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10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올해 발표한 ‘2014년 인터넷 중독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10~19세 청소년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은 무려 29.2%로 나타났으며, 이 비율은 매년 상승하고 있다.
매년 상승하는 중독 위험군 비율
최근 영국 더비대 연구팀이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이 술·담배보다 건강에 훨씬 나쁜 영향을 준다는 보고도 나왔다. 안구건조증, 어깨 및 목의 통증을 유발하며 그 결과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중독의 주요 증상으로는 학업장애, 디지털 치매, 수면장애, 주의력결핍 행동장애(ADHD), 충돌조절 능력 저하, 대인관계 미숙, 불안 및 적응장애, 우울증과 사회 부적응 현상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의 건전한 정신과 건강한 성장발달을 저해하고 있으며 학습장애, 사회성 저하는 물론 자살과 친족살인 등으로 비화, 현재 우리사회에 심각한 위해요인이 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부적절한 예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거리에서 스마트폰 동영상을 보느라 신호등도 살피지 않고 길을 건너는 위험천만한 모습은 물론, 운전 중에도 무심코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하거나 정보검색을 하다가 자동차 사고가 나기도 한다. 또 식당에 가면 2~3세의 아이가 울고 있을 때 무심코 자녀에게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보여주는 부모들이 우리 주변에 아주 많다.
한 번은 수업 시간에 한 학생이 책상에 엎드려 잠을 자고 있기에 ‘어제 밤에 몇 시에 잤어?’라고 물으니 “새벽 3시에 잤어요”라고 말했다. ‘왜 그렇게 늦은 시간에 잠을 자?’라고 물으니 “새벽 3시까지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카톡, 카카오스토리)을 하다가 잠이 들었어요” 라고 말하는 것 아닌가. 이런 학생은 한 학급에 1~2명 꼭 있다. 물론 학업 때문에 새벽 2~3시까지 공부를 하는 것 역시 좋지 않은 습관으로 볼 수 있지만, 공부도 안 하면서 불필요하게 스마트폰을 밤늦게까지 사용하는 습관은 아주 좋지 않다.
어른부터 자제하는 솔선수범을
그렇다면 청소년의 스마트폰(인터넷) 중독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먼저 부모와 선생님 등 성인들이 학생들 앞에서 솔선수범을 보여줘야 한다. 바람직한 해결 방법은 통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 교사들이 스스로 스마트폰에 중독되지 않도록 모범을 보일 때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자녀와 식사를 하는 부모님은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는 나쁜 습관부터 버려야 한다. 식사시간에는 대화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을 잠시 꺼 놓아도 별 무리가 없다. 교사들 역시 마찬가지다. 학교 점심시간 급식실에서 스마트폰으로 정보검색을 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학생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없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정해진 시간만큼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등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 가정환경 만들기 캠페인이 시급하다. 가정에서 자녀에게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폐해를 알려주고, 올바른 사용 습관을 길러 스마트폰 이용을 절제하도록 모두 관심을 갖고 노력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