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좋은 계절에 사색을 위해 책을 읽어야 한다

2024.10.11 22:06:32

영웅에게 배워야 할 것은 업적이 아닌 일상의 언행

 

 

혼돈의 시대, 그리고 불신시대. 가짜가 판치는 시대, 각박한 시대가 되었다. 이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찾아야 산다.

 

소설가 박경리 선생은 한국전쟁 이후의 혼돈스런 사회를 '불신시대'라 명명했다. 선생의 소설 '불신시대'는 가짜 권위와 배금주의가 결탁하여 빚은 인명 경시, 인간성 상실의 참담한 댕대 현실을 잘 그리고 있다. 필자가 직접 체험하지 않았지만 여러 정황을 보면 거짓은 아닐 것 같아 믿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불신은 결코 막을 내린 것이 아니었다.

몇 해 전 수학 여행길에 오른 학생들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사건은 우리 사회의 불신주의가 무엇인가를 보여준 확실한 단면이기도 하다.

최소한의 위기 대처 능력과 판단력을 갖지 못한 선장과 선원들은 정신적인 수준에서 자기만 생각하는 어린 아이에 불과했다. "가만히 있어라!"는 망언을 따르지만 않았어도 우리 아이들은 삽시간에 경쾌하게 갑판에 올라 어여쁜 목숨을 이었으리라.

권위의 내용을 갖추지 못한 가짜 권위의 상징인 선장은 아이들과 의로운 선생님들의 목숨을 앗은 채 대책 없이 달아나며, 모두를 고통과 죽음의 공포로 몰아넣고 만 것이다.

 

참담한 이 사건이 미친 파장은 국가, 사회 전반에 걸친 끝없는 회의와 뿌리 깊은 ‘불신'이다. 미래와 꿈, 생명을 모두 빼앗긴 아이들에 대한 책임의 소재와 범위가 여전히 불투명하고 진정한 명복의 의미마저 흐려진 채 무대책, 무책임의 세월을 보내면서 많은 사람들의 삶에 대한 희망과 에너지를 고갈시켰다.

 

해방 후 한국사회는 새로운 가치의 좌표를 서양에서 찾았다. 이른바 근대화, 서구화, 문명화라는 깃발을 따라 서양에 뜬 북극성을 행복의 푯대로 삼고 달려왔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교육을 받고 와서 자신도 잘 알지도 못하는 여러가지 내용들을 아이들 머릿속에 주입시켜 교육의 틀도 예외는 아니었다.

 

아무리 급해도 대학 진학만을 위한 수능문제에 골몰하는 교육만으로는 미래를 장담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의 시대로 가고 있다. 창의성의 시대의 생존, 혁신은 쉬운 일이 아니다. 누군가 할 일 없으면 책을 읽겠다 쉽게 말하지만 책을 읽는다는 것은 간단하고 편리한 문자를 읽는 것이 아니다. 그 속에 담겨 있는 생각을 내 것으로 만드는 인고의 시간, 깊은 사색(思索)이 필요하다.  사색이 없으면 삶 자체가 사색(死色)이 되기 때문이다

 

필자가 존경하는 신복룡 교수는 집이 너무 가난해 중학교 졸업 후 고교 학비를 마련하려고 1957년 상경, 을지로 6가에서 1년간 낮에는 소금 장사와 가게 종업원으로, 밤에는 다락방에서 <삼국지〉를 읽으며 버텼다고 한다. 그리고 1960년 〈플루타크 영웅전>을 처음 읽고 완역의 꿈을 가졌다. 조교 시절 교수님과 우리말 다듬기를 한 공역본을 내기로 '약속'했는데, 그분이 세상을 먼저 떠나 50여년 만에 혼자 출판해 냈다. 이처럼 깊은 사색은 꿈을 만들어 사망의 골짜기 처럼 음침할지라도 참아내며 미래를 꿈꾸게 한다.


신 전 교수는 머리말에서 "인간의 삶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위대하고 영웅적인 업적이 아니라 일상의 언행들"이라며, "플루타르코스는 영웅의 업적을 나열하지 않았다. 그는 그들의 사소하고도 인간적인 애증을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영웅전을 다 쓰고 난 플루타르코스는 글을 쓰다보니 자신에게 큰 공부가 되었다고 말했다.

독서는 시간이 나면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만들어 하는 것이다. 또한 많이 배운 사람들이 아는 티를 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읽는 것도 아니다. 삶은 시간 흐르는대로 사는 것이 아닌 각자의 마음 밭에 좋은 생각의 씨를 뿌려야 한다. 이런 씨앗은 선인들의 삶이 녹아있는 고전 속에 알알이 박혀 있다.

 

성서도 좋고 논어도 좋고, 괴테도 좋다. 생각만 있다면 수준에 맞는 책들이 가득하다. 이를 위해선 문해력이 필수이며, 그 열매는 천지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똥개처럼 날뛰지 않을 것이다. 이런 과정이 없으면 사색(死索 )하는 인간이 될 것이다. 책을 읽어야 훌륭한 책이 크게 된다. 다 망가져도 문화의 도산을 방치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금 우리가 삶과 피할 수 없이 접하는 정치의 방향은 관연 올바른가? 지금 우리는 행복한가? 과연 진실되게 잘 살고 있는가?를 자신에게 묻고 답하면서 고전으로 깊숙히 들어가 보자. 지겹던 무더위도 가도 이 좋은 가을에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책은 과거의 틀을 벗고, 꿈 꾸는 것을 가르쳐주는 진짜 선생님이기 때문이다.

 

김광섭 교육칼럼니스트 ggs195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