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일선 교육관련 기관에서 학생들 문제집과 관련된 비리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접했다. 일선 교육 관련기관에서 수능과 관련하여 일부 업자들로부터 청탁이나 금품을 수수 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였다.
내심 이런 기사를 보면 대한민국이라는 곳에서 대학입시와 관련된 기관들의 비리가 심심치 않게 내재하고 있음을 직감할 수 있다. 대부분이 학생들의 문제집이나 참고서와 관련된 일임을 보면 정말로 교육적이어야 할 곳이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에 분노를 삼키게 만든다.
선생님 또 문제집 사요?
일선 고등학교 현장에서는 대부분 보충수업으로 학생들에게 문제집이나 기타 참고서를 선택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수능이나 대학입시와 관련한 것이기에 학생들도 별 군말 없이 구입하게 된다. 하지만 구입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점에 곧잘 학생들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선생님 또 문제집 사요, 도대체 문제집이 몇 권이나 되는 줄 아세요?”
“그렇게 말하면 선생님 섭섭하다. 마치 내가 문제집을 팔기 위해 광고라는 하는 것처럼 말하는구나.”
“그건 아니고요, 과목마다 대부분 문제집을 사야하니 너무 부담이 많이 되서 그래요.”
“선생님도 안다. 하지만 수능을 보기 위해서는 부득불 문제집이나 참고서를 통해 공부를 해야 하지 않니. 선생님도 마음이 정말 아프다.”
많은 아이들은 새 학기가 시작되면 구입해야 되는 문제집이나 참고서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하소연한다. 특히 이는 시골의 농․어촌 학교로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인생이 걸린 문제인데, 그것도 투자 못하냐’고 말할 수 있겠지만 정말로 하루 벌어먹고 사는 이들에게야 그것도 정말 큰 비용이 아닐 수 없다.
문제집과 참고서로 찌든 우리의 입시현실
입시를 목전에 둔 고3은 특히 수많은 문제집, 참고서를 통해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교과서는 이전에 진도를 끝내 버리고, 문제집이나 참고서를 통한 수업이 이어지게 된다. 입시와 관련해서 우리 학교 현장이 직면한 문제를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말 문제는 문제야. 이거 원 온 나라가 사교육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학교 다니면서 사야 하는 문제집과 참고서도 아마 단단히 여기에 한 몫을 할 거야.”
“맞습니다. 특히 고3이 되면 교과서는 어디로 갔는지 찾을 수도 없고, 수 십 종의 문제집과 참고서만 교실에 난무하니, 그것도 돈으로 계산하면 꽤나 될 거에요. 전인교육은 말 뿐이고, 정말로 입시지옥이나 다름없는…”
“어떤 아이들은 문제집을 사지 못해, 매일 나에게 복사 좀 해 달라고 통사정 하는 아이도 있어요. 참 난감해서, 이놈에 입시만 없다면….”
많은 일선학교 선생님들도 아이들의 문제집과 참고서 구입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입시 위주의 체제에서 쉽사리 문제집과 참고서의 유혹을 벗어나기 힘든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직접적인 입시와 관련된 선생님들은 부득불 문제집과 참고서를 아이들에게 강요 아닌 강요하게 된다.
“우리나라만큼 문제집과 참고서가 많이 팔리는 나라는 없을 거야. 과연 이게 교육적인지 물어봐야 하는데, 어느 누구도 이런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이 없어.”
“맞아요, 과연 교육적이냐 부터 따져봐야죠.”
“하지만, 입시를 앞둔 아이들을 대상으로 모험을 걸 수는 없잖아. 정작 학교에서 맡아야 할 몫을 문제집과 참고서가 어느 정도 대신해 주는 것도 사실이잖아.”
문제집과 참고서 선정의 투명성을 넘어!
보통 일선학교에서는 문제집과 참고서를 선정하는데 학교운영위원회의 간단한 심의를 거쳐야 한다. 물론 대부분 같은 과목 간 선생님들의 협의를 거쳐 선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선 학교 선생님들이야 어떻게든 아이들의 교육비를 줄여주려고 애쓰지만 입시라는 장벽 앞에서는 불가항력적인 경우가 많다.
물론 집안 형편이 넉넉해 자신이 볼 수 있는 책을 마음껏 살 수 있는 경우야 두 말할 나위가 없지만, 정말로 공부는 하고 싶지만 마음껏 책을 사지 못하는 경우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사교육비라 정작 말들 많이 하지만, 일선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공부를 위한 것으로 구입하게 하는 수십 종의 문제집과 참고서에 대해서는 거의 말이 없다. 물론 대도시에서 암암리에 벌어지고 있는 거액의 고액과외에야 비할 바 아니지만, 이 돈마저도 생계에 위협을 느낄 정도의 아이들도 우리 주변에 많다는 점은 아마 양극화의 가장 극단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집마저 선생님께 찾아와 복사를 부탁하는 아이를 어떻게 교사가 일언지하에 거절할 수 있겠는가. 물론 문제집을 복사해 주는 것 자체는 분명 법의 잣대로 본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이런 점들을 주지시켜 현실의 모습을 이야기 해 줄 필요성도 있다.
하지만 그에 앞서 공부는 하고 싶지만,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마음껏 책마저도 사지 못하는 아이들이 우리 주변에 많다는 사실은 가끔 교사로서 서글픔과 아픔을 느끼게 한다.
일부 교육관련 기관에서 문제집과 참고서를 빌미로 일부 업자들로부터 거금의 받았거나 혹은 향응을 제공받았다면 이는 그 기관의 존속자체부터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입시를 빌미삼아 우리 아이들을 대상으로 장삿속을 밝히려고 하는 것은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