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육체나 정신을 재충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방학 때문에 교사들을 부러워하는 사람들이 많고 시샘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연수 등으로 방학동안에도 바쁜 교사들이 많다.
월요일에 기다리던 개학을 했다. 개학 전에 미리 교실 문을 활짝 열고 청소를 하며 아이들 맞을 준비를 했다. 아이들이 방학동안에 보낸 편지나 전화의 내용을 보면 아이들도 개학을 기다리고 있었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빨리 개학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학부모도 많았다.
어디건 사람이 사는 곳은 생동감이 있어야 어울린다. 방학동안 조용해서 답답했던 학교가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몰려다니며 떠드는 소리로 활력이 넘친다. 아이들만 그런 게 아니다. 교직원들도 물 만난 고기마냥 괜히 신이나 싱글벙글한다.
한명도 빠짐없이 밝은 모습으로 등교한 걸 보니 담임이 더 반갑다. 아무 사고 없이 만나자는 약속을 잘 지킨 아이들이다. 며칠만 보지 않아도 아이들은 훌쩍 커버린다는 것을 방학할 때마다 느낀다.
물어보기도 전에 방학동안에 있었던 일을 얘기하고 싶어 안달하는 아이도 있다. 아침 청소를 하는데도 졸졸 따라다니며 얘기보따리를 풀어놓느라 바쁘다. 방학동안에 행동이 확 바뀐 아이도 있다. 말도 잘 하지 않으면서 제법 어른스럽게 행동하는 아이를 보니 어색하다. 오히려 왁자지껄 정신없이 떠들고, 참지 못해 짜증도 부리고, 자기들끼리 짜그락거리며 싸움도 하는 게 3학년답다.
가끔 교육이 도마 위에 올라 안타까울 때도 있지만 희미한 불빛아래서 한 땀 한 땀 정성스레 바느질을 하듯 아이들을 반듯하게 키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교사들이 내 주변에 많아 힘이 난다. 그래서 더 행복하다.
교사라면 누구나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고, 불우한 아이들 뒷바라지에 신경 쓴다.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키워줄 수 있을까 고민도 한다. 꼭 그렇게 되라는 법은 없지만 내가 가르친 아이들만은 모두 행복하게 살 것이라는 야무진 꿈도 가지고 있다.
그게 뭐 그리 중요해서가 아니라 그냥 그러고 싶을 뿐이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본인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서도 아니고, 당장 어떤 대가가 주어지는 일이 아니지만 그냥 그렇게 사는 게 편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냥 아이들이 좋아야 하기 때문이다.
미력한 힘이나마 아이들이 행복을 찾는데 보탬이 되는 일이라면 앞장서야 하는 게 교사의 역할이다. 남은 2학기 동안에는 좀더 아이들과 가까이 하면서 사랑을 듬뿍 심어줘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