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수업은 학습자들의 사고력만을 높이는 데 적합한 수업 방법이 아니라 인지적 학습 효과 증진에도 유용한 수업이다. 개념이나 지식 획득에서도 교사중심 수업이나 강의식 수업에 비해 효과가 있다. 그러나 토론의 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토론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교사들은 말한다. 11일 ‘미래를 준비하는 토론’을 주제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열린 교수학습 혁신 세미나 내용 중 구정화 경인교대 교수의 ‘토론수업을 위한 교과 내용 구성’의 설계 노하우를 살펴봤다.
일상 주제, ‘읽을거리’ 재료로 활용
주제 중심=주제 중심 교육내용의 구성은 실제 토론수업 내용의 구성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 더 유용하다. ‘Scholastic News' Paper’라는 교재를 활용한 미국 초등 3학년 사회과 수업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인디언의 토템과 현재의 거주지(인디언 보호), 평화를 위한 중동 지역의 계획(평화), 사람들은 윌리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동물애호), 학교 급식 문제, 선수들은 노르웨이에서 금을 향한다(동계올림픽 의의), 평등권을 향한 긴 여정(인종문제) 등 일상적 삶과 연관된 주제가 선정됐다. 수업방법은 기사형태로 제시된 ‘읽을거리’를 재료로 활용, 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학습지를 만들어 토론수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자료 구성은 학습자들에게 사회 현상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며, 학습자 스스로 관련된 자료를 더 찾아보게 하고, 제시된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고 정리하는 사고과정을 거치게 하며 관련 지식을 익히는 활동을 곁들이면서 학습하도록 한다. 또 제시된 내용과 관련된 주제로 ‘말하기와 글쓰기’ ‘실험’ 등의 활동도 겸해 사회과뿐만 아니라 ‘언어’ ‘과학’ ‘예술’ 등의 교과와 통합적으로도 운영할 수 있다.
찬반 토론, 질문 위계 정하기 필요
쟁점 중심=토론 중에서도 다른 사람을 설득할 목적의 찬반 토론 성격을 갖는 주제에 적합한 교과 내용 구성 방식이다. 쟁점 중심 교과 내용의 구성을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첫째, 하나의 핵심질문과 몇 개의 하위질문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한다. 둘째, 쟁점질문의 선정은 ‘중요성, 유의미성, 탐구성, 자료의 풍부성’ 등에 비추어 선정한다. 셋째, 둘 중 하나의 관점을 정할 수 있는 주제보다는 좀 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질문을 구성한다. 수업 자료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세부 질문 안에서 다시 차시별로 다루어야할 작은 질문을 구별하고 다시 작은 질문별로 ‘찬’ ‘반’ 입장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자료들을 내용으로 제시해야 한다. 쟁점 중심 교육내용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에 적합한 핵심 질문, 세부질문, 수업을 위한 차시별 질문의 위계를 정하고 이를 위한 자료 제시를 제대로 배치하는 것이다.
적합한 토론 주제 선정 능력 키워야
교사의 토론 주제 구성=교과서 내용과 관련 없이 토론수업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교사가 토론 주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토론주제와 관련, 몇 가지를 유념해 구성해야 한다. 찬성과 반대의 의견으로 명확히 구분될 수 있는 주제, 학습자가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관심 있어 하는 주제로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적극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주제, 토론 주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양측의 근거 자료를 구하기 쉬운 주제, 토론의 결과가 학생의 생활이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주제, 토론 시작 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고르게 나눠질 수 있는 주제 등을 선별, 구성해야 한다. 주제 의식을 고려하면서 토론 주제를 재구성해 내는 방법은 <표>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