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와 교생실습을 거치며 다짐한 ‘수업과 아이들에게 최선을 다하는 선생님’은 현실에서 쉽게 달성하기 힘든 목표였다. 수업 준비할 틈을 주지 않는 각종 잡무, 매일 발생하는 학생간 다툼, 교사에게 윽박지르는 학부모, 교사를 개혁 대상으로 삼는 사회적 시선 등 어느새 우리나라 학교는 교사를 위축시키는 장소가 됐다. 만약 교사가 되기 전 이러한 현실을 미리 알았다면 교직에 발을 들여놓지 못했을 것이다.
교사 역량 낭비하는 학교 현실
놀랍게도 현재의 학교는 교사에게 행정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쏟게 하면서 동시에 수업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교사에게 부과되는 잡무가 많아질수록 많은 사회적 비용을 들여 양성한 전문직 교사의 역량을 낭비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왜 깨닫지 못하는 것일까.
또 교육 현장은 매서운 칼바람이 몰아치는 겨울과 같다. 1년이라도 젊을 때 얼른 교직을 떠나 다른 직장으로 옮기자는 목소리도 들리지만, 평생 꿈꾼 교사의 모습을 미처 꽃피우지 못하고 떠날 수는 없다는 오기가 생겼다.
처음에는 개인의 노력으로 왜곡된 현실을 뛰어넘을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행정업무를 마치고 나서도 수업과 아이들에게 소홀히 할 수 없다는 다짐으로 매일 밤 9~10시까지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자료 제작, 교재 연구, 각종 연수 수강, 학급경영 연구를 이어갔다. 지친 몸을 이끌고 퇴근한 후에도 편히 잠들지 못하고 새벽 5시에 일어나 바로 또 교재 연구를 이어갈 정도로 극한으로 밀어붙이는 일을 반복했다. 그러나 지나친 과로는 몸에 경고등이 들어오게 했다. 개인 노력으로 ‘좋은 선생님’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와 같다는 것을 그제야 깨달았다.
그때부터 교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교사가 전문직인가’를 주제로 토론을 하면 늘 자조적으로 지금 우리는 전문직이 되고 싶을 뿐 전문직이 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곤 했다. 변호사가 법보다 다른 일에 더 관심이 많다면, 의사가 치료보다 다른 일에 더 관심이 많다면 우리는 그들을 신뢰할 수 있을까.
전문가로서 자부심 가질 기회
교사가 전문가로서 성장하기 위해 혼자만으로는 버겁다. 그래서 교총이 필요하다. 학교와 교육을 살리기 위해 뜨거운 마음으로 머리를 맞댈 수 있는 선생님들이 이곳에 있다. 전문가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교총 가입은 더 이상 고민할 필요없는 선택지이며, 연대해야 할 공간으로 판단됐다.
공교육이 무너졌다는 말이 심심찮게 들린다. 하지만 공교육이 단 한 번이라도 올바르게 선 적이 있었던가? 교사 개인이 바꿀 수 없는 현실의 벽이 여러 선생님을 너무나 오랫동안 억눌러 왔기에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날 용기를 내는 것은 너무나 힘든 일이었다.
전문직 교원단체인 교총을 통해 현실의 벽을 넘어 ‘교육의 봄’을 맞이할 날을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