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전 7시 30분. 경기 평택의 가사초 앞. 등교 시간이 아직 한 시간 남았지만 일부 아이들은 이미 등교를 마쳤다. 한 시간에 한 대 뿐인 시외버스를 놓치면 등교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다. 버스 하차 후 학교까지 차도를 걷는 아이들의 모습이 위태로워 보인다. 어린이 보호 구역이지만 도로가 좁고 인도가 없는 탓이다. 전교생 51명의 농촌 소규모 학교 가사초. 대부분 부모의 자가용으로 등교하지만 맞벌이 가정이나 거리가 애매한 아이들 20여 명은 버스와 도보로 학교에 온다.
학교 앞은 국도와 마을이 연결되는 통로라 유입 차량도 많다. 국도변에 육교가 설치돼 있지만 달리는 차와 신호위반 차량도 많아 위험 요소는 항상 내포돼 있다. 결국 지난해 5학년 여학생은 신호위반 트럭에 치여 한 달 간 입원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등하굣길 통학버스가 생기면 어떨 것 같으냐고 묻자 아이들은 “너무 좋을 것 같다. 꼭 생겼으면 좋겠다”며 해맑게 웃었다.
통학버스가 없는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이 등하교시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농어촌 소규모 초교 1073개 중 통학버스가 없는 곳은 모두 304곳(28.3%)이었다.
개인차량(36.2%)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도보(32.5%)나 버스(7.7%) 이용 비율도 만만치 않다. 이들 학교 교사의 55.6%는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답했다. 이유는 ‘통학로 안전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거나(40.6%)’, ‘대형차가 많이 다녀 위험하고(27.8%)’, ‘인적이 드물어 위험에 대처하기 어렵다(12.8%)’는 것 등이었다. 등굣길에 만난 4학년 민정(가명) 양은 “토요일 방과 후 수업이 끝나면 버스 시간이 맞지 않아 집까지 30~40분 걷는데 한 번은 수상한 아저씨가 쫓아와 위험을 느끼던 중 부모님이 나타나자 사라진 적도 있다”고 말했다.
국제아동구호단체인 세이브더칠드런과 민주당 김춘진 의원실은 지난달 30일 농어촌 소규모 초교의 통학환경을 조사해 이같이 발표했다. 4월과 7월 설문조사 방식으로 통학 수단과 거리, 출석․지각에의 영향 등이 파악됐다.
버스를 이용하는 아이들은 안전 문제 이외에도 긴 통학시간과 버스 배차간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사초의 경우 멀게는 학교로부터 6km 떨어진 곳에서 등교하는 아이도 있다. 욕지도에 위치한 원량초는 4개였던 학교가 모두 통폐합되면서 마지막 남은 학교다. 통학버스 대신 하루 1천 원의 교통비가 지원되지만 등하교 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마을버스가 선박 입출항 시간에 맞춰져 있어 7시 경에는 집을 나서야 한다. 도보 등교하는 아이들도 보통 20~30분 가까이 좁은 차도를 걸어야 한다.
조사 결과 등교시간 운행 버스 수가 1~2대인 경우는 62.7%였다. 버스를 놓칠 경우 택시를 타거나 다음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등 차질이 생긴다는 이야기다. 최근 3개월 내 지각․결석 비율을 살펴보면 통학버스가 없는 학교는 21.4%인데 비해 통학버스가 있는 학교는 2.3%로 나타났다. 농촌학교에서의 통학버스 유무가 교육 접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예다.
통학버스 부재에 따른 부담은 학부모와 교사에게 전가된다. 원량초 이강우 교감은 “아이들이 아프거나 부모가 데리러 오지 못하는 경우, 버스가 고장 나는 등 급한 상황에서는 교사들이 개인 차량으로 아이들을 실어 날라야 한다”면서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늘 노심초사하는 것이 괴롭다”고 밝혔다. 춘천 당림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오전 8시, 오후 5시 경에 한 대씩 있는 버스 시간 때문에 방과 후 학교도 그에 맞춰 늦은 시간까지 늘렸다. 김순애 교사는 “학교 교육과정이 시내 버스시간에 맞춰 운영되는 거꾸로 된 현실”이라며 “아이들 귀가문제로 야간 행사는 꿈도 못 꾼다”고 토로했다.
교사들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학환경이 어려운 농어촌 아이들을 위한 보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예산이다. 교육청 관계자들은 “주로 통폐합 학교 위주로 예산을 지원해왔는데, 일반 소규모 학교까지 지원하게 되면 어느 한 곳만 줄 수도 없고 예산을 갑자기 늘리기도 어렵다”며 “예산도 조금씩 늘리겠지만 인근지역 학교끼리 통학버스를 공유하고 체험학습 등 필요한 경우 빌려주는 방식으로 보완하고 있다”고 답했다.
모든 아이들에게는 동등한 교육 접근성과 안전성을 누릴 권리가 있다. 제충만 세이브더칠드런 간사는 “지역사회별 특성 및 여건은 다르지만 예산 등 지원 환경에 지역별 불균형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며 “통학 문제는 개인이나 개별 학교가 아닌 국가가 책임져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