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란 세계 최대 인공지능 연구소인 오픈AI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채팅 서비스를 뜻하는 말이다. 챗GPT가 화두가 되면서 사회 전반에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교육 현장에서도 이와 관련된 대응과 올바른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역량평가로의 전환 필요해
챗GPT는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 사회가 현재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AI 기반 지식·정보 사회로 진입할 것을 예고하고 있다. 고든 무어가 ‘무어의 법칙(Moore’s law)’에서 이미 언급한 대로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이 24개월마다 2배로 늘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새롭게 생성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지식과 암기, 상급학교 진학 혹은 취업 목적에 제한된 학습 틀에 갇힌다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어려울 것이다. AI 기반 사회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음의 3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챗GPT로 촉발된 AI 기반 사회에서는 학문과 학제 간 상호 융합과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현행 교과목 편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초를 쌓고 이후 학문의 발달에 따라 점차 체계화된 것이다. 지식 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창의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현행 교과목 편제에만 갇힌 수업이 오히려 방해될 수 있다. 지금도 일선 학교에서는 ‘음악 속에서 수학 원리 찾기’, ‘미술로 알아보는 산업혁명 역사’ 등 다양한 융합 수업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수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행정 및 제도적 지원과 뒷받침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 현장은 학생들의 ‘역량’을 기르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의 전환을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또한 평가 역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에 근거해 ‘역량평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역량(competency)’이란 자신이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실제 생활에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 말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사는 삶의 공간, 혹은 자신과 관계된 주제와 관련해 학습할 때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실과 괴리된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디지털 리터러시를 바탕으로 지식과 정보를 분별하고 친구들과 협력적으로 의사소통하며 사회와 공동체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함께 힘을 쏟는 교수‧학습과 평가로의 체제 전환이 요구된다.
독서와 글쓰기 더욱 강조해야
셋째, AI 기반 사회로 급속히 전환될수록 인간 고유의 능력인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독서와 글쓰기 수업은 더욱 강조돼야 한다. ‘사색’보다는 ‘검색’이 익숙한 세대에서는 진지한 탐구와 깊은 사고 및 성찰의 과정보다 수동적 학습자의 테두리에 갇히기 쉽다. 학교는 비판적·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기 자신과 사회 공동체에 필요한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참된 배움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읽고, 생각하고, 쓰고, 생각을 나누는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 AI 시대일수록 더욱 중요하다.
미국은 20여 년 전 인종 간 학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No child left behind(NCBL)’ 정책을 실시한 바 있다. 말 그대로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정책이다. 우리도 AI로 대변되는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 역량평가가 확대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