황이 좋지 않아지며 금곡에 홍릉을 옮기는 일은 마무리를 못하고 멈추게 된다. 다만 침전이며 재실, 비각, 그리고 석물을 세울 수 있는 주춧돌, 연못 등 18만 평에 이르는 공간에 거의 대부분의 시설이 들어선 상태였다. 
 

그러던 중 1919년 1월, 고종이 승하하며 국장 준비가 진행됐다. 이 시기는 일제에 국권을 빼앗긴 지 10여 년이 지난 상황이었으니 책임 기관은 일본 궁내청이었으며 조선 궁내부 아래 ‘산릉주감’을 설치해 진행하기로 결정됐다. 장례 방식 역시 변칙이 적용됐다. 고종의 국장은 덕수궁에서 훈련원(당시 장례식장)까지는 일본식, 훈련원에서 장지까지는 조선식이라는 기묘한 형식으로 진행됐다. 다만 장지의 경우 생전 고종의 유훈을 받들어 순종이 금곡으로 홍릉을 옮겨 합장하라고 명하며 신속하게 결정됐다. 
 

이에 따라 2월 초, 홍릉의 이장(천릉)이 시작됐으며 1월 말 고종의 재궁(관)이 들어갈 공간 마련에 들어가게 됐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임에도 고종은 홍릉이란 능호를 갖게 됐으니 어떤 면에서는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릉에서 왕비의 무덤이 먼저 만들어지고 왕이 들어가는 경우 능호를 다시 받는 경우도 있지만 그대로 따르는 경우도 많은 편이니 어색한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 당시 이태왕으로 격하됐던 고종으로서는 따로 능호를 정하는 것이 애매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청량리의 홍릉을 옮겨 같이 묻히게 되며 능호를 정하는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된 것이다.
 

지금 홍릉의 석물 중 혼유석을 포함한 능상의 석물은 모두 홍릉에서 옮겨온 것이며 침전 앞 문무석인과 동물조각은 연구자에 따라 조금 의견이 다르지만 앞에서 본 것처럼 1899년에서 1904년 사이에 제작된 것을 세웠다. 이들 조각을 1919년 당시의 것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일본이 굳이 황제릉의 격식을 갖춰 제작하는 것을 지원할 일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홍릉의 존재를 참고해 1926년, 순종이 승하하며 역시 서울 뚝섬에 있던 순명효황후의 유릉을 홍릉 옆에 조성하며 역시 황제릉의 격식을 갖추게 됐다. 
 

다만 능역 석물에 있어 홍릉까지는 우리 왕릉 전통을 이은 조각이지만 유릉의 석물은 일본 조각가 아이바 히코지로와 기노시타 다몽의 손이 닿았다. 이들 조각은 홍릉과 달리 해부학적으로 정리된 모습을 보여줘 지금 보기에는 훨씬 자연스럽다. 다만, 본래 조선왕릉의 석물 제작 전통과 거리가 있으며 무엇보다 우월한 조각 기법을 통해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보여주려는 불순한 의도가 있다는 점에서 편하게 보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금곡의 홍릉은 복잡한 내력을 갖추고 있다. 왕릉에서 황제릉으로의 변화, 나아가 조선 후기, 대한제국 시기 복잡한 정치 구도 속 명성황후가 갖는 의미를 생각할 때 고종의 정치적 의도도 생각하게 한다. 대한제국의 성립에 따른 조선왕릉 능제의 변화도 읽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홍릉, 유릉은 당시 역사를 상상하며 산책하기에 좋은 장소가 될 것 같다. 

 

박광일 여행작가·㈜여행이야기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