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학 수시‧ 사정관전형 반영이 바람직”
역사교과서와 6.25 북침 논란 등이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안양옥 교총 회장의 한국사 수능 필수 채택 발언이후 한국사 교육 강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안 회장은 지난 20일 제35대 회장 취임 기자회견에서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채택, 교사 양성과 임용‧자격 연수에서 한국사 필수 채택을 주장한 바 있다. 한국사는 2005년 수능 선택과목이 된 후 선택률이 27.7%에서 지난해 6.9%까지 떨어졌다. ‘2009 개정교육과정’으로 집중이수제가 도입되면서 서울시내 고교 가운데 178개교(81.7%)는 두 학기에, 40개교(18.3%)는 아예 한 학기에 한국사를 몰아서 배우기도 했다. 10곳 중 1곳을 제외하고는 학생들이 2년 이상 한국사를 접할 기회가 없는 셈이다. 안 회장의 발언이 현장교원들의 지지를 받기에 충분한 상황인 것이다.
6.25 전쟁에 대한 교원인식을 조사한 한국교총의 설문도 이런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277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6.25 전쟁의 원인에 대해 ‘잘 알고 있다’거나 ‘대체로 알고 있다’는 응답이 15.16%에 그쳤다. 또 교사 10명 중 7명은 6.25 전쟁에 대한 교육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윤정일 민족사관고 교장은 “안 회장이 수능 필수과목 채택을 제안한 것은 진짜 잘한 일”이라며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윤 교장은 “민사고는 국가의식, 민족의식, 단결의식 전부 한국사에서 나온다는 인식 아래 현재도 한국사를 필수로 가르치고 있다”며 “우리나라 역사를 모르고 세계를 이해할 수 없는 만큼 한국사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두형 우리역사교육연구회 회장(서울 양정고 교사)은 “민족사학, 국·공립대, 교·사대, 사관학교의 대입 전형이나 공무원 임용 등에서 한국사를 필수로 하는 것이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제안하는 한편 “역사교육 강화를 위해 향토사 수업, 문화유산 답사 등 어릴 때부터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장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6.25나 민주화 운동 등 현대사와 관련된 객관적 동영상도 많다”면서 “정부에서 이념적 논란이 없는 동영상 자료를 많이 제공해 교사들이 부담 없이 수업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도 주문했다.
“역사교육 강화를 위해 향토사 수업, 문화유산 답사 등 어릴 때부터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장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6.25나 민주화 운동 등 현대사와 관련된 객관적 동영상도 많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이념적 논란이 없는 동영상 자료를 많이 제공해 교사들이 부담 없이 수업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배우 송일국, 대학생 동아리 학생 등과 함께 지난달 5일부터 ‘한국사 지킴이 100만 대군 프로젝트’를 시작해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선정을 위한 서명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 33개국 한인회에서 서명지를 보내오거나 홈페이지(www.millionarmy.co.kr)의 온라인 서명에 동참하고 있다. 현재 서명인원은 4만3000명을 넘어섰다. 정치권도 한국사 교육 강화에 대한 인식을 같이 했다. 최민희 민주당 의원을 대표발의자로 한 여야 의원 13명이 지난달 13일 2017년부터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발의한 것이다.
그러나 수능이 과목 선택형 체제로 돼 있어 필수과목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능 필수보다 역사교육 강화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다른 교육부 관계자도 “대학별 수시전형이나 입학사정관 전형 등에 반영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면서도 “아직 대교협 등 대학 관계자들과 논의를 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