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교육은 이렇게]
책 읽기 좋은 계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매년 9월이면 일선 학교에서는 독서의 달 행사를 연다. 평소 책을 가까이 하지 못했더라도 이때만큼은 독서를 실천해보자는 취지다. 그만큼 독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각종 미디어가 발달한 요즘, 책 읽기를 즐기는 학생을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학부모, 교사를 막론하고 독서교육에 골머리를 앓는 이유다. 독서의 달을 맞아 본지는 ‘특집-교사 2인의 독서교육법’을 마련했다. 수년째 학교 현장에서 독서교육에 힘쓰고 있는 교사 2인을 만났다.
송재환 교사
“초등 시기의 독서, 평생 어휘력 결정해”
매일 책 읽어주기, 흥미 유발에 효과적
송재환 서울 동산초 수석교사(‘초등 1학년 공부, 책읽기가 전부다’ 저자)는 “초등 시기의 독서가 중요한 건 평생 어휘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라며 말문을 열었다.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시험 문제를 못 푸는 학생을 종종 봅니다. ‘선생님, 이 단어 뜻이 뭐예요?’라고 질문하죠. 최근 교과서가 스토리텔링 형으로 바뀌면서 이런 어려움을 호소하는 어린이가 많아졌어요. 성인이 돼서 사용하는 어휘의 85%가 청소년기 이전에 습득된다고 합니다. 초등학교 때 어휘력을 기르는 게 얼마나 중요한 지 말해주지요. 쉽고 재미있게 어휘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은 독서밖에 없습니다.”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독서의 중요성을 절감한 송 교사는 ‘전교생 고전 읽기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매일 오전 8시 40분이 되면 전교생이 고전 책을 펼쳐 들고 ‘독서 삼매경’에 빠진다. 하루에 20분씩, 한 달에 한 권 읽기를 목표로 한다. 올해로 벌써 5년째다. 그는 “모든 학생이 똑같이 책을 읽었지만, 성과는 반마다 달랐다”고 설명했다.
“어떤 반은 아이들이 책을 읽는 둥 마는 둥 하니, 그만 하자고 합니다. 또 어떤 반은 수업을 시작해야 하는데 책을 더 읽겠다고 아우성이래요. 같은 프로그램인데 왜 학생들의 반응이 서로 다를까, 궁금해서 교실을 들여다봤어요. 답은 교사에게 있었습니다.”
고전 읽기가 활성화 된 반은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책을 읽었다. 책은 학생과 교사의 소통 창구가 됐다. 감명 깊었던 내용을 공유하고 재미있는 책을 서로 추천했다. 반면, 그렇지 못한 반에선 교사는 다른 업무를 처리하느라 바빴고 아이들은 책만 펼쳐둔 채 먼 산만 바라봤다.
그는 “책을 읽으라고 채근하는 대신 교사가 본보기를 보여준 게 주효했다”고 말했다.
송 교사는 쉽게 해볼 수 있는 독서교육 방법으로 ‘매일 5~10분 책 읽어주기’를 꼽았다. 매일 마지막 교시에 5~10분 짬을 내어 연령에 맞는 동화나 소설, 고전 등을 읽어주는 것이다. 제목은 알려주지 않고 한 학기에 걸쳐 책 한 권을 읽어주는 게 핵심이다.
송 교사는 “매일 조금씩 읽어주다 보니, 다음 내용이 궁금해서 제목을 묻는 학생이 대부분”이라면서 “절반도 채 읽어주지 않았는데 반 학생 3분의 2가 책을 사서 읽을 정도로 반응이 폭발적었다”고 전했다.
김미경 교사
“좋은 책 고르는 안목 길러주는 게 핵심”
주제별 책 목록으로 맞춤형 독서 지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교육은 흥미·적성에 맞추는 게 효과적이다. 시간을 쪼개 공부하는 시기인 만큼 진로교육, 학생 상담, 교과 활동 등과 연계하는 것도 방법이다.
김미경 경기 호평중 교사(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공동대표)는 “학생의 관심사, 고민 등을 주제로 도서 목록을 만들어볼 것을 추천하고 싶다”고 했다.
“중학교에 올라가면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말을 안 들으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초등학교 때보다 독서를 지도하기가 어려워요.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 책을 통해 지식을 얻는 즐거움이 얼마나 큰지 스스로 깨달아야 독서를 즐길 수 있죠. ‘도서 목록 만들기’는 이것을 알려주기 위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먼저, 아이들을 관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주제를 선정한다. 진로·친구 관계·성(性) 등 아이들의 고민거리를 주제로 삼거나 ‘수학이 진절머리 나는 학생을 위한’ ‘문학 감성이 충만한 학생을 위한’ ‘조선시대 역사의 뒷이야기가 궁금한 학생을 위한’ 등 상황에 맞는 주제를 정한다.
김 교사는 “시간이 날 때마다 지역 도서관이나 서점을 방문해 주제에 맞는 책을 살핀 후 목록을 완성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사는 수년간 이 방법을 실천했다. 목록에 오른 책을 학교 도서관에 마련해두고 학생이 직접 고르게 했다. 책의 절반을 읽을 때까지 수업시간의 5~10분을 독서 시간으로 할애했다. 그는 “절반 정도 읽고나면, 뒷이야기가 궁금해서라도 끝까지 읽게 된다”고 귀띔했다.
이 과정이 익숙해진 후에는 ‘가방 속 책 한 권 운동’을 진행했다. 학생 스스로 양서(良書)를 골라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읽도록 돕는 활동이다. 교사는 학생이 고른 책을 보고 제대로 선택했는지를 조언한다. 한 학기에 한 번, 자신이 고른 책을 읽고 느낀 점, 책의 난이도, 책이 주는 메시지, 좋은 책인지 등에 대해 발표할 시간도 마련했다.
김 교사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지식 다루는 기술’”이라면서 “그걸 알려주는 게 바로 독서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교사는 아이들이 좋은 책과 필요한 책을 고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해요. 사실 책을 싫어하는 아이는 없습니다. 그저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접하지 못한 것이지요. 책에 대한 좋은 기억은 독서의 재미로 이어집니다. 살면서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책 한 권을 떠올려보세요. 그리고 다시 읽어보세요. 교사가 먼저 책의 맛을 느껴야 아이들에게 그 맛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