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모르는게 없는 스승

2005.06.20 08:59:00

壽만이라도 누릴 이름은 바로 “선생”

大學之道란 뜻은


우리 전통 우스개 이야기 가운데 훈장은 모르는 것이 없어야하는 기대와 그에 부응하지 못하는 무지 틈에서 발생하는 모순이 하나의 유형을 이루고 있다. 두 사람의 도학 선생이 서로가 자신의 주장이 참 도학이요, 상대의 도학은 위선이라며 싸웠다.


아무리 싸워도 승부가 나지않아 공자님을 찾아가 판정을 내려주길 바랐다. 이에 공자는 계단을 내려와 ‘나의 도리는 너무 커 일치한다는 법이 없다. 두 선생의 도리는 진정한 도학으로 평소에 존경해 온터로 양편다 위선이 없다’ 두 선생은 좋아라하고 돌아가자 공자의 제자들이 ‘시비를 가려야지 둘다 맞는 도리가 있다는 것이 이상하지 않습니까’ 묻자 공자는 ‘너희들 말도 옳다’고 했다.


어느 한 스승이 수업을 하는 도중 한 제자가 대학지도(大學之道)가 무슨 뜻입니까고 물었다. 스승은 술에 취한 척하며 ‘너희들은 내가 술에 취했을때만 골라서 묻는다’하고 집에 돌아와 아내에게 물었다. ‘대학은 책 이름이요 대학지도는 그 책속의 도리입니다’하자, 이튿날 서당에 가서 ‘어제 누가 뭣을 물었더라’하고 아내가 일러준대로 대꾸해주었다. 이어 한 제자가 일어서 ‘재명명덕(在明明德)이란 무슨 뜻입니까’고 묻자 스승은 손을 이마에 얹으며 ‘다시 취기가 오르는구나’했다.


어느 한집에서 쌀 몇섬을 주기로하고 가정교사를 초빙했다. 이 아이 아버지 무척 까다로워 한자, 훈독을 틀리게하면 벌로써 쌀 한되씩을 감하기로 약속을 했다. 1년이 지나 계약을 다하자 1년간 훈독을 틀리게한 몫을 빼니 겨우 쌀 두되가 남을 뿐이었다. 주인이 두되만을 갖다놓자, 스승은 기가막혀 탄식하며 문자를 썼다. “시하언흥(是何言興)! 시하언홍(是何言興)!” ‘효경(孝經)’에 나오는 유명한 말로 이게 무슨 말이요(是何言與) 이게 무슨 말이요(是何言與)하는 것에서도 與를 興으로 잘못 읽은것이다. 이에 주인은 아이를 시켜 그 두되마저도 빼앗게한다.

부정적 인식 그늘


어느 한 노인이 늙그막에 아들을 하나보고서 이웃에 사는 가난한 서당 훈장을 찾아가 잘자라고 복이 붙을 이름을 지어달라 부탁했다. 이에 훈장은 금동이라고 이름을 지어주었다.


한데 얼마 안있어 그 아이가 죽었다. 다시 한 아이를 보고 훈장에게 작명을 부탁했더니 은동이로 지어주었다. 이 아이도 얼마 못살고 죽었다. 그 후 또 한 아이를 보아 작명을 부탁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금은(金銀)은 귀중한것이기에 제 복에 겨워 일찍 죽는것 같소. 차라리 천하고 가난해도 좋으니 수(壽)만이라도 누리게 이름을 지어주시오”했다. 하니 훈장은 선생이라고 지어주는 것이었다.

 

노인이 놀라 이유를 묻자 “선생이란 못먹지만 굶어 죽지않고 헐벗어도 얼어죽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것이요. 잘먹고 잘입고 잘살지는 못하지만 오래는 살 것이요”했다. 전통사회에 있어 스승의 인식에는 이 같은 처량하고 부정적인 인식이 그늘처럼 따라다녔음을 미루어 알 수가 있다.

한교닷컴 hangyo@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