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에 휩싸이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세상과 나를 보면서 스스로 다독이는 것’.
안광복 서울 중동고 교사는 ‘철학함’을 이렇게 정의했다. 우리나라에 30명밖에 없는 철학 교사 중 한 명이자 임상 철학자다. 27년째 고3 학생들에게 ‘철학함’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철학 수업 시간을 ‘작전 타임’이라고 말한다. 누구에게도 털어놓지 못했던 속살의 아픔을 이야기하면서 자신의 가치관, 삶을 튜닝하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입시를 앞둔 고3 학생들과 철학 수업이 제대로 되겠느냐고 물어요. 오히려 잘 됩니다. 누구나 스트레스는 쌓이잖아요. 대개 게임을 하거나 노래를 들으면서 기분을 전환하는 데 그쳐요. 철학은 현재의 힘듦을 이겨낼 수 있는 ‘정신의 근력’을 키워줍니다. 친구끼리 서로 격려하고 장점을 칭찬하면서 좌절과 실패의 경험을 성장통으로 생각하도록 시야를 열어주는 거죠.”
그의 철학 수업은 교실 밖에서도 이어진다. 그동안 쓴 철학 교양서만 20권이 넘는다. 어렵고 난해한 철학을 쉽고 간명하게 풀어내 독자층도 두껍다. “철학이라는 무거운 덤벨을 잘게 쪼개서 무게는 덜어주고 정신의 근력은 기르게 돕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처음 읽는 현대 철학>을 펴냈다. 난해하다고 알려진 현대 철학을 꺼내든 이유는 무엇일까. 안 교사는 현대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로 ‘소음’이 너무 많아 그 안에 숨겨진 ‘진짜 정보’와 ‘본질’을 가려내지 못하는 현상을 꼽았다. 소음 사이에서 정보와 본질을 가려낼 지혜가 현대 철학이라고 설명했다.
현대 사회의 문제가 복잡해지고 어려워진 것처럼 요즘 학교의 모습도 크게 다르지 않다. 교사들은 교권이 땅에 떨어졌다고 하소연하고, 학생과 학부모는 공교육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안 교사는 “21세기 교사의 가장 큰 화두는 ‘자아 회복력’인 것 같다”고 했다.
“아이들에게 헌신하겠다는 마음을 디폴트라고 했을 때, 그럼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느냐. 자기 자신부터 챙겨야 해요. 교직 생활에서 가장 도움 되는 말이 선배 선생님이 늘 하시던 ‘너부터 챙겨’였어요. 교사가 행복하지 않은데, 어떻게 애들이 행복하겠느냐는 거였죠. 학교 현장에서 깨지고 무너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더 나아질 수 있을 것인가’ 묻고 공부하면서 스스로 강해져야 합니다.”
교사의 ‘철학함’도 강조했다. 먼저 초심을 돌아보고(나는 어떤 교사가 되고 싶었나) 현재 자신을 진단(어떤 교사가 돼가고 있는가)한 후 목표를 재설정(바람직한 교사는 어떤 교사인가)하는 것을 말한다. 그는 “마땅한 때에 마땅히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근본을 놓치지 않는 일, 이것이 교사로서 소음 속에서 정보를 가려내는 지혜”라고 귀띔했다.
“철학은 나침반입니다. 궁극적인 목적을 보여주거든요. 늘 ‘왜 교사가 됐는지’를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요즘 학생들이 많이 쓰는 말, 꺾이지 않는 마음이 중요해요. 이 마음을 매 순간 벼려야 합니다. 하루 1시간 정도는 자신을 벼리는 시간으로 투자했으면 좋겠어요. 제 경우에는 매일 3시간 철학을 공부하는 거고요. 명상이든, 연구 모임이든, 뭐든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