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학교를 몇 군데나 지원하노?"

2006.09.17 20:07:00

현행 대입제도는 수시와 정시로 구분된다. 수시는 1학기와 2학기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수시는 정시에서 오는 학생들의 다양한 대학 선택권 기회의 박탈과 입시에서 오는 지나친 중압감을 해결하고자 시행된 제도이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수시가 가지는 폐해가 학교현장에서 발생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수시가 가지는 기본적인 목적과 방향을 벗어나 과도한 대입전형료나 학생들의 무분별한 대학 지원에서 오는 대학 진학에의 방향 상실감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이는 성적인 낮은 학생일수록 심각한 큰 문제로 대두된다.

뿐만 아니라 수시철만 되면 수많은 대학에서 학생들 유치를 위해 일선 고등학교를 시도 때도 없이 방문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어 학생들의 면학 분위기를 해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다.

수시, 이미 본연의 목적을 상실했어요!

도시지역과 농․어촌 지역에서 20년 이상 입시지도를 하신 본교의 모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지적한다. 선생님은 수시 때문에 학생들이 신중하게 자신의 대학진학을 결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특히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많은 대학들이 마치 아이들을 장삿속의 대상으로 본다는 점을 특히 우려하고 있었다.

“말도 말아요, 이거 원 대학들이 어떨 때는 아이들을 마치 장삿속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 같아 영 찜찜해요. 일단은 자기학교에 원서만 넣게 해서 합격만 시켜 놓겠다는거야.”
“그럼 그 이후의 과정은 생각하지 않는다는 겁니까?”“그렇게 해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나중에 다시 대학을 가려고 하거나 상당히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경우가 많아. 정작 신중하게 자신의 진학을 고민하지 않는 것이지. 물론 학생들에게도 책임은 있지만, 우선 학생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이용한 대학들에게도 책임이 더 커다고 봐.”

“그럼 학생들의 선택권이 지나치게 남용되고 있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겠네요.”
“그렇지. 특히 학력 수준이 떨어지는 일부 학생들의 경우 무조건 붙고 보자는 마음이 강해 심지어는 10군데 이상의 대학에 원서를 넣는 경우도 있어. 돈도 돈이지만 여기저기 쓰다보면 정작 자신이 정말로 가야할 곳에 대한 목표의식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아.”

비단 이런 현상은 본교와 같은 소규모 농어촌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인근 도시 지역의 고등학교에서도 학생지도와 관련해서 심각하게 문제시 되고 있다. 대입 관련 회의에서 만난 인근 도시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시는 선생님은 학습 분위기를 해친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몇몇 아이들이 수시를 지원하며서 학습 분위기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아요. 아이들이 괜한 마음에 나도 한 번 써볼까라는 마음으로 기웃거리는 통에 면학 분위기가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렇다고 학생들에게 수시 지원을 못하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대학 진학과 자신의 진로가 별개가 되어서야…

수시철이 되면 많은 아이들이 교무실이 드나든다. 원체 중요한 사항이라 선생님들이 뭐라 말은 못하지만, 가끔은 그런 아이들로 교과연구나 업무처리에 방해를 받곤 한다. 물론 진학정보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진학담당 선생님과 학생들이 그곳에서 진학과 관련된 모든 것을 처리하는 경우는 별개지만 본교와 같이 그런 시설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는 곳은 대다수의 아이들이 교무실로 드나들게 된다.

간혹 그런 아이들과 자신의 진학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아! 이번에 어디 쓰니?”
“아이, 선생님 비밀이에요.”
“이놈아, 그래도 내가 작년에 너희들 담임이었는데, 섭섭하다.”
“선생님도 참…”

시골 아이들이라 쉽사리 자신이 진학하는 대학에 대해 이야기하길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수줍기도 하겠지만, 또 다른 한편에선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실한 잣대가 서지 않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어 아쉬움과 씁씁함을 남기기도 한다.

“서너군데 써요. 일단은 되고봐야 하니까.”
“너무 많이 쓰는 것 아니니.”
“선생님은, 우리반에 ○○은 열군데 정도 써요.”
“무슨 대학진학이 시장에서 물건 사는 것도 아니고, 그렇게 해서 합격하면 무슨 의미가 있겠니.”

“그래도 불안하니까…”
“그렇다고 무장적 아무데나 원서를 내면 안 되잖아. 너의 적성과 진로를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하지 않겠니?”
“제가 가고 싶은 곳은 점수가 높아, 일단은 합격될 만 곳으로 지원하려고 해요.”

그 아이는 무조건 대학에 합격해야 한다는 점이 앞서서 자신의 진로와 별개의 대학과 학과에 원서를 넣는다는 것이었다. 우선 합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아이의 생각을 반박하고 싶은 생각은 있었지만, 혹시나 그 아이에게 상처가 될까봐 대화를 더 이상 이어 나가지는 못했다.

한국의 입시제도가 수시로 바뀌어 온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예전이나 지금이나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에게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이다. 학생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많이 주고자 실시한 수시제도는 학교현장의 학습 분위기 저해라는 문제와 지나친 지원 기회의 부여로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 결정에의 혼란이라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물론 이런 문제 때문에 수시1차 전형을 없앤다고 교육부에서 대안을 내 놓았다. 하지만 수시 2차에서도 이런 점들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작 문제의 근원을 뿌리 뽑을 수 있을지 혼란스러울 뿐이다. 가도가도 끝이 없는 한국의 고질적인 입시 문제를 언제가 속시원이 해결할 수 있을지 현장의 교사로서 답답한 마음 이루 헤아릴 길 없다.
서종훈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