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05.11.07 10:23:00

동북아시아 고고학에서 본 요동·만주

중국서 고조선 사람은 ’교만하고 사납다'할 만큼 세력 커
부여는 ‘濊王之印’ 옥?사용한 예맥족, 중국사 인식 잘못
초기 고구려는 現 환인 신빈 집안 통화 일대에 자리 잡아
마지막 만주 지배한 발해이후 역사무대 한반도로 축소돼
 

만주(요동)지역에는 일찍이 우리 조상의 기원을 이룬 예맥 족이 자리를 잡고 생활했다. 그들은 생활의 흔적으로 특징적인 청동기문화를 남겼는데, 독특한 칼 모양을 본따 ‘비파형동검문화’라 부른다. 비파형청동기문화는 중국 황하 유역의 북중국 청동기문화나 유목민인 흉노족 등의 오르도스식 청동기문화와는 다른 특징과 개성을 지녔다.
남만주 지역에 거주한 예맥 족이 중심이 되어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세워진 정치체는 고조선이다. 고조선 사람들은 청동기시대(기원전 8~7세기)부터 남만주의 요동 일대와 한반도 서북부를 중심으로 살았다. 한반도나 남만주 지역에서 나오는 청동기, 철기 유물을 면밀히 살펴보면 고조선 사람들이 살았던 곳과 그들의 사회상을 어느 정도 복원해볼 수 있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 조사된 유적과 유물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이 청동단검, 이른바 비파형동검이다.
 
심양 정가와자 박물관
1965년에 고조선시대의 나무곽무덤과 청동 단검이 조사된 자리에는 박물관이 있다. 정가와자 유적이라고 불리는 곳이지만 현재는 폐쇄된 상태로 외부인의 출입이 차단되어 있다. 단지 건물 외관에 그려진 그림만으로 단검과 청동거울이 발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요동의 심양 정가와자 마을에는 비파형동검과 늦은 단계의 미송리형토기가 나온 고조선 지배자의 무덤이 있다. 1965년 발굴 당시 정가와자 유적의 한 지점에서는 두 개의 큰 나무곽무덤과 12개의 작은 움무덤이 출토되었다. 나무곽무덤은 그 구조가 대형인데다(길이 365cm), 기원전 6~5세기경에 해당하는 청동기와 비파형동검 등이 상당히 풍부한 점으로 보아 부유한 지배계급이거나 또는 그 이상의 신분으로 그 일대를 관할하던 대표자의 무덤으로 보인다. 아마도 무덤의 주인공은 고조선의 최고 지배자들이거나 예맥 계통 정치집단의 지배자였을 것이다.

