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논술, 교육 현장을 바꾸고 있다

2007.02.23 12:18:00

작년 가을쯤만 하더라도 교육현장은 온통 뒤숭숭한 분위기에 휩싸여 있었다. 2008학년도 입시에서 수능의 비중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통합논술의 비중이 높아짐으로써 당장 교사부터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일부 교사는 입시제도를 볼모로 잡고 수시로 교육 현장을 뒤흔드는 정책 당국을 향해 볼멘소리를 늘어놓기도 했다. 내신과 수능 준비만으로도 벅찬 학생이나 학부모도 통합논술의 실체와 학습방법을 몰라 갈팡질팡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특히 대도시와는 달리 논술 학원에 다니거나 과외를 받는 등 사교육의 혜택을 받기 어려운 지방의 경우는 더욱 암담할 수밖에 없었다.

그로부터 4개월 남짓 시간이 흘렀다. 불평만 늘어놓고 허송세월하기에는 아이들의 처지가 너무나 절박하다는 인식이 교사들 간에 조금씩 확산되면서 나름대로 통합논술의 취지를 분석하고 지도 방법을 찾기 위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우선 통합논술이 개별 교과의 지식에 한정되지 않고 쟁점을 중심으로 교과 간의 지식 전이를 통한 통합적 사고력을 요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가장 먼저 나타난 변화는 교실 수업이었다. 지금까지 그 어떤 입시제도로도 바꾸기 어려웠던, 그래서 마치 화석처럼 굳어져 있던 주입식·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통합논술에 가장 효과적인 수업 방식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진 것이다.

교사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학교도 자체적으로 통합논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교사에게는 자체 연수와 외부 연수를 통하여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도 교육청에서는 학생을 위한 무료 논술 첨삭지도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통합논술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첨삭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또한 교원연수원에서는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논술 직무연수과정을 개설하고 현장 교사의 논술 지원 체제를 강화하였다. 특기할 만한 점은 담임 직무연수 등 논술과 직접 관련이 없는 과정에도 글쓰기 강좌를 도입했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노력이 더해지자 곧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기 시작했다. 우선 퇴근 시간이 지나면 자율학습 감독교사만 오고 가던 교무실 곳곳에서 과목 간의 교류를 통하여 공통 교안을 준비하려는 교사들의 모습이 자주 발견되었다. 국어, 수학, 사회, 과학, 한문 등 말 그대로 전 교과를 아우르는 교사들이 팀을 이뤄 자료를 공유하고 문항을 만드느라 자정이 가까워도 교무실의 형광등은 좀처럼 꺼지지 않았다. 불과 몇 개월 전만 하더라도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다.

게다가 과목 간의 협력 체제는 필자도 처음 보는 장면이었다. 수능 중심으로 개설되던 보충수업에도 ‘통합논술’이라는 명칭을 붙인 강좌가 부쩍 늘어나기 시작했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경우, 보충수업은 일정 수준 이상의 학생 선택이 있어야 강좌가 개설되기 때문에 그만큼 신중을 기하여 학업계획서를 작성하게 된다. 보충수업에 ‘통합논술’의 개념을 처음 도입할 때 일부 교사들이 조심스러워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나 통합논술에 대한 학생의 관심은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대단했다. 통합논술이란 이름을 붙인 강좌에는 예외 없이 학생이 몰려들었다.
최진규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