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신문 파리(프랑스)=한병규 기자] "전쟁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비롯되므로 평화의 방벽을 세워야 할 곳도 인간의 마음속이다."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헌장의 첫 줄에 담긴 메시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평화와 인류발전에 있어 교육·문화적 측면에서의 기여를 위해 1945년 탄생한 유네스코의 정신이 한눈에 드러난다.
대한민국은 이런 유네스코의 대표적인 수혜국이다.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를 교육으로 일어서도록 도와준 곳이 유네스코였다.
1950년 6월 14일 유네스코 55번째 가입국이 된 한국은 11일 만에 나라 전체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렸다. 유네스코는 총회를 열어 한국에 대한 긴급 원조에 나섰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의 어린 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하지 않고 배움의 꿈을 이어갈 수 있게끔 교과서 인쇄공장 건립을 지원해 준 것이다.
지난달 27일(이하 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 방문하자마자 로비에서 취재진의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온 전시물은 한글로 ‘자연’이라고 표기된 1956년도 교과서였다. 초등학교 4·5학년 용으로 각각 1권씩 전시됐다.
이 전시물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2012년 기증한 것으로 직접 학습했던 교과서기도 하다. 당시 반 전 총장은 "우리가 이 교과서로 공부한 덕분에 오늘날의 한국이 있다"고 말했다.
반세기 전 뿌렸던 교육의 씨앗이 세계 10위 경제대국의 열매로 돌아왔다는 점에서 유네스코 역시 큰 의미를 두고 있다. 단순한 교과서 한 권이 아닌, 유네스코 업적의 상징이나 다름없다.
이날 유네스코 관계자들은 "이제 한국은 유네스코 내에서도 많은 도움을 주는 국가"라며 잇따라 고마움을 표했다.
2022~2023년 회기 유네스코의 정규예산 5억3460만 달러 중 한국이 내는 분담금은 1770만 달러로 193개 회원국 중 8위에 해당한다. 지난해 자발적으로 낸 공여금 순위로 따지면 2400만 달러로 회원국 중 5위다.
단 58개 회원국에 주어지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는 주요 사업 및 행정 사안에 대한 제안, 심의 및 결정 권한을 갖는 핵심 의사결정 기구다. 한국은 2007년부터 4회 연속으로 집행이사회 이사국을 수임하고 있다. 1987년 첫 선출 이래 2003~2007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 내내 총 8선을 이뤄냈다. 그동안 유네스코 내에서 양질의 교육 기회 증대, 문화유산 보호 등을 위해 기울여 온 노력 등을 회원국들로부터 인정받은 것이다.
특히 ‘한강의 기적 DNA’를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가로 옮기기 위한 한국의 원조사업에 대해 유네스코는 남다른 관심을 보인다. 도움받던 나라에서 도와주는 나라가 된 사례는 전 세계에서 유례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유네스코를 대표하는 또 하나의 상징이다.
마티유 구에벨 홍보국장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단위 2단계로 진행한 ‘아프리카 직업기술교육(BEAR, Better Education for Africa’s Rise)’ 사업은 한국의 재정 및 인력 지원 덕분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한국은 2단계 사업에서 정보통신기술(ICT) 혁신을 통한 교육 개발에서 큰 성과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샤크룬 보렌 평생직업교육국장은 "교사들을 위한 ICT 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에 대한 디지털 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며 "7400명의 교사와 8만500여 명의 학습자에게 혜택을 줬다"고 설명했다.
곧 진행될 ‘베어 3단계 프로젝트’에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도 참여해 한국의 경험, 전문성을 전파할 예정이다.
유네스코 측은 역점사업인 세계시민교육에 있어서도 한국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교육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 때 사회과 선택 과목 내 ‘세계지리’를 ‘세계시민과 지리’로 변경했고, 선도교사를 선발하는 등 확산 기반을 꾸준히 조성하고 있다. 리디아 루프레히트 평화지속가능발전국 전문관은"한국은 주도적 역할을 초기부터 선점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 ‘태극기 휘날리며~’
5년 전 개관 인기리 운영
한류열풍 전진기지의 장
전 세계에서 모인 1만여 명의 학생들이 다국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미래의 국제 전문가를 꿈꾸는 파리국제대학촌, 그곳에 지난 2018년 들어선 한국관이 한류열풍의 또 다른 진원지가 되고 있다.
지난달 28일 윤강우 주프랑스 한국교육원장 겸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장은 현장을 방문한 취재진에게 "한국관은 한국어 교육 및 한류 확산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해외 유학생을 우리나라로 유치하고자 하는 전진기지로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라 인기가 높고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높다. 윤 관장은 "쾌적한 환경을 자랑하는 데다 한류열풍 등 영향으로 외국 학생들이 서로 입주하려고 줄을 서는 기숙사"라고 귀띔했다.
한국관 준공 전 1967년 ‘인도관’이 마지막 국가 주도 건립 건물이었다. 이렇다 보니 한국관은 40년 이전의 건물과 사뭇 다른 세련미를 뽐내고 있다.
현대적인 아름다움에 실용적이고도 정서적 면을 충분히 고려한 디자인이라는 평이다. 숙소 외에도 스터디룸, 미술·음악작업실, 세탁실, 체력단련실, 공연장, 식당, 편의점 등 시설들이 완비됐다.
편의점에는 한국 편의점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한 제품들이 망라돼 외국 학생의 눈길을 끈다. 공용부엌에는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라면조리기가 비치되는 등 곳곳에 ‘한국적’ 색채가 스며들었다.
월 600~700유로(80~90만원) 수준의 이용료는 파리 시내의 거주비에 비하면 절반 정도다.
이날 한국관에서 만난 독일 출신 라파엘라 쾬러(25·파리 1대학 판테온-소르본 법학 석사과정) 씨는 "한국관은 최신식 건물인데다 2층에 정원이 있는 구조가 마음에 들었다.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측면이 있다"며 "한식을 좋아하고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어 더욱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프랑스와 독일 양국 법을 공부하고 있는데 서로 다른 것 같은 국가의 법이지만 공통점은 있다"면서 "기회가 된다면 한국에서 법 공부를 하고 일도 갖고 싶다"고 덧붙였다.
교육시설이지만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K컬처의 장’이기도 하다. 매년 본부 주관 축제 때 다국적 학생들로 구성된 K팝 댄스팀 공연(사진), 한국영화 상영, 한국음식 맛보기, 한복 체험 등이 열리고 있다. 이렇다 보니 교민 사회에서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은 한국문화 행사의 중심지로 통한다.
한국관은 지난 2011년 한·불 정상회담 당시 프랑스 측에서 건립을 제안해 2018년 준공됐다. 지상 9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에 250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다.
이 중 70%에 해당하는 175명은 한국 학생이, 30%인 75명은 외국 국적 학생으로 채워진다. 이는 파리국제대학촌의 운영 방식이다. 28곳인 국가관 이외 국적의 학생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학생 역시 국가관이 없을 때 이런 방법으로 기숙사촌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제는 우리가 장소를 제공하는 셈이다.
파리국제대학촌은 1차 세계대전 직후 세계 각국 젊은이들 간의 교류를 통해 전쟁의 상처를 극복하자는 취지로 1920년 프랑스 교육부 주도하에 조성된 다국적 기숙사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