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내기 교사들의 고충
기록 안했다 학년말에 당황
오래 걸려 방학에 작성키도
생기부 작성에 지름길 없어
기록도 본연의 업무로 인식
서울 A초 B교사는 행정업무 시 공문서 작성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끝점 찍기, 띄어쓰기를 두 번하기 등 형식적인 제약이 과도하고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문서 서식이나 규격 등 형식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지만 작성방식에 대해 잘 모르고 배울 기회도 없었던 상황에서 무조건 형식만 맞추는 게 과연 의미 있는 것인지 회의감이 들었다.
신규 저경력 교사들은 부임 후 행정업무를 맡고 적잖이 당황한다. 대학에서 실제 행정업무나 예산 짜는 법, 공문서 작성법에 대해 배운 적도 없는데 발령을 받자마자 학생 파악도 잘 안되고, 교실 운영도 어려운 상황에서 행정업무까지 떠안다 보면 여간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다. 처음이다 보니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도 어려움 중 하나다.
서울 C중 D교사는 얼마 전 ‘오늘까지 내라’는 급한 공문을 처리하느라 수업시간에 자습을 시킬 수밖에 없었다. 경험이 없다보니 처리시간이 고경력 교사들의 배 이상 걸리는데다 어떻게 할지 방법을 몰라 우왕좌왕 하다보면 늘 시간이 부족하다.
특히 학년 말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때는 더욱 당황했다. 학생별로 성격, 특징 등을 적어야 하는데 평소 그런 생각을 염두에 두지 않았던 탓에 특별히 써줄 말이 떠오르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틈틈이 기록이라도 해뒀으면 이렇게 고생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는 후회와 함께 쉬는 시간마다 작성하는 것도 모자라 결국 방학 때까지 생활기록부 작성에 매달려야 했다.
전문가들은 “평소 학교생활 전반에서 학생들의 특징이나 특이사항이 관찰되면 그때그때 기록하고 정리해두는 것을 습관으로 만들라”고 조언한다. 류은낭 인천 계산고 수석교사는 “조‧종례 시간에 표정이 달라진 아이는 없는지 수시로 살피고 가능한 상담시간을 많이 확보해 상담 직후에 조금씩 기록해두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된다”며 “학년말에 한꺼번에 하느라 고생하는 것 보다 조금 귀찮더라도 미리미리 누가 기록을 해 두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울산 E중 F교사는 매년 작성기준이 달라지는 탓에 적응이 어렵다. 심지어는 점의 위치 하나, 사소한 것까지 바뀌고 규정해놓는 까닭에 업무에 익숙해지기는커녕 매년 혼란만 가중되는 느낌을 받았다. 그는 “내년부터는 자유학기제가 도입되면서 개개인별로 서술형 성적표를 작성해야 한다더라”며 “지금도 행정업무와 수업비중이 1대1인 상황에서 더 늘어날 것을 생각하니 깜깜하다”고 털어놨다.
인천의 G초 H교사도 “규정이 있긴 한데 워낙 내용이 많고 복잡해 급한 경우에는 선배 교사들에게 구두로 묻고 작성하는데 명확한 기준을 몰라 나중에 오류가 많이 생기는 편”이라며 “수정을 하려면 교장선생님 결재를 받아야 하는 등 상당히 번거롭다”고 토로했다.
박명옥 경기 영통중 수석교사는 “자유학기제, 입학사정관제 도입 등 교육정책이 계속 변하기 때문에 기재요령도 매년 바뀔 수밖에 없다”며 “생활기록부 작성에 있어 쉽게 가는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교사가 수업만 잘하면 되지, 시험 보고 나면 끝이지, 라고 생각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교육과정은 수업-평가-기록이 하나로 연결돼 있습니다. 수업과 평가만큼 기록도 중요하다는 거죠. 그런데 선생님들이 수업이나 평가는 중요시하면서도 기록은 그만큼 중요한 교육과정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요. 앞으로의 교육은 지도 후 결과를 기록하는 것이 당연한 교육과정의 일부고, 전체보다 개개인을 살피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학생부 작성도 아주 중요한 교사 본연의 업무 중 하나라는 것을 인식하고 매년 바뀐 규정을 꼼꼼히 살피고 숙지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