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주관한 ‘9시등교 100인 원탁토론’에서 초·중·고교 학생, 교원, 학부모 대표가 거의 동수로 참여해 논의한 결과, 대부분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학부모는 학부모끼리, 학생은 학생끼리, 교원은 교원끼리, 또 학교급도 나눠져 아주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진행된 토론에서 나온 결과다. 물론 주최 측이 찬반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도록 했지만, 의견을 들어보면 그 안에 충분히 반대라고 예측 가능할만한 내용들이 발표됐다.
학생들은 수능시험과 연계해 리듬이 깨지는 문제가 크다고 지적했다. 수능시험의 시작시간과 학교의 등교시간이 다른 것은 학생들에게 결정적인 문제로, 이 경우 수능을 늦추면 되겠지만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수능이기 때문에 9시 등교제를 시행하는 시·도에만 맞추기 어렵다. 학부모들 역시 맞벌이 가정에서 아이들이 방치될 수 있는 문제와 학교 하교 시점 등 이유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교원들도 현재 서울교육청의 정책 중 9시 등교제가 가장 시급한 문제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무리한 추진을 위해 학교의 자율성이 침해되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서울교육청은 의견 조사를 거쳐 반대가 많이 나온다면 도입하지 않아야 한다는 당초 입장을 지켜야 할 것이다. 제도에 직접 영향을 받는 학생들마저 반대했다면 무리하게 추진할 명분 역시 사라졌다고 봐야 옳다. 사실 9시 등교제를 도입하겠다는 명분 자체가 뚜렷하지 않았으므로 시간을 두고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한 후 다시 추진해도 늦지 않다.
9시 등교제를 강행한 경기도만 봐도 많은 문제점들이 나오고 있다. 맞벌이 가정의 경우 학생들을 미리 등교시키면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것은 소수 학생들일 때 통하는 것이었다. 너무 많은 학생들이 미리 등교하는 일부 학교에서는 도저히 감당하기 어렵다는 원성이 자자하다.
한 학기동안 시행한 결과가 이렇다면 문제를 해결한 후 도입해야지, 분위기에 따라 당장에 도입하면 더 많은 부작용으로 치달을 수 있다. 시행에 따른 문제점의 해소 방안을 먼저 찾는 것이 현 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