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뷰] 겨울 불청객 감기·독감 이야기

2024.01.09 10:30:00

날씨가 한창 추운 요즘, 감기랑 독감이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감기와 독감의 과학을 준비해 봤어요. 감기와 독감은 어떤 생명체 때문에 우리가 걸리는 걸까요? 우선 감기부터 말씀드리면 특정 세균이나 특정 바이러스에 걸려서 감기가 발병합니다.

 

 

Q1. 예전부터 헷갈렸는데, 세균이랑 바이러스는 다른 거죠?
바이러스랑 세균을 많이 헷갈려하는데, 둘 다 아주 작은 미생물인 것은 맞지만 사이즈 자체부터 아주 다릅니다. 쉽게 생각해서 여러분이 지금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 바이러스라고 한다면, 세균은 여러분이 살고 있는 집이나 빌딩 정도의 크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바이러스는 아주아주 작은 병원체라고 볼 수 있죠. 


감기는 몇몇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리노바이러스입니다. 전체 감기환자의 50% 정도가 리노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감기에 걸린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코로나바이러스도 감기를 일으키는데(10% 정도), 여기서 말하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는 다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종류가 아주 다양합니다.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중에서 오래전부터 우리 인류와 동고동락했던 것이 바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감기는 독감에 비해서 증상이 가볍고, 충분한 휴식이 있으면 대부분 회복이 됩니다. 


 Q2. 감기와 독감은 다른 건가요? 감기가 심하게 걸리면, 즉 독한감기를 줄여서 부르는 것이 독감 아닌가요?
영어로도 감기는 ‘cold’, 독감은 ‘Bad cold’로 불리기 때문에 독감을 ‘독한 감기’의 줄임말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감기가 심해지면 독감이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감기와 독감은 완전히 다른 바이러스입니다. 


감기는 그냥 호흡기 질환이지만,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며, 호흡기 계통은 물론 두통·근육통·발열 등을 유발하는 전신질환으로 봅니다. 그래서 감기는 비교적 가볍게 걸리고 낫지만, 독감은 심할 경우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습니다. 감기와 독감을 게임 속 몬스터로 비유하자면 감기는 잔챙이들, 독감은 중급 보스 몬스터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독감은 A형 독감입니다. 독감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4종류, A·B·C·D 가 있습니다. 독감환자의 70% 정도가 A형이고, 나머지가 B형입니다. C형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발생하더라도 감기정도의 증상으로 넘어갑니다. D형은 인간에겐 감염이 안 되고, 소·돼지에게서만 발병하고 있습니다. 

 

Q3. 그래도 독감은 코로나19보다는 사망률이 낮죠?
네, 맞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독감은 위험한 질환입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령층은 전체 독감 사망자 중 90%를 차지할 만큼 취약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올해 10월 중순부터 내년 2024년 4월 30일까지 전국 2만여 개의 지정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을 해주고 있습니다.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무시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매년 생기는 돌연변이 때문입니다. 돌연변이가 생기면 언제 또 치명률이 확 올라갈지 모릅니다. 실제로 독감은 인간의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20세기 초에 대유행했던 스페인 독감입니다. 감염자만 5억 명, 사망자는 5천만 명 이상이었습니다.

 

그때 당시 인구가 10~20억 명이니 거의 인구 절반이 걸리고, 사망자도 엄청난 거라고 볼 수 있죠. 우리나라에서도 스페인 독감이 돌았는데. 1918년이 무오년이었기 때문에 ‘무오년독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740만 명이 감염되었고, 약 14만 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굶주림과 질병의 이중고를 겪어야만 했던 조선인들의 삶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웠을지 짐작도 가지 않습니다. 이때 당시에는 인구도 적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감염된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Q4. 감기나 독감은 왜 겨울철만 되면 갑자기 늘어나는 건가요?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대체로 습기에 약한 편입니다. 따라서 한국 기준으로 습한 여름보다는 건조한 겨울철에 감기에 더 잘 걸리게 됩니다. 또한 건조함으로 인해 코의 점막이 건조하게 되면 병원체를 걸러주는 기관지에서 나오는 점액질의 보호물질의 분비량이 떨어지고, 병원체들이 호흡기 계통 점막에 더 쉽게 도달해서 기관지를 감염시키기 때문에 감기에 잘 걸리게 됩니다.  

 

Q5. 감기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거라면, 항생제를 먹는다고 감기가 빨리 낫고 그런 건 아니겠네요? 항생제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세균을 죽이는 거잖아요?  
네, 맞습니다. 감기는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그래서 감기에 걸렸을 때는 항생제를 먹어도 효과가 없습니다. 많은 전문가도 “감기는 보통 약을 먹지 않아도 일주일 정도면 자연스럽게 낫는다”고 합니다. 다만 감기에 걸렸다는 건 어느 정도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라고 볼 수 있어서 더 쉽게 다른 세균들에 의한 감염에 취약한 상태 또는 감염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생제를 먹으면 기타 세균들을 죽여주고, 결국 우리 몸의 면역계가 감기 바이러스를 물리치는 데 집중할 수는 있겠죠. 하지만 확실한 건 항생제는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이 아니라서 직접적인 효과를 보긴 어렵다는 것입니다. 추가로 증상이 감기처럼 보이지만, 의사가 봤을 때 부비동염이나 편도선염 등의 징후가 있는 경우엔 세균 감염이기 때문에 항생제를 처방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항생제 남용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 크다고 하니 무슨 병이든 항생제를 먹으면 빨리 낫는다는 잘못된 인식이 개선돼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Q6. 독감주사는 왜 엉덩이가 아닌 팔에 맞는 거예요?
우리 몸에 근육이 가장 많은 부위가 바로 엉덩이입니다. 보통 우리가 엉덩이에 맞는 주사는 근육주사라고 하는데, 근육 근처에는 혈관이 풍부하기 때문에 흡수가 빨라서 엉덩이에 주로 놓습니다. 독감예방 주사도 근육주사의 일종이지만, 엉덩이가 아닌 팔에 맞는 이유는 많은 사람에게 빠르게 접종하기 위한 일종의 편의적 조치라고 합니다.
 

이선호 과학커뮤니케이터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