요동지역과 한반도 서북지방에 살았던 예맥 족과 고조선 사람들이 남긴 대표적 문화로는 비파형동검 외에 고인돌과 미송리형토기가 주목된다. 당시에는 탁자식(북방식) 고인돌이 하나의 세력권을 이루면서 요동지역에서 서북한 지역에 걸쳐 집중 분포하고 있어 일정한 정치 체의 존재를 암시한다. 그런데 당시 고인돌을 조영하면서 요하 이동에서 청동기시대에 정치 체를 형성한 주민집단은 고조선 외에 달리 언급할 세력이 없다.
비파형동검 문화는 서기전 4세기 무렵이 되면 세형동검 문화로 변화한다. 그런데 비파형동검은 요동 지역에서 주로 나오고 세형동검은 대동강 유역에서 집중해서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 지표의 변화는 주변 지역의 정치적 변동과 깊은 연관이 있다. 처음 고조선은 여러 종족집단을 느슨하게 통치했지만 기원전 4~3세기가 되면 중국의 연나라와 겨룰 정도로 나라의 힘이 커진다. 중국 사람들은 이러한 고조선 사람들을 ’교만하고 사납다'고 할 정도였다. 이즈음 연(燕)나라는 동쪽의 강력한 세력을 지닌 동호(東胡)를 공격하게 된다. 그리고 요동지역 천산산맥 일대까지 지금의 만리장성과 다른 연(燕)의 장성(長城)을 설치했다. 장성 근처에는 대량의 와당, 명도전, 철기 등이 발견되는데, 이 유물들은 서북한지역의 청천강유역을 경계로 그 이북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 자료의 분포 상황을 통해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연나라가 기원전 3세기 초 요서지역에 위치한 동호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고조선에 대해서도 공격을 해 요동지역에 있던 조선연맹체 집단들을 이동하게 했고, 이후 고조선은 청천강(=패수) 이남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이 국가적 성장을 지속해 나갔다는 것이다.
고조선에 이어 요동 지역에 나라를 세운 주민은 부여 사람들이다. 동이(東夷)의 나라에서 가장 드넓은 평원 지대에 위치한 부여는 중국 동북 평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현재의 길림성과 헤이룽장 성 남부, 만주의 중심을 차지했다. 부여 역사를 두고 중국인들은 중국의 고대 역사로 이해하지만 분명 부여는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494년까지 북만주 땅에 있었던 우리 고대 국가이다. 부여왕은 ‘예왕지인(濊王之印)’이라는 도장을 나라의 옥쇄로 사용했다. 이는 예맥 족이 세운 나라임을 나타낸 것이다.
요동 단동시 봉황산성 북벽과 바위산
압록강 북쪽에 있는 고구려 산성 가운데 가장 큰 고구려 봉황산성의 북벽. 둘레가 16km이며 성 안에는 현재 군 부대와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고구려 당시 오골성이라 불렸던 성으로 동서로 산줄기 2개가 뻗어 있고 남북의 좁은 입구를 막아 성곽으로 삼았다. 당나라 진대덕이 군사를 이끌고 왔다가 성의 위용에 놀라 그냥 군사를 돌려 돌아갔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의 만주 길림성 길림 시는 부여의 도성이 있던 지역으로 이곳에 가면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두 산, 서단산(西團山)과 동단산(東團山)이 있다. 서단산에서는 청동기시대 돌널무덤과 서단산토기(미송리형토기)가 함께 조사되었다. 고대 문헌에는 길림성 일대 부여의 선주민을 예족(濊族)이라 불렀다. 이를 근거로 학계에서는 길림성 일대의 청동기문화를 서단산문화, 그 문화의 주인공은 바로 부여의 선주민임을 알 수 있었다. 서단산 맞은편에 위치한 동단산에서는 남록의 높은 대지상에 황토 흙을 다져 쌓은 둥근 타원형의 남성자 옛 성터가 발견되었다. 성 내부에서는 토기와 기와 등 부여의 유물과 고구려 및 발해 시기의 유물이 나왔다. 남성자는 “성책을 만드는 데 모두 둥글게 하였으며 감옥과 비슷하다”는 ‘삼국지’동이전의 기록과 들어맞아 부여의 왕성(王城)으로 증명됐다.

