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탄하는 말

2023.03.06 10:30:00

어린이들이 신나고 즐거울 때 자연스럽게 튀어나오는, 한 음절의 감탄사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개는 ‘와!’라고 대답한다. “와! 정말 신난다”라고 한다는 것이다. 어린이들 자신도 그렇게 대답하고, 조사하는 선생님들도 동의한다. 어린이만 그런가. 어른들도 모두 ‘와!’라고 말한다. 그런데 1980년대만 해도, ‘와!’라는 감탄사는 일반적이지 않았다. ‘와!’라는 감탄사보다는 ‘야!’라는 감탄사가 우리의 주류 감탄사였다. 실제로 여름방학이 시작되는 날 교문을 나서며 함박웃음을 짓는 어린이들 얼굴을 신문 1면에 큰 화보사진으로 올리는 일간지들은 이 사진의 설명으로 “야! 신나는 방학이다”라는 문장을 대문짝만하게 실었다. 지금은 이 ‘야!’라는 감탄사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잘 안 쓰게 된 것이다.


그 연유는 이렇다고 한다. 그 무렵 각종 만화산업이 번창했던 경제 선진국 일본은 일본만화책의 대량 인쇄를 인쇄비용이 저렴한 한국의 인쇄업소에 대량 발주하였다. 이 바람에 개발도상국이었던 한국의 인쇄소들은 모처럼 호경기를 누렸는데, 부작용도 있었다. 이때 인쇄소 작업과정에서 빠져나온 일본만화들이 한국어로 졸속 번역되어 국내 만화시장에 나돌았다고 한다. 저작권 제도와 인식도 부족했던 시절이었다. 더구나 국내 만화책 시장은 일반도서와는 달리, 그 출판과 유통·보급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았다. 한국어로 번역(안)한 일본 만화책이 일종의 해적판처럼 나돌게 되었는데, 여기에 빈도 높게 등장하는 일본어 감탄사가 ‘와!’이었다. ‘와!’를 우리말로 번역하면서도 ‘야!’로 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던 것이다.


나도 어릴 때 경험이 있지만, 어린이들은 감탄사를 인생살이에서 체험으로 배우기보다는 만화책에서 먼저 배운다. 만화 주인공에 이입되면 될수록 그가 감정의 극단에서 발하는 모든 감탄사는 그대로 나의 감탄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예나 지금이나 매력을 주는 만화는 스토리도 중요하지만, 캐릭터(인물)에서 승부가 나야 한다. 그리고 그 캐릭터는 독특한 감탄사를 구사하는 개성이 있어야 한다. 해적판 일본만화의 온갖 주인공이 내뱉는 일본어 감탄사인 ‘와!’가 얼마나 수없이 등장했겠는가. 그때마다 이 감탄사들을 열심히 따라 하며, 이를 조금씩 정서적으로도 내재화하였을 것이다. 이들 만화책의 영향이 얼마나 컸는지, 이때부터 우리 고유의 신명 감탄사 ‘야!’는, 일본의 감탄사인 ‘와!’에 점차 자리를 내어주었다. 


언어는 사회적 산물로서 그 형태나 의미가 부단히 변한다고는 해도, 우리말 감탄사 ‘야!’가 ‘와!’에 몰려난 사정은, 나 같은 사람으로서는 아쉽다. 감탄 언어를 발화했을 때 작용하는 의미의 심층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야!’와 ‘와!’ 사이에 어떤 의미의 단층이 있을까. 나는 그게 어렴풋이 짚어지기는 하는데 논리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제는 ‘와!’ 또한 우리말 감탄사의 영토에 확실하게 들어 온 셈이라고 해야 할까. 


젊은 세대들의 언어 사용 기준에서 보면, 우리말 감탄사이면서도 점차 사라지는 모습을 보이는 감탄사도 물론 있다. 그리고 그 자리를 영어식 감탄사가 들어오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좋아!’의 자리를 ‘오예!’가 들어오거나, ‘맙소사!’가 사라지려는 자리를 생짜배기 영어 감탄사 ‘Oh My God!’이 기웃거리는 것이 그 예이다. ‘이런!’, ‘아뿔싸!’ 등의 고유어 분위기가 아름다운 감탄사 대신에 굳이 ‘Oops!’ 따위의 영어 감탄사를 들이대는 풍조는 가볍다 못해 저렴하다는 생각이 든다. 

 

좋은 감탄사를 찾아서, 가능하면 좋은 의미로 좋은 상황을 만들어 쓰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우리가 잘 모르는 우리 고유의 감탄사 가운데는 선하고 아름다운 기원이 은연중에 담겨 있는 말들이 있다. 그동안 잘 사용하지 않아서 현대인에게는 낯설게 다가올지 모르겠지만, 부활하여 사용하면 어떨까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런 아름다운 고유의 감탄사를 작가들 특히 아동문학 작가들이 많이 발굴하고 전파해 주기를 기대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감탄사 어휘 약 880여 건 중 우리가 처음 듣거나 아직 모르는 말이 많다. “개치네쒜!”라는 감탄사를 아시는 분이 얼마나 있을까. ‘개치네쒜’는 재채기를 한 뒤에 이어져 내는 소리를 모방하여, 이를 감탄사로 활용하게 된 것이라 한다. 그러니까 누군가 큰 재채기를 했을 때, 좌중에 있던 사람이 재채기를 한 사람에게 “개치네쒜!”하고 건네는 순우리말 감탄사이다. 영어로 치면 ‘Bless you’와 비슷한 의미기능을 한다고 보면 된다. 재채기를 한 사람에게 ‘감기가 들어오지 못하고 물러가라’는 염원을 담아 건네는 말이다. ‘개치네쒜!’와 비슷한 감탄사로는 ‘에이쒜!’가 있다. ‘에이쒜!’ 같은 감탄사는 나도 옆에서 누군가 재채기를 하면, 이 말을 건네 보았던 기억이 있다. 


