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도 못한 일, 학교가 해냈다”

2013.08.08 21:26:08

이기철 대사의 ‘네델란드 교과서에 한국 알리기’


시장경제, 민주주의 모범사례로 소개
고교졸업검정시험 반영도 추진하기로
교총에 양국 교과서집필자 교류 제안

“K-pop 콘서트도, 한식홍보행사도 한계가 있었는데, 답은 학교에 있었습니다.”

네덜란드 교과서 오류를 바로잡은 이기철 주네덜란드 대사(56). 그러나 그가 추진한 사업의 핵심은 ‘네덜란드 교과서에 한국 알리기 사업’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류정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알리는 것’에 있었다. 네덜란드에 우리나라를 알릴 방법을 고심하다 네덜란드가 선진국이라는 사실을 ‘학교에서 배웠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

그는 첫 결실인 티메뮤렌호프사의 초등 6학년 지리교과서에 대해 “외국에 대해 처음 접하는 시기인 만큼 이 때 우리나라를 고도산업국가로 배우면 한국에 대한 인식형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까지 오는 길이 쉬웠던 것은 아니다. 집필자들도 한국에 대해 모르고 딱히 교과서에 한국 관련 내용을 넣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 대사가 선택한 접근법은 첫째, 전례 없는 비약적 발전을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는 것이었다. ‘무에서 유럽 평균 수준으로 발전하는 데 걸린 기간이 불과 50년인 만큼 세계사적 의미를 갖는다’는 논리다. 둘째는 한국의 발전상을 통해 국민의 태도가 국운을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과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를 배우고, 6·25참전과 같이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일이 결코 낭비가 아니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는 교육적 효과를 부각시키는 것이었다.

현지 교사들과 교육계에 이 논리는 적중했다. 덕분에 9월 고교 역사과목 국가시험준비서에도 한국관련 내용이 기술된다. 이 대사는 “개정될 책에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에 의해 시작됐다는 사실을 분명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계자들을 설득시키기 위해 네덜란드인 입장에서 6·25에 네덜란드 정부가 5322명의 군인을 파견한 사실과 참전용사들의 희생이 한국의 선진국 진입의 기초가 됐다는 내용도 담을 것”이라고 했다. 참전자에게 감사하는 보훈외교와 고도성장을 이룬 우리나라 이미지 메이킹을 결합한 것이다. 그는 “고교졸업검정문제 출제위원회에서 내년에 6·25전쟁과 한국의 발전을 시험문제로 출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교과서개정 뿐 아니라 평가 반영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지난 3월 안양옥 교총회장과 만난 자리에서는 교과서 기술사업 확대를 위한 방안도 논의했다. 그는 “양국 교사들이 교류하며 이해의 폭을 넓힌다면 학생들에게 올바른 지식을 가르쳐줄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밝히는 한편 “교과서 집필자들 간의 교류활동을 교총에서 진행한다면 교과서사업에 시너지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또 그는 “네덜란드에는 한국관련 자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교총에서 초·중·고 수준에 맞는 관련 멀티미디어자료 등을 개발해 네덜란드 교육용 웹사이트나 온라인 교사자료방에 제공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사관에서는 중2 지리교과서에 세계대전 이후 선진국에 진입한 모델로, 중3 지리교과서에 자유 시장경제를 활용해 성공한 국가모델로, 중3 역사교과서에는 냉전시대를 거쳤으나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적 발전을 동시에 이룬 나라로 한국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 대사는 “이제 교과서에 한국을 바로 알리는 첫 발자국을 뗀 것”이라며 이렇게 기대했다.

“모든 교과서에 한국을 소개하고 싶지만 개정주기로 볼 때 임기 내에 다할 수는 없을 겁니다. 목표한 3개 교과서 개정이 연쇄적 파급효과를 가져오면 좋겠습니다.”
정은수 jus@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