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와 휴업 유감(有感)

2006.10.27 16:35:00

충북도내 학교 가운데 지난 주말과 이어진 2일, 개천절과 추석연휴 사이의 4일 등 징검다리(샌드위치 데이) 이틀을 모두 포함하여 최장 8일간 휴업하는 곳은 초등학교의 경우 39%,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각각 18%, 8%로 집계됐다. 그 외 학교의 91%는 4일부터 학교장 재량으로 효경방학이나 명절방학 등으로 정하여 휴업에 들어간다.

한편 징검다리 4일에 휴업하는 대학이 도내 11개 중 1개 교뿐인 것으로 나타나 대체로 초등학교에 비해 중, 고, 대학으로 갈수록 연휴 기간이 짧은 추세다. 우리 학교(원봉중, 교장 홍진삼)는 학부모와 학생, 교직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당초 추석 이후에 계획되었던 중간고사를 9.30(토), 10.2(월)로 변경하여 치르고 3일부터 6일간 휴업에 들어갔다.

어제 저녁에는 여러 직업을 가진 친구들 내외가 함께하는 만남이 있었다. 자연스럽게 예년보다 긴 올 추석연휴가 화제로 올랐다. 직업은 다르지만 대개가 학부모이다보니 좌중에 샌드위치 데이인 2일과 4일을 학교마다 다르게 운영하는 것을 두고 의견들이 분분했다. 거기에다 징검다리 사이에 낀 날에 휴업은커녕 이 날을 중간고사일로 정하거나 어떤 학교는 연휴가 끝나자마자 시험을 치르는 학교를 두고 성토하는 목소리도 꽤나 높았다. 너무 '잔인'하지 않냐는 것.

징검다리를 묶은 연속 휴업에 찬성하는 의견은 등교하더라도 어차피 정상수업 분위기가 잡히겠냐며 차라리 방학을 줄여 이 기회에 가족과 함께 하는 체험학습이나 효경실천의 기회로 삼는 것이 교육적으로 효과적이라는 일반론을 주장한다.

반면에 반대하는 편에서는 맞벌이 부모를 가진 학생들을 비롯한 많은 학생들은 그러잖아도 연휴 기간에 도서관, 박물관 등의 공공 시설도 쉬는 마당에 학교마저 문을 닫아 자칫 오락실이나 극장 등을 전전하도록 조장해 오히려 학생 지도에 문제가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한편 서울지역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많은 학교에서는 연휴 일수에 관계없이 중간고사를 아예 추석명절 뒤로 잡아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다보니 연휴 기간 중에 가족들과 어울리지도 못할 뿐더러 그렇다고 시험공부에 전념할 분위기도 못되어 이래저래 괴롭기는 마찬가지라고 푸념할 만도 하다.

논리적으로 한 마디도 틀린 말이 없다. 학교에서의 어떤 결정이든 나름대로 의도하는 바가 있을 터이지만 학교측이나 학부모, 하물며 학원들까지 휴업 기간에 얽힌 이해관계에 따라 찬반논쟁은 필연적으로 생길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열띤 토론은 좀처럼 식을 줄 몰랐다. 그러다 유럽에 유학중인 자녀를 둔 한 친구의 말을 듣고서야 찬반 양론의 대화가 대략 정리되고 마무리되었다.

여러 해 동안 교환교수로도 외국에 머물렀던 그 친구 왈, 이런 경우 유럽 등 많은 선진국에서는 철저히 학생의 교육적 입장에서 판단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올 추석과 같이 논쟁이 생길만한 때는 정부에서 학년 초에 아예 관련 지침을 못 박아 ‘시험 볼 수 없는 날'을 둔다는 것. 학생을 위하여 학교에서 이 날짜에는 절대로 시험을 볼 수 없으며, 이를 어기면 학교장에게 책임을 추궁한다는 얘기다. 그래서 우리나라처럼 적어도 학사 일정을 짤 때 일부러 '샌드위치' 휴업 기간 중이나 3일이 넘는 연휴 뒤로 시험을 잡는 잔인한(?) 일은 없다는 것이다.

연휴 기간 중에 중간고사나 수능고사를 앞두고 조용히 '실력을 향상시켜라'는 '현실적' 판단도 일리가 있고, 이 기간만이라도 학생들에게 육체적, 정신적 '부담을 주지말아야 한다'는 교육선진국의 '인간적' 배려도 본받을만하다. 옳고 그름을 쉽게 판단하기 여려운 문제라고 본다.

징검다리 휴업일 운영, 긴 연휴를 낀 기간 전후의 시험일 등 학사일정 결정은 일정한 규정 내에서 학교장 재량권이 주어져 있지만 우리는 아직도 이해관계에 따라 말도 많고 탈도 많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교에서는 늘 '작아 보이지만 학생들에게는 결코 작지 않은' 세심한 부분까지 배려해야 됨은 물론 '어느 것이 보다 교육적인가'라는 문제를 고민하는 '현명한' 교육적 판단이 아닐까 한다.
김은식 충북영동고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