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학교 3학년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학력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반적으로 앞섰다. 또한 코로나19 때 떨어졌던 학력이 회복세를 보였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2일 발표한 ‘202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다. 이는 매년 학생들의 학업 성취수준 추이를 파악하고,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중3·고2 가운데 약 3% 표집 평가로 진행되고 있다.
국어·수학·영어 교과별 학업성취 수준을 4단계로 진단하는데, 1수준은 기초학력 미달로 가장 낮은 단계이며 4수준(우수 학력)은 가장 높은 단계로 표시된다.
이번 평가에는 전국 524개교에서 2만76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다. 분석 결과 중3 국어 3수준 이상 비율은 66.7%로 전년보다 5.5%포인트(p) 늘었고 고2 수학의 1수준은 12.6%로 4.0%p 줄었다. 이를 제외하면 2%p 이내의 변화로 통계상 의미가 있는 수준은 아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학력 회복세로 관측되고 있다. 학교 수업 재개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주의 깊게 지도한 효과로, 특히 교원 대면 수업의 중요성이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떨어졌던 학력이 2023년부터 회복됐다”면서 “2024년은 2023년보다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업 성적이 뛰어났다. 중·고교 모두 국어·영어 교과에서의 3수준 이상 비율은 여학생이 더 높았고, 1수준 비율은 전 과목에서 여학생이 더 낮았다.
대도시와 읍면의 학력 격차는 중3에서 두드러졌다. 중3의 경우 모든 교과에서의 3수준 이상 비율과 1수준 비율 모두 대도시의 우세다. 3수준 이상에서 국어는 13.7%p 차이, 수학은 18.5%p 차이, 영어는 19.4%p 차이다. 1수준은 5~10%p 차이다. 이는 지역에서 이주배경 학생 증가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고교에서는 3수준 이상이나 1수준 비율 모두 5%p 미만의 차이 정도였다. 이는 일반고 위주의 평가여서 학교 유형별 격차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학교생활 행복도 조사에서 행복도를 ‘높음’으로 답한 비율은 중3이 전년 대비 0.6%p 감소하고, 고2이 1%p 상승했다.
교과에 대한 자신감·가치·흥미·학습의욕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중3 영어에서 전반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가치 높음’ 비율은 3.5%p 줄고 ‘가치 낮음’ 비율은 1.2%p 늘었다. ‘학습의욕 높음’도 1.5%p 줄었다. 나머지 과목은 국어에 대한 ‘자신감 낮음’ 정도만 1.9% 늘었을 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고2에게서도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성취 수준과 자신감·가치·흥미·학습의욕 간 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고2 영어를 제외하고 중3·고2 모두 3수준 이상 학생이 1수준 학생에 비해 높았다. 중3·고2 모두 전반적으로 수학에서 가장 큰 차이로 이어졌다.
‘사회·정서적 역량’에서 중3은 협업·갈등해결·회복탄력성 수준이 전년 대비 낮게 나타났고, 고2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학업성취 수준과 사회·정서적 역량 간 관계에서는 중3·고2 모든 과목에서 3수준 이상 학생들이 1수준 학생에 비해 더 높았다. 중3·고2 모두 전반적으로 스트레스 대처 역량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진로탐색 역량은 중3·고2 모두 전년 대비 유의하게 높았지만, 진로설계 역량은 중3·고2 모두 전년 대비 유의하게 낮았다.
김천홍 책임교육정책관은 “올해 중3 국어, 고2 수학에서 특히 성취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는 등 성과가 일부 있었으나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주목해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제고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 개선 등에 힘쓰겠다”며 “특히 중학교는 협업·갈등해결 등 사회·정서적 역량 함양에도 관심을 갖고, 지역별 학력격차 해소를 위해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