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은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설렘만큼 긴장이 높아지는 시기다. 새로운 담임선생님과 친구, 학교, 교실환경이 변화의 즐거움만큼 낯설고 불안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학교 싫다는 아이, 야단쳐선 안 돼
그래서 많은 학생들은 3월 신학기에 소위 ‘새 학기 증후군’에 시달린다. 새 학기 증후군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나타나는 다양한 정신적?육체적 증상으로 스트레스가 가장 주된 원인이다. 그 결과 식욕부진, 구토, 복통과 두통, 수면장애, 불안감과 초조함, 무기력, 잦은 짜증과 화냄, 그리고 심하면 우울증, 틱 장애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이 때 자녀를 혼내거나 야단치는 행동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부모가 다그치면 다그칠수록 상황만 더 악화시켜 자녀에게 더 큰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새 학기 증후군은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교사나 그 배우자 역시 한 아이의 ‘부모’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같은 문제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몇 가지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
첫째, ‘누구나 새 학기 증후군은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자녀를 진심으로 믿어주면서 자주 칭찬과 격려의 말을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무조건 학교에 가기 싫어서 꾀병을 부린다고 야단치고 다그치는 것은 금물이다. "넌 잘 할 수 있어" 같은 말로 용기를 북돋워주면 아이는 자신감과 자긍심을 갖고 새로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다.
둘째, 3월에는 이전보다 부모와 자녀가 더 자주, 더 많이 대화를 나눠야 한다. "오늘은 학교에서 어떻게 보냈어?" "친구들은 많이 사귀었어?" 등 소소한 얘기를 하며 관심을 가져주고 자녀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렇게 하면 자녀가 새로운 환경에 노출돼 생기는 고민거리, 두려움과 불안감, 그리고 말 못할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다.
셋째, 무리하게 새로운 학원과 과외를 강제로 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자녀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공부만을 중요시 하다보면 친구들과의 대인관계를 잘 맺지 못 할 수 있다. 따라서 새 학기 3개월 동안은 자녀의 심리적, 육체적인 상황을 잘 관찰하고 즐겁게 생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아낌없이 칭찬하고 더 안아줘야
넷째,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기르도록 솔선수범하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옆에서 적극 도와야 한다. 왜냐하면 집에서 매번 좋아하는 음식만 먹다가 학교에서 단체급식을 먹게 되면 입맛에 맞지 않아 잘 먹지 않은 경우가 아주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에 잠을 자고 일어나게 하는 것부터 생활습관을 들이도록 해줘야 한다.
또한 아이가 많이 컸다고 애정표현에 인색해서는 안 된다. 더 많이 안아주고 사랑한다고 말해야 한다. 부모에게 사랑을 충분히 받은 아이일수록 대인관계와 사회생활을 잘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뿐만 아니라 교사들도 교실에서 함께 실천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