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경제] 선생님들은 얼마나 쓰고, 얼마나 모을까?

2024.01.01 09:00:55

[방과후 재테크]

 

선생님들 재무 상담을 하다 보면 다른 선생님들은 얼마나 쓰고, 얼마나 모으는 지, 그리고 어떻게 돈을 모으는지 궁금해합니다. 우리는 왜 다른 선생님들의 지출이 궁금할까요? 이는 마치 나침반도 없는 망망대해에서 북극성을 찾듯, 답 없이 막막한 재무관리에서 내가 잘하고 있는지, 남들보다 뒤처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두려움이 들기 때문 아닐까요?
 

사람들의 생활 양식, 선호가 각양각색이듯이 각자 삶의 가치와 생활 양식에 맞는 재무관리 해법도 각양각색이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내 돈 관리 해법은 나만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성인이 될 때까지 제대로 된 돈 관리 교육을 받아보지 못한 채 현실에 던져졌습니다. 그래서 여기저기 전문가들이 떠드는 해법, ‘소득 대비 소비 비중은 ○○% 여야 합니다!’, ‘한 달에 얼마는 무조건 모아야 합니다!’ 같이 모두에게 통용되는 정답처럼 소개되는 해법에 귀 기울이고 자책하며 재무관리의 방향을 못 잡고 방황하게 됩니다.

 

교직 특성 반영해 돈 관리해야

 

나만의 재무관리 해법을 찾아가는 데 있어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해법을 따르는 것보다 다른 선생님들의 재무관리를 엿보는 것은 더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교직은 분명 특수성이 있고, 그 특수성으로 인해 선생님들의 돈 관리도 다른 직종과 차별화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또 같은 교사끼리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선생님들의 재무관리를 엿보며 반면교사 삼는 것은 나만의 재무관리 해법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1년 동안 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재무 상담 사례와 교사 맞춤형 재무설계 솔루션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시작은 선생님들이 얼마나 돈을 쓰고 모으는 지, 그리고 어떻게 모으는지 2019년과 2021년 경제금융교육연구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선생님들은 한 달에 얼마 정도 지출할까요?
 

2022년 설문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보면 미혼은 한 달에 50~100만 원 정도 지출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고 100~150만 원이 그 뒤를 따랐습니다. 기혼의 경우에는 당연히 미혼보다 지출 규모가 훨씬 크게 150~200만 원이 가장 많고 그 뒤를 200~250만 원이 따랐습니다.
 

눈여겨봐야 할 점은 미혼과 기혼 모두 2019년에 비해 지출이 더 줄었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초저금리의 영향으로 자산(부동산, 주식) 시장에서 자산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충분한 자산을 준비하지 못한 분들의 상대적 박탈감, 이를 대변하는 ‘벼락 거지’라는 말이 유행했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짠테크’를 넘어 ‘거지방’까지 출현한 것을 보면 허리띠를 졸라매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허리띠 졸라매도 식비 줄지 않아

 

지출이 줄었음에도 미혼과 기혼의 식비는 크게 줄지 않은 것 같습니다. 미혼은 19년과 비교해 22년 큰 변화가 없고, 기혼은 오히려 식비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식비는 살면서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줄이기 힘들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전체적인 지출이 줄었는데 식비는 그게 줄지 않았거나 오히려 조금 늘었기 때문에 씁쓸한 입맛을 다시며 엥겔지수(식료품비/소비지출 총액)가 높아졌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출이 줄어든 만큼 한 달에 모으는 돈은 늘었습니다. 사실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해도 그렇고, 재무 상담을 통해 20대 선생님들의 지출 내역을 살펴봐도 그렇지만 비정기적 각종 상여금을 제외하고 정기적 월급만으로 150만 원 모으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그래서 선생님들과 재무 상담을 할 때 한 달에 얼마 정도 모으는 것이 좋냐는 질문에 100~150만 원 사이, 혹은 130만 원 내외를 많이 제안합니다. 그런데도 2019년과 비교해 150만 원 이상 돈을 모은다고 대답한 선생님들이 크게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극단적인 절약 생활을 하는 선생님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기혼의 경우 배우자의 직업에 따라 수입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특별히 다루지 않겠습니다.)
 

자 그럼, 모은 돈은 어떻게 불릴까요? 이 부분이 2019년과 2022년 가장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2019년까지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굉장히 높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에 자산 시장의 급등으로 위험자산 선호도가 극적으로 변화됐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1~2년 자산 시장의 조정으로 이 부분 역시 다시 변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모으는 돈은 목적에 따라 라벨이 달라야 합니다. 1~3년, 짧은 기일 내 사용할 돈을 위험자산에 넣으면 절대 안 됩니다. 위험자산이 위험자산인 이유는 변동성 때문인데 자칫 내 예상과 달리 조정받을 때 팔아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젊은 교사들도 앞으로 생애주기별 이벤트가 많이 남아있어서 짧은 기간 돈 쓸 일이 많습니다. 모으는 기간에 따라 돈마다 라벨을 붙이고 그 라벨에 따라서 안전자산(단기)과 위험자산(장기)에 투자하길 바랍니다.

 

앞으로 선생님만을 위한 재무 이야기를 1년간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천상희 경제금융교육연구회 회장·‘선생님의 돈 공부’ 저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