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능 한국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본래 취지, 즉 청소년들의 역사의식 부재에 지식 및 소양을 향상시키겠다는 내용이 생략되는 분위기다. 지금 상황대로라면 수능 한국사가 ‘시험을 위한 시험’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살펴보면 학계는 물론 평가원 관계자 등 전문가들의 발표를 보면 지나치게 출제범위, 난위도 등에 매몰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요즘 수능 한국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이런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역사인식 발전에 도움을 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빠지고 있다.
이는 정작 시험을 치를 학생 의견을 듣지 않기 때문이다. 누구를 위해 시험이 존재하는가? 평가의 원래 목적이 무엇인가?
단순히 한국사 시수를 늘리고 수능 필수화한다고 학생들의 역사의식이 저절로 발전될 지는 의문이다. 시험을 통한 평가와 대학입시만 연관 지어 한국사를 가르친다면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 증가보다는 진학에 필요한 하나의 도구로 전락해 버릴 위험성도 따른다.
수능 필수라는 제도적 틀과 더불어 살아있는 역사, 움직이는 역사에 대한 직접적이고 다양한 체험의 제공도 병행돼야 할 것이다. 텍스트를 통해 입시 과목으로 학습하게 될 역사적 지식의 한계는 자명하다. 직접 느끼지 못하고 경험하지 못했던 역사적 사실과 진실에 대한 공감 문제, 역사의식에 따른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수행과 책무에 더욱 고민해야 할 것이다.
교육활동 전반적으로 역사의식 함양과 관련된 교육과정 진행이 병행되어지지 않고 수능 과목으로서의 역사의 위치만 존재한다면 청소년들의 입시과목에 1과목 추가와 그로인한 부담감, 사교육비 증가의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점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역사 교육이 되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정책을 입안하고 연구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사자인 수험생들 의견도 반영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문제에 대한 고민이 반드시 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