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당수초(교장 하문혜) 6학년 3반 학생들은 전교생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관련 플라스틱 병뚜껑 기부 프로젝트 <육삼(6-3)아 육삼아 간식 줄게 병뚜껑 다오>를 운영해 병뚜껑 27951개를 기부했다고 밝혔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병뚜껑은 소재의 문제로 재활용이 안되어 버려지는데, 이것을 모아 기부를 하면 분쇄 후 녹이는 작업을 거쳐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다.
김초록 담임교사의 기획으로 시작된 이번 프로젝트는 계획 및 실천 단계가 모두 학생들이 주도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 방법 중 플라스틱 병뚜껑 재활용이 있음을 안내한 후 학생들이 홍보지, 홍보 영상, 상품, 도장판 등의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실천하였다.
당수초 6학년 3반 학생들은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쉬는 시간마다 병뚜껑을 받은 뒤 직접 디자인한 도장판에 도장을 찍어주고 작은 간식을 주는 일, 병뚜껑 안의 이중마개를 제거하고 더러운 병뚜껑을 세척하는 일, 색깔별로 구분하고 숫자를 세는 작업을 했다. 또 미술 시간을 이용해 병뚜껑으로 ‘우리가 지키는 지구 탄소중립 함께해요!’라는 글자와 지구 모형을 만드는 작업도 함께 하였다.
처음 생각과 달리 전교 학생들의 열띤 참여에 한 달 만에 목표치를 훨씬 넘겨 2만8000여 개의 병뚜껑을 모은 후 학생들은 다 같이 학교 근처 제로웨이스트샵(재재상점)에 직접 기부하러 갔다. 재재상점 관계자는 “5년째 기부를 받고 있는데 이렇게 많이 모아온 것은 처음이다. 열정이 대단하다. 앞으로도 이 기록은 깨지지 않을 것 같다”며 수원시자원순환센터로 보내 잘 쓰이게 하겠다고 이야기했다.
한 학생은 프로젝트를 마치며 쓴 글에 “쉬는 시간마다 다른 학생들이 병뚜껑을 들고 찾아와 너무 바쁠 때가 많았고 분류하는 것도 힘들었지만 처음 목표치를 훨씬 넘겨 뿌듯하다”고 적었다. 또 다른 학생은 “전교생이 몰려오는 것 같아서 진짜 힘들었는데 막상 교실에 병뚜껑이 사라지니까 허전해요. 이렇게 잘 될 줄 몰랐어요. 길 가다가도 병뚜껑만 보여요. 뭔가 주워야 할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담임교사는 이 프로젝트에 “일상생활 속 소소한 실천”, “학생들이 주도하고 선생님이 보조하는 것” 두 가지에 중점을 두었다고 전했다.
당수초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탄소중립 실천 교육을 통해 학생이 주체가 되는 탄소중립 문화 형성에 앞장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