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대 중반에 얼떨결에 교사가 되었다. 교사 자격증 없이 2년 동안 대안학교의 교사가 되어 30명의 아이들과 함께 하고 떠나보냈다. 그리고 그 아이들과 마음을 나누고 소통하며 아이들의 선생이 되기도 하고, 친구가 되기도 하며 아이들 마음속으로 들어가 호흡했던 경험을 진솔하게 말하고 하고 있는 김종휘의 <내 안의 열일곱>.
<내 안의 열일곱>은 그와 함께 했던 30명의 제자 중 15명의 제자들에 대한 이야기다. 이 15명의 제자들은 모두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자랐듯이 그 생각이나 행동양식 또한 각양각색이다. 그 아이들은 몇 번의 실패를 했거나 실패를 앞두고 있는 아이들이다.
어떤 아이는 늘 자신감이 없다. 어떤 아이는 종일 잠만 잔다. 어떤 아이는 지나치게 모범생이다. 어떤 아이는 교사에게 딴죽이나 걸고 딴 짓을 한다. 어떤 아이는 가출을 자주 하고, 집에서 도망을 친다. 담배를 피우고 술을 마시는 것은 기본이다.
일반적인 정규학교에서 적응을 하지 못한 아이들이 그 대안으로 주로 온다. 한 마디로 문제아란 닉네임을 얻은 아이들이다. 그런데 저자는 그들과 마음으로 대화를 나누고 그들의 생각에 공감하고, 어른의 입장이 아닌 그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을 바라보고 함께 하려고 한다.
한 번쯤은 교사가 되어보라
그러다 간혹 자신의 틀에 아이들을 맞추려고 했던 것이 아닌지 돌아보기도 하며 자신의 어린 시절을 하나의 삽화처럼 집어넣고 있다. 그러면서 아이들이 자신감을 얻고 자신만의 길을 찾아 가는 모습을 보고 기뻐한다.
그래서 그는 사람들에게 한 번쯤 교사가 되라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교사는 단순히 교실 강단에 서 있는 교사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식이 아닌 다른 후생을 동료나 친구처럼 사귀고 있다면 그에게 선생이 되고, 교사가 되어보라고 한다.
"교사가 되는 건 나이를 먹는다고 날로 어른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체험을, 아이를 통해 속속들이 되새기는 자기 자신과의 낯 뜨거운 대면이다. 제 안의 영글지 못한 아이를 다시 불러내서 어기차게 성숙시키는 터닝 포인트다."
김종휘에게 아이들을 가르치는 건 단순히 아이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게 아니다. 젊은 시절 사회운동을 하며 많은 실패를 경험했던 그가 문제성을 안고 우는 아이들과 함께 하면서 자신의 마음속에 영글지 못한 채 서성이는 또 다른 나를 발견하고 성숙시키는 역할을 하게 한 것이다.
스스로 일어설 때까지 기다려라
그러면 아이들에게 대한 그의 근본적인 생각은 무엇일까. 시골에서 서울로 상경해 대안학교에 들어온 재식이란 아이를 보고 느낀 생각을 보면 알 수 있다.
"어른들이 할 일이란 아이들이 스스로 위기를 만들어 겪어보고 제 힘으로 일어설 그때까지 기다리고 보살피는 것이고, 힘들고 실망스럽다고 해서 그 일을 그만두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어서 다소 힘 빠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거의 모든 아이들은 언제나 내가 원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성장한 것 같다. 그 길이 무엇인지 모르는 나는 그 길을 계획하거나 예측하는 일은 더욱 할 수 없다. 일단 함께 가고 나중에 돌아보면서 그 길을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재식이는 한 마디로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하는 스타일이다. 아무리 좋은 것일지라도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아이다. 그런데 이런 유형은 요즘 아이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것엔 그런대로 재미를 갖지만 적극적인 삶의 동기를 찾지 못한 채 그냥 바람 부는 대로 물 흐르는 대로 힘 드는 일 하지 않고 살면 되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집에 이런 자식이 있다면. 아니 학교에서 이런 아이들을 만나면 맥을 출 수가 없다. 말썽을 피우지도 않으면서 그저 늘어지듯 아무것도 하기 싫은 아이. 이런 아이에게 조바심을 가지고 다그치다 보면 자꾸 엇나감을 볼 수 있다. 저자의 말처럼 그저 스스로 일어설 때까지 기다리고 보살펴야 한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원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내 안의 열일곱>, 책을 읽는 내내 내 머릿속을 휙휙 거리며 스쳐가는 얼굴들이 있었다. 그가 만났던 아이들과 내가 만났던 아이들은 분명 다르지만 같았다. 그렇지만 그 소통방법에 조금은 다름이 있었다. 아마 그건 환경적인 요인도 어느 정도 작용했을 것이다. 허나 난 그의 글을 읽으며 스스로를 돌아보았다. 저자가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았듯이.
우리는 종종 자신이 알고 있는 것들이,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들이 올바른 것이라고 지레 판단하고 그것을 자신의 아이들에게 주입하곤 한다. 아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삶의 방식을 이루어 나갈까는 그다지 염두에 두지 않는다. 그러나 김종휘의 <내 안의 열일곱>을 읽다보면 조금은 우리의 아이들과 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할 것이다.
이 책 속엔 뚱뚱해 자신감이 없는 유리, 가장 가까운 사람이 떠날까봐 안절부절하는 서연이, 교실이 침실이 되어 잠만 자는 재명이, 자신밖에 모르는 삶을 살아가는 수정이, 아무것도 하기 싫어하는 재식이 같은 아이들이 그 성장통을 이겨내고 자신의 길로 가는 모습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헌데 이 아이들은 단순히 남의 아이가 아니다. 내 아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책은 10대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 10대 아이를 둔 부모가 한 번은 읽어봤으면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