부여 사람들은 일찍이 쑹화 강 유역을 중심으로 송눈평원과 송요 평원을 개척했고, 서단산문화라는 수준 높은 문화를 영위하면서 우리 역사상 고조선에 이어 두 번째로 국가 체제를 마련했다. ‘삼국지’동이전의 부여 기록에는 부여가 매우 부유하고 시조 때부터 남의 나라에 패해 본 일이 없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부여는 경제 수준이 상당히 높았고, 통치력과 군사력이 매우 강했다. 이런 사실을 증명하듯 길림시 위쪽에 있는 유수시 노하심 마을에서는 모두 129기의 부여 지배자들의 나무곽무덤이 조사되었다. 무덤 안에서는 황금 허리띠장식 등 각종 금제 장신구와 철갑옷, 칼 등 많은 철제무기가 나와 부여 귀족인 대가(大加)들의 강력한 세력 기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여의 세력이 커지면서 그곳에서 떨어져 나온 세력 집단이 고구려와 백제, 나아가 발해를 세웠다는 점에서 부여의 역사는 우리 고대 국가의 출발점에서 중요한 디딤돌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부여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하는 분이 거의 없어 많은 관심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부여가 있던 길림성 농안-장춘 지역 이남의 넓은 무대를 배경으로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달리 독자적인 천하를 세웠던 나라가 고구려다. 고구려는 요동 지역의 압록강과 혼강 유역을 중심으로 맥족이 중심이 되어 역사 무대에 등장했다. 고구려의 건국시조로 알려진 주몽왕이 부여에서 내려와 처음 나라를 세운 곳은 졸본(卒本) 또는 홀본(忽本)이었다. 그 위치는 오늘날 중국 요령성 환인 일대로 졸본에서는 고구려 초기 도성 유적을 만날 수 있다. 그곳에는 다섯 여인의 전설이 서려있는 오녀산성(五女山城)이 있고 평지성으로 하고성자성과 나합성이 있다. 최근 오녀산성은 고구려 초기 도읍지로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주몽의 뒤를 이어 유리왕대에는 졸본의 동남쪽에 위치한 길림성 집안시로 도읍을 옮기게 된다. 압록강의 수로를 배경으로 요동평원과 부여 지역을 경영하기 위해 집안시에 자리한 고구려. 집안시에는 평양으로 천도하는 427년 이전까지 고구려의 국가적 위상을 보여주는 도성 유적(국내성과 환도산성)과 집안 평야를 배경으로 광개토왕비와 장군총 등 고구려 역사를 말하는 많은 유적이 펼쳐져 있다. 초기 고구려는 이처럼 지금의 환인과 신빈, 집안, 통화 일대에 걸쳐 자리 잡았다.
고구려는 지방에 성(城)을 쌓아 주민을 다스리고 외적을 방어했다. 고구려 첫 도읍지 ‘홀본(忽本)’의 ‘홀’이 성을 뜻하는 것처럼 고구려는 성의 나라였다. 특히 요동반도를 따라 종으로 흘러내리는 천산산맥의 요충지에는 고구려 성곽이 세워졌다. 고구려 성의 축성 모습을 잘 보여주는 요동 등탑의 백암성, 당나라가 자랑하는 이세적의 50만 대군을 물리친 안시성, 천 길 낭떠러지로 푸르디푸른 암석으로 이루어진 봉황산성 등 많은 성이 지금도 그 모습 그대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이 가운데 봉황산성은 둘레만 16km이며 사방이 바위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안에는 작은 도시가 자리 잡을 만한 대지가 펼쳐져 있다.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다른 독자적 천하를 세운 고구려 사람들의 위용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요동 땅에는 고조선과 부여에 이어 고구려가 터를 잡았고, 다시 이 드넓은 땅에 거대한 제국을 세운 발해 왕조가 있었다. 발해 왕조를 마지막으로 우리 역사의 무대는 한반도로 축소되었다. 역사상 마지막으로 만주를 지배했고 가장 방대한 영토를 가졌던 발해. 만주에서 일어나 만주에서 멸망한 유일한 나라였다. 유일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황제만이 쓰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나라가 발해였다.

우리나라는 공산권과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한 198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발해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 그 옛날 중국의 만주, 러시아의 연해주, 그리고 북한 땅 대부분을 지배하던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역사를 연구할 필요성을 깨달은 것이다. 하지만 발해가 망한 뒤 발해 유민들은 강제로 요동 반도로 옮겨졌고, 수도였던 상경성은 불에 타 발해 역사의 자취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완전히 소멸됐다고 말해도 될 정도로 성벽만 남아 있는 정도이다. 그런데 1949년 중국 돈화시에서 발해 3대 문왕의 둘째 딸 정효 공주의 무덤이 발굴되었다. 아마도 이것이 발해 사람들이 남긴 거의 유일한 기록일 것이다.
한국 고대사의 흐름 속에서 만주 지역에는 고조선-한사군-고구려-발해 역사 펼쳐졌다. 요동 지역에 살았던 예맥 계통의 주민들은 만주 요동 땅에 그들의 발자취와 삶의 흔적을 뚜렷하게 남겼다. 아직도 연구자들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고고 자료가 만주 요동 일대에 산재해 있다. 그 동안 우리는 우리 고대 역사로서 고조선에서 발해에 이르는 역사를 연구하면서 주로는 한반도 중심의 역사를 많이 고민해 왔다. 과거 역사는 우리 조상들이 살아온 자취이지만 한반도 땅에 남겨진 역사에만 관심을 두어서는 안 된다. 우리 조상들의 역사가 동아시아 사회 전체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고, 세계 역사를 살았던 사람들과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도 알아야 한다. 한반도 중심으로 역사를 보는 눈에서 벗어나 만주 땅과 연해주, 나아가 동아시아 전체로 우리 역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우리가 고조선과 부여·고구려·발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이다. 


송호정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다음 회는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교수의 '만주, 한국 고대사의 뿌리를 찾아서'입니다.
한교닷컴 hangyo@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