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이 10명 중 4명이 교육 활동 중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다 폭언이나 폭행을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반영하듯 교원들은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제21대 대선에서 선출될 차기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최우선 교육 정책으로 ‘교권 보호’를 꼽았다.
한국교총이 제73회 교육주간 및 제44회 스승의 날을 맞아 12일 공개한 전국 교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다. 교총은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교원 인식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교원들은 최근 저연차 교사 이탈 현상에 대해 90.0%가 ‘심각하다’(매우 심각 51.6%, 다소 심각 38.4%)고 응답했다. 이탈 원인으로는 ‘교권 침해’(40.9%), ‘사회적 인식 저하’(26.7%), ‘업무 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 순이다. 저연차 교사 이탈 방지 대책으로는 ‘교권 보호 법‧제도 마련’(37.3%)과 ‘보수 및 수당 현실화’(34.8%)를 우선적으로 요구했다.
교육활동 중 학생의 휴대전화 알람, 벨소리 등으로 수업 끊김, 수업 방해를 겪은 적 있다는 응답은 66.5%에 달했다.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다 저항, 언쟁‧폭언을 경험한 교원은 34.1%로 집계됐다. 상해‧폭행까지 당한 교원은 응답자 중 345명(6.2%)이다. 교육활동 중 몰래 녹음, 몰래 촬영을 할까봐 걱정된다는 비율은 85.8%다.
최근 학생 흉기난동으로 교원 등이 크게 다친 사건과 관련해 ‘교육활동 중인 교원을 상해‧폭행할 시 가중 처벌하는 교원지위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99.3%가 찬성했다.
차기 대통령이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을 묻는 문항에 교원의 절반(50.3%)이 ‘소통과 통합능력’이라고 응답했다. 가장 중시하고 우선 추진해야 할 교육 정책으로는 ‘교권 보호’를 꼽았다. 이어 ‘교원 처우 개선’과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 교육여건 개선’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차기 대통령으로 지지(투표)할 후보를 정했냐는 물음에는 절반 넘는 58.0%의 교원이 ‘정했다’고 답했다. 향후 지지(투표) 후보가 바뀔 가능성이 있느냐는 문항에 51.4%가 ‘없다’, 48.6%가 ‘있다’고 각각 응답했다.
최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복수 시행 방안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60.9%)가 찬성(39.1%)보다 높았다. 수능 시험에 서‧논술형 문항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63.0%)가 ‘찬성’(37.0%)보다 우세했다.
국민연금 개편 논의와 함께 공론화되고 있는 정년 연장에 대해서는 ‘찬성’(57.6%)이 ‘반대’(42.4%)를 앞질렀다. 찬성 이유로는 ‘연금 소득 공백 해소’(60.6%)를 가장 많이 꼽았다. 반대 이유로는 ‘세대교체 지연으로 학교 분위기 침체 우려’(43.3%)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와 관련해 교총은 “교권 보호와 교육 여건 개선을 바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절실히 묻어난 설문 결과”라면서 “교원이 학생 교육에 전념하고,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 본연의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정부, 국회, 사회가 함께 지원‧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