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열린 '책기사 겨울 콘서트' 공연 사진. 임용수 교사 제공. ](https://www.hangyo.com/data/photos/20250207/art_17394318069149_ffab38.jpg)
지난해 12월 18일 오전, 경북 영천 별무리아트센터에서 ‘책기사 겨울 콘서트’가 열렸다. 경북 영천 관내 특수교사들로 구성된 교원 연구 동아리 ‘책 읽는 기적을 만드는 교사(책기사)’가 마련한 행사였다.
책기사는 책과 교과를 연계한 수업을 연구하고 학급 운영, 도전 행동 대처, 학부모 상담 등 특수교사의 고민을 나누는 모임이다. 특히 책 읽어주기 활동에 공을 들인다. 임용수 경북영천교육지원청 특수교육센터 교사, 성혜숙 단포초 교사, 김희정·황소영 영천초 교사, 박지은 영천중앙초 교사, 박선례·박은해 포은초 교사가 소속돼 있다.
이날 콘서트의 주인공은 영천중앙초·영천초·단포초·포은초 특수교육 대상 학생 50여 명. 지난 두 달간 하루도 쉬지 않고 갈고닦은 실력을 선보였다. 크리스마스 캐럴 음악에 맞춘 율동, 핸드벨 합주, 모둠북 공연 등 그동안 해왔던 책 읽기 활동과 연계해 콘서트 내용을 구성했다. 임용수 교사는 “우리 아이들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자리를 만들어주고 싶어서 책기사 선생님들과 마음을 모았다”고 전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교육 현장에서 주목받기 어려운 경우가 잦아요. 특히 학예회나 체육대회가 열리면 노래 잘하는 학생, 악기 잘 다루는 학생, 잘 달리는 학생이 주목받기 마련이죠. 우리가 이 아이들을 주인공으로 만들어주자, 뜻을 모았어요.”
공연 시작 전, 특별한 시상식도 열렸다. 졸업을 앞둔 학생들을 축하하는 자리였다. ‘경이로울상’ ‘미소상’ ‘탐험상’ ‘매력넘칠상’ 등 학생 한 명, 한 명의 가능성을 칭찬하는 상을 수여했다. 인근 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과 교사들, 영천중앙초·영천초·단포초·포은초 교장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임 교사는 “콘서트를 준비하면서 아이들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북 공연을 준비하면서 북채를 잡는 것도, 무대 의상을 입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학교별로 촬영한 연습 영상을 보면서 ‘과연 할 수 있을까’ 고민했던 것도 사실이에요. 그런데 아이들이 무대 체질이었어요. 공연을 마치고 나선 ‘또 하고 싶다’ ‘우리 반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싶다’고 말했죠.”
!['책기사 올림픽'이 열린 모습.](https://www.hangyo.com/data/photos/20250207/art_17394319319737_a3bdb8.jpg)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주인공인 행사는 이것만이 아니다. 지난해 가을에는 운동회 '책기사 올림픽'도 열었다. 전국 장애학생 체육대회 경북 예선전을 앞두고 사전 연습을 겸해 마련했다. 임 교사는 “운동회를 준비하면서 실력을 기르고 대회에서 입상하는 기쁨도 얻었다”면서 “책기사 선생님들과 함께라서 가능한 일”이라고 귀띔했다.
“한 학교에 특수교사가 한두 명 정도예요.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이게 지금 맞는지’ 고민스러울 때가 있죠.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받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요. 책기사 활동을 하면서 선생님들과 소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이들도 다른 학교 친구들과 교류하면서 의사소통 능력이 좋아지고 자존감도 높아졌고요. 통합 학급에서도 잘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줬죠.”
책기사 교사들은 지난 1년 동안 매일 책 1권을 읽어줬다. 책을 읽어주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고, 어떻게 하면 더 잘 집중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했다. 1년 동안 읽어줄 책 목록도 주제별, 상황별로 정리했다. 교실에서의 경험과 자기만의 노하우를 나눈 것이다.
이들은 왜 책 읽어주기에 주목했을까. 임 교사는 “학생들을 수업에 집중하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이 책 읽어주기였다”라고 말했다.
“수업을 시작하려면 학생들이 착석해야 하잖아요. 억지로 앉으라고 하는 것보다 그림책을 보여주고 동화책을 읽어줬을 때 스스로 자리에 앉았습니다.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요. 책 읽어주기가 루틴이 되자, 읽고 싶은 책을 직접 골라오기도 하고, 책 읽을 시간이 되면 자리에 앉아 기다리기도 했어요. ‘왜 안 읽어주냐’면서요. 돌아다니던 학생도 자리에 앉아 기다리는 다른 학생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따라 앉았고요.”
올해 책기사는 운동회, 콘서트에 그치지 않고 또 한 발짝 내디딜 계획이다. 연합 현장 체험학습과 미술 작품 전시회를 준비 중이다. 임 교사는 “앞으로도 우리 학생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잘 지낼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