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 세상을 바꾸려면

2023.07.03 15:57:56

1900년 초 인도의 수상이자 철학자였던 마하트마 간디는 리더(Leader)들이 해서는 안 될 7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이 원칙들은 우리의 삶과 교육에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그중에서 “인간성 없는 과학(science without humanity)”과 “인격 없는 지식(knowledge without integrity)”, 이는 교육이 가장 경계해야 할 사항으로 지적할 수 있다.

 

기술이 발달하면 할수록, 융합적 기술이 활성화되면 될수록, 상업주의나 경쟁 원리에 빠져 자칫 인간성 없는 과학 발전과 인격 없는 지식이 횡행하기 쉽다. 과학과 지식은 인간을 위해 필요한 것이고 인간의 삶의 질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은 오직 인간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나 상업주의적 이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확산은 “인격 없는 지식”에 의한 “인간성 없는 과학”을 발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미래학자들은 제4차 산업사회가 가져다줄 인간 소외와 인간의 정체성 상실, 그리고 양극화 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왜냐면 양심과 인격이 빠진 지식은 결코 산지식이 될 수 없고 윤리와 인간성이 배제된 과학은 인류를 위한 진정한 과학이 아니라 인간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급격하고 총체적인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인재상을 요구하고 새로운 교육의 틀이 필요하다. 이는 무엇보다도 인공지능(AI) 로봇과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에 따른 인류의 삶에 미치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 인간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인간성을 되찾는 교육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예컨대 취업지망생을 위한 AI 면접관, AI 교사와 의사, 약사의 등장에 인간의 위상은 어떻게 될 것인가를 보라.

 

미래의 교육은 단순한 지식 암기의 교육이나 내일을 준비하는 교육이 아니라 현재 곧, 적응해야 하는 융합 창조성 교육이 주가 되어야 한다. 여기엔 빅 데이터와 AI의 발전이 가공할 정도의 총체적 삶의 변화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인식에 기반해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 볼 때 이미 우리 교육은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교육, 인간의 본질을 찾는 교육, 더불어 살 수 있는 섬김의 교육, 그리고 직업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는 능력 면에서 위기에 처해 있다.

 

새로운 인재상에 필요한 능력은 종합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융합 능력, 통찰력, 호기심, 도전정신, 협력하는 협동 정신, 도덕상 그리고 함께하는 삶의 자세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앞서가는 교육 선진국인 이스라엘이나 북유럽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 시스템의 주된 항목이다. 이것이 우리에게는 학습 방법의 대변혁은 물론 교육과정의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운영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현대는 급격히 변화하여 준비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변화가 일어나는 시대이다. 이에 우리 교육은 그 변화를 따라잡을 수 있는 창의적이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교육해야 한다. 미래의 학교 교육은 학습자의 학습자원 센터 역할로 변화하고 교사는 학습 촉매자(facilitator)와 학습 보조자(helper)의 역할로 변화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결국 암기에 의한 입시 인간형 교육은 이제 빠르게 폐기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이제는 세상이 교육을 바꿔왔던 지금까지의 우리 교육 방식은 멈춰야 한다. 대신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대문명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재 양성의 역할을 시행해야 할 때이다. 왜냐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을 새롭게 하고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가치와 새로운 태도를 형성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경계 없는 학문과 과학기술의 세계, 그 중심에는 언제나 인간다운 인간이 있을 때 가능하고 이는 교육이 담당해야 할 시대적 사명이기도 하다.

 

 

전재학 인천 산곡남중 교장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