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선생님이 쓰는 교실일기>
유아기의 생활 환경과 부모의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매일의 습관 등이 아기의 잠재의식에 깊이 새겨진다. 아기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축적한 데이터를 나름대로 해석해 잠재의식 속에서 자기의 인생 각본을 쓰기 시작한다. 서너 살이 되면 대강의 줄거리가 정해진다. 초등학교를 졸업할 무렵에는 이 줄거리에 상세한 스토리가 덧붙여져 마무리되기에 이른다.
이것은 교류분석법으로 유명한 정신과 의사 에릭 번(Eric Beme)이 제창한 '인생각본'이론이다. 교사 중에는 부모가 모두 교사인 경우가 많으며, 장사를 하는 집 아이가 부모의 대를 이어 장사를 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 바로 이 이론의 핵심이다. 따라서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처럼 유아기에 형성된 성격이나 가치관은 어른이 된 뒤에 바꾸기가 매우 힘들다.
-나카이 다카요시, <작심삼일씨 습관 바꾸다>, p.181.
참담한 교육 소식(학생이 선생님을 폭행하거나 선생님이 학부모를 성추행 등)에 어두운 마음이 크지만, 뒤집어 생각해 보면 어둠이 깊어야 아침 해를 볼 수 있으니 너무 낙망하지는 말일이다. 어느 분야에서나 절대적인 가치관보다는 상대적이고 유동적인 상황론이 우세한 현실이니 교직에서도 예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밖으로 전해지는 소식이라는 것들이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감추고 싶은 소식이 더 많이 전해지기 때문에 우리를 더 힘들게 한다고 생각한다. 어둠이 아무리 깊어도 빛을 이길 수 없음을 생각한다면, 어두운 소식을 반면교사로, 타산지석으로 삼아 되풀이하지 않으면 되니 주저 앉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일상적으로 현장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는 대다수의 선생님들의 노고와 헌신적인 모습은 구름에 가려서 드러나지 않을 뿐이니 해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어쩌면 우리는 칭찬에 너무 인색하지는 않은가? 교실에서 아이들이 커 가는 모습을 보면 꾸지람이나 충고보다는 격려와 배려, 칭찬이 몇 배나 효과가 있다. 야단치기는 쉽다. 내려다 보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칭찬하기는 더 어렵다. 그의 눈높이와 마음을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자식이나 제자를 한 그루의 나무라고 생각한다면 하루도 빠지지 않고 먹어야 할 햇빛은 칭찬하는 일이고 가끔 주는 물은 충고나 꾸지람이라고 생각한다. 햇빛이 너무 강하면 잎을 마르게 하니 조심할 일이고, 물이 과하면 뿌리를 썩게 하니 근본이 흔들리는 것이다. 그렇다고 때에 맞는 따끔한 충고를 아끼면 자만에 빠지니 부모나 선생님에게 기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요즈음에 일어나고 있는 교단경시 풍조는 작게는 가장의 권위가 불안한 때문이요, 크게는 위정자의 권위가 흔들리는 모습에서도 기인한다고 본다. 정신적인 잣대보다는 물질과 힘이 우선이니, 보이지 않는 뿌리의 소중함보다 보이는 꽃과 잎의 크고 화려한 모습에 중시하는 탓이다.
흔들리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학교에서 만나는 선생님에게 감정을 분출하는 경향이 많다고 한다. 오늘날의 선생님은 부모가 해야할 가정교육(기본 예절교육)까지 해야 하니 아이들과 자주 부딪친다. 에릭 번이 제창한 '인생각본'이론대로 라면 가정과 학교에서 만나는 어른들(부모와 선생님)을 통해서 미래의 자기 모습을 동일시 하고 있으니 어른 노릇하기가 참 어려운 것이다.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학기 초에 너무 주의가 산만하여 천방지축 말썽을 부리는 우리 반 아이에게 지쳐서 어느 날인가는 야단을 치다가 나도 모르게, "00야, 선생님은 너의 악지르는 소리때문에 너무 힘들어. " 라고 해야 되는데 감정이 북받쳐서 나도 모르게, "00야, 꺼져!"라는 충격적인 말을 내뱉고 말았다. 금방 후회를 했지만 그 말의 여파는 몇 달이 지난 지금까지 나를 괴롭히고 있다.
우리 반 아이들이 놀다가 들어와서 이르는 말 중에, "선생님, 저 애가 나 보고 꺼지라고 했어요."
라는 말이 한 달에 한 번 정도로 등장할 때마다 나를 반성해 보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아무래도 아이들 앞에서 내가 했던 그 말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를 해야겠다.
예쁜 꽃은 씨를 뿌려도 잘 나지 않지만 도움이 되지 않는 잡초의 싹은 씨를 뿌리지 않아도 잘 번식하는 것처럼, 나의 언행이 곧 교육의 잣대임을 망각한 채 감정을 삭이지 못한 것을 두고두고 반성하고 있다.
성인 군자가 되어야 하는 선생님의 자리는 너무 힘들다. 한마디 말도 어렵고 체벌은 더더욱 안 되고 기초 기본 교육에 아침 독서 교육, 방과 후 학교, 일기 지도, 식사 지도, 교과 지도, 등 어느 것 하나 마음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자리이다. 그래도 1학년 우리 반 아이들의 절반 이상이 장래의 희망이 선생님이라고 하니, 나를 보고 '인생각본'을 쓰고 있을 아이들에게 다시는 '꺼져!'라고 외치는 나쁜 배우 역할은 절대 하지 않을 각오를 한다.
오늘은 천방지축 개구쟁이 20명을 데리고 교내수업 공개를 하는 날이다. 나를 한없이 무너지고 낮아지게 만든 나의 꼬마 선생님들이 자란 모습을 보여주며 수확의 기쁨을 상상하는 나는 지금, 새벽부터 행복한 농부인지도 모른다. 아이들이 좋아할 놀이 자료와 학습 자료, 사탕을 챙기며 출근 길이 설렌다. 결코 훌륭한 농부는 못 되었지만 낱알 하나 빠뜨리지 않고 나의 모판에 다 심어서 햇볕 쬐는 창가에 내놓으려고 열심히 내달렸던 시간의 구슬들을 꿰는 날이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나는 몇 점짜리 '인생각본'의 배우였을까? 2006년 나의 최대 실수는 "꺼져!"를 외친 순간이었으니 아마도 50점 이하의 점수를 받을 게 분명하다. 아니, 우리 아이들에게 영점을 받을 각오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