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 년간 지속돼온 고교 교육의 문·이과 분리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문·이과 구분은 제2차 교육과정(1963~73)기에 생겼으나 2002년 7차교육과정 도입과 함께 공식적으로는 사라졌다. 하지만 대부분 일반계 고교에서는 아직도 2학년 이후 문·이과로 반을 나눠 가르친다. '문과→과학탐구', '이과→사회탐구' 응시가 불가능한 수능체계 탓이 크다. 상당수 대학은 문과는 사회, 이과는 과학 점수를 요구한다. 고교보다 대학에서 먼저 교차지원이 가능하도록 문을 열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문·이과 분리에 대한 비판이 커진 이유는 융합과 통섭이 ‘21세기형 인재’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문학적 소양이 없는 이과생, 수학은 아예 포기한 문과생 등 ’편식 공부‘를 부추기는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교육부가 밝힌 2017수능 '완전 융합'안은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공통적으로 수능에서 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한국사 시험을 치러야 한다. 출제 범위도 문·이과 구분 없이 동일하다. 교육부 박백범 대학지원실장은 “수능에선 공통 학업능력을 보고, 학생부에서 학생이 선택한 심화과목을 반영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능을 기초수준으로 쉽게 출제하겠다는 뜻이다.
교총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사들은 문‧이과 폐지라는 취지에는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 수급 등 학교준비 부족 ▲학습량 증가 등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일부융합인 절충안에 조금 더 많은 교사들이 점수를 주는 이유다.
박봉철 울산 남창고 진로환경부장은 “이과 졸업생들이 한자를 배우지 않아 사회에 나가 고생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면서 “고른 성장과 교육과정 정상운영을 위해 조금씩 변화하는 일부 융합안 도입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대구 포산고 김영화 교사(고3부장)는 “올해 도입됐다고는 하지만 융합과학을 가르치는 학교는 거의 없다”면서 “코티칭 등 준비가 필요한데 준비가 덜 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요즘 ‘과전강’ 이야기가 나오던데 또 강사로 채우게 되지는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문·이과 완전 융합안이 시행되면 외고 등 특목고가 유리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의대 준비반 등을 운영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박백범 실장은 “설립목적에 맞지 않는 특목고를 지정취소 할 수 있도록 법령개정을 하고 있지 않냐”면서 “사교육시장의 논리에 끌려가는 꼴”이라고 일축했다. 쉬운 수능으로 가면, 사교육 수요가 가장 많은 수학이 제일 타격이 큰데 수학 사교육 수효가 줄어들 것이라는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고 오히려 반대되는 이야기를 띄우고 있는 것에 언론이 휘둘리고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