“얄라차!”라는 감탄사는 무엇인가가 잘못되었음을 이상하게 여기거나 어떤 것을 신기하게 여길 때 쓰는 감탄사다. ‘얄라차(알라차)!’는 이상함을 느낄 때 내는 소리인 ‘알라’와 무엇이 잘못된 것을 갑자기 깨달았을 때 하는 말인 ‘아차’를 아울러 이르는 감탄사이다. 경쾌함을 느낄 때 내는 소리라고 풀이되어 있다.


“어뜨무러차!”는 어린아이 또는 무거운 물건 등을 들어 올릴 때 내는 감탄사다. 조금 무거운 물건을 반짝 들어 올릴 때는 “아카사니!”라는 감탄사를 발했고, 매우 무거운 물건을 번쩍 들어 올릴 때는 “이커서니!”라는 감탄사를 썼다. 또 노래를 부르면 즐거울 때는 “데루화!”나 “에루화!”라는 감탄사를 사용했다. 미운 사람의 불행을 고소하게 여길 때 내는 “잘코사니!”도 낯설지만 재미있는 우리말 감탄사이다(매일신문 2019.5.6. 참조).

 

‘감탄(感歎)’은 깊이 감동하여 크게 찬탄(讚歎)함을 뜻한다. 다시 ‘찬탄(讚嘆)’을 찾아보면, 찬양하여 감탄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시 ‘찬양(讚揚)’을 검색하면, 훌륭함을 기리고 받들어 올림으로 풀이하고 있다. 글자 뜻 그대로만 보면, 감탄이라는 말은 ‘감동’이라는 뜻과 ‘찬양’이라는 뜻에 그 의미가 걸쳐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서 그 어떤 대상을 경이롭게 느끼고, 기리고, 그걸 정서적 언어로 드높이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의미의 감탄사는 자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물론 문법적으로 보면, 감동과 찬양의 의미를 담은 말만이 감탄사에 속하지는 않는다. 감정을 토로하는 독립어 성분의 말은 모두 감탄사이다. 따라서 화날 때 내뱉는 외마디 욕설, ‘썩을!’도 감탄사이고, 짜증 날 때 내는 ‘아이 씨!’도 감탄사이고, 누군가를 저주할 때 하는 ‘죽어!’ 같은 말도 감탄사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원래 감탄의 좋은 뜻, 즉 그 어떤 대상을 경이롭게 느끼고, 그래서 기리고, 그걸 정서적 자질이 풍성한 언어로 드러내는, 그런 감탄사를 주목해 보자는 것이다. 그렇게 좋은 감탄의 말을 하는 것은 심리적 과정이기도 하고, 대화적 과정이기도 하고, 언어적 과정이기도 하다. 이 과정이 우리를 선하게 성숙시킨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을 ‘감탄사(感歎詞)’로 하지 않고, ‘감탄하는 말’로 잡은 것이다.


링컨은 아홉 살 때 어머니를 잃고 가난한 농사꾼 아버지 밑에서 틈틈이 공부했지만, 누구보다 빨리 배웠고 제대로 이해했다. 그의 주변에서는 링컨의 재능을 ‘감탄의 언어’로 인정해 주었다. 아버지의 농사를 돕지 않아도 되는 날만 학교에 나왔지만, 그래도 일등을 했다. 입학한 첫날부터 친구들은 링컨의 경이로운 기억력에 ‘감탄하는 말’을 쏟아놓는다. “최고의 기억력”,  “신묘하기 그지없는 암기력” 등으로 찬탄한다. 계모 세라 또한 감탄의 칭찬으로 소년 링컨을 돌보며 이렇게 남겼다. ‘링컨은 마음에 와닿는 구절을 보면, 종이가 없을 경우는 종이를 구할 때까지 판자에 그 구절을 써 두고 외우고 또 외웠다.’ 


링컨의 전기를 쓴 데이비드 도날드는 링컨이 궁핍한 환경에서도 확고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주변의 인정이었음을 말한다. 그 인정의 구체적 모습은 밝은 ‘감탄의 말’이었다. 소년 링컨은 친구들이 보내 준 ‘감탄의 인정(認定)’을 지적인 방식으로 갚으려 하였다. 그것은 자신이 읽은 책이나 탐구한 내용을 친구들에게 이야기해 주는 방식이었다. 이는 링컨을 리더로 성장하게 하는 바탕이 되었다(<혼돈의 시대 리더의 탄생>, pp.24~30 참조). 좋은 감탄사가 사람을 얼마나 기쁘게 북돋는 말인지를 새삼 느낀다. 가르치면서 ‘감탄의 말’로 다가가기를 스스로 권해 보았으면 한다. 더구나 삼월은 새 교실에서 새 학생들을 만나는 달이 아닌가.
 

박인기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한국독서학회 고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