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6회 현장교육연구 발표대회 심사위원장을 맡은 신항균 서울교대 총장(55·
사진)은 “학교폭력, 생활지도 등 학교현장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보고서 하나하나에 교육을 위한 선생님들의 땀과 노고가 배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화려하게 꾸며 눈에 띄는 연구보다 누구나 현장에 적용해 볼 만한 연구를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 대회 심사를 하면서 느낀 점은.“지난해 수학과 심사위원으로 현장교육연구대회에 참여했는데 심사위원장으로 연구대회 전체를 바라보니 내용이나 형식면에서는 부족한 점들이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어느 때보다도 학교현장 적용성이 높은 연구가 많았습니다. 이 부분은 앞으로 현장교육연구대회 운영에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현장성이 강화된 더 좋은 연구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연구논문 편수가 줄어든 것이 가장 안타깝습니다. 교육발전을 위해서는 일선 교사가 직접 교육현장의 문제를 고민해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해 볼 수 있는 현장교육연구대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를 통해 교사로서 전문성을 쌓고 한 걸음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회가 발전하려면 지금의 승진점수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심사에 수석교사를 참여시키는 등 현장성을 강화해나가고 있지만 무엇보다 매해 발표되는 교사들의 훌륭한 연구논문들을 현장에 널리 일반화시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대회 발전을 위해 제언하고 싶은 점은.“연구하는 교사의 노고를 인정하고, 우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1등급 등 우수 연구논문의 경우 해당 교사가 시·도교육청의 특강 또는 연수에서 강연을 맡도록 하면 현실적이면서도 효과적일 것입니다. 연구 교사의 능력개발체계도 만들고, 연구도 널리 알리는 일석이조의 방안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