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하게 움직였던 3월도 어느새 끝을 향해 가고 있다. 산과 들엔 연초록의 나뭇잎과 가지가지의 색을 한 꽃들이 행인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내가 있는 교정에도 살구나무 한 구루가 서있다. 꽃이 피면 벌들의 날개짓에 꽃향기가 날리며 등하교하는 아이들을 반갑게 맞이하고 떠나보낸다.
교정 한 쪽에 서있는 살구꽃을 볼 때마다 난 이호우의 시 ‘살구꽃 핀 마을’이란 시를 생각한다. 그리고 종알종알 흥얼거리기도 한다.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뉘 집을 들어서면은 반겨 아니 맞으리.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은 초당(草堂)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빠라.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선생님은 이 시를 암송할 때면 눈을 감았다. 그리고 우리들에게도 눈을 감고 살구꽃이 핀 어느 낯선 동네를 걸어보라고 했다. 우리는 눈을 감았고 나그네가 되어 살구꽃이 흐드러지게 핀 동네 어귀를 어슬렁거렸다. 그리고 어느 초가집에서 술익는 냄새를 맡으로 침을 꿀꺽 삼켰다.
침 넘어가는 소릴 듣고 선생님은 ‘이놈들, 잿밥에 눈이 멀었구먼.’ 하고 큰소릴 내면 교실은 이내 웃음소리로 가득 채워지곤 했다.
교정의 살구나무는 아이들에게 아름다운 향기만을 주는 게 아니다. 일용할 양식도 제공한다. 살구가 노랗게 익을 때면 아이들은 나무 위에 올라가 살구를 따 먹는다. 그것도 치마를 입은 채 말이다. 치마를 입고 나무에 오르면 어떻게 하냐고 하면 그냥 깔깔거리며 웃으면서 ‘선생님, 이따가 갖다 드릴게요. 젤 맛있는 걸로요.’ 하고 능청을 떨며 상황을 모면한다. 그저 ‘왜냐구 물으면 웃지요’다.
그러나 3월은 내게 불안한 계절이기도 하다. 누구한테도 말은 안하지만 ‘이번엔 아무 탈 없이 넘어가야 할 텐데.’ 하고 속으로 기원하는 달이기도 하다. 헌데 이번에도 내 불안은 현실로 나타났다. 한 녀석이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엄포를 하며 나가버린 것이다.
내게 3월의 불안함은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새 학기가 시작되고 눈이 엄청 오는 어느 날, 그 아이는 내게 전화를 걸어왔다.
“눈이 너무 많이 와서 버스가 안 와요. 버스 타는 데로 바로 갈게요.”
그렇게 전화를 한 아이는 1교시가 끝나도록 등교하지 않았다. 전화를 하니 그 아이는 태평하게 ‘곧 갈게요.’ 하더니 그 뒤로 소식이 끊겼다. 이리저리 수소문을 한 결과 아이는 함께 등교하던 아이들과 가출을 했다는 것이다.
어렵게 만난 그 아이에게 다시 학교에 다니자고 했지만 아이는 끝내 거절했다. 아이 어머니의 눈물어린 호소도 소용이 없었다. 학교를 그만두고 아이는 의정부에서 이모가 운영하는 미용실에서 미용기술을 배웠다. 그런 아이에게 학년이 끝나갈 무렵 다시 복합하고 싶다는 전화가 걸려왔다. 후회한다면서. 그러면서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자신이 일하는 미용실에 고등학교 일학년인 듯한 여학생과 엄마가 들어왔다. 그 학생과 엄마와의 이야길 들어보니 학생은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하는 것 같았다. 그때 자신이 그 학생에게 학교에 다니라고 이야길 해주고 싶었는데 차마 말을 꺼낼 수 없었다고 한다. 자신 또한 여러 사람의 설득을 뒤로하고 학교를 그만두었다는 자괴심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때 그 학생에게 이야길 못해준 게 못내 아쉽다고 했다.
헌데 그 이후 이삼년에 한 번은 3월에 학교를 떠나는 아이가 꼭 생겼다. 그런데 이상한 건 평상시 아무런 말썽을 피우지 않은 아이들이란 것이다. 얌전히 학교생활을 하던 아이들인데 어느 순간 훌쩍 떠나버리면 다시 돌아오진 않았다. 해서 새 학기가 시작되면 난 이 삼월을 무사히 넘겨달라고 마음속으로 간절히 기도를 한다. 하지만 그게 어디 기도로만 되는 일인가.
이번에 떠난다고 엄포(?)를 놓은 아이도 어떤 바람의 마술에 걸린 아이처럼 생글거리며 날아갔다. 무슨 멍에를 떨쳐버린 듯 시원스런 표정을 짓고 떠났다. 그러면서 자기가 하고 싶은 미용을 하면서 살고 싶다고 했다.
아이들을 떠나보낼 때마다 내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반문을 하곤 한다. 아이들에게 진정 마음으로 다가가서 이해하려고 했는지 반문하지만 대답은 ‘부족해’다. 나름대로 한다고 하지만 결과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아직 책상 속에 그 아이가 써놓고 간 자퇴서가 그대로 있다. 더 설득하고 기다리기 위해서다. 화사하게 핀 꽃도 하룻밤의 비바람에 우수수 짐을 본다. 떨어진 꽃잎을 보면서 떠나갔던 아이들 얼굴을 하나하나 떠올려본다. 돌아온 아이도 있고 돌아오지 않은 아이도 있다. 기억이 뚜렷한 아이도 있고 희미한 아이도 있다.
그 희미한 기억의 잔흔들을 추스르며 남은 아이들을 생각한다. 그 아이들에게 나도 내가 고등학교 때 그랬던 것처럼 이호우 님의 시 ‘살구꽃 핀 마을’을 아이들에게 들려주며 나그네가 되어 걷게 할까 싶다. 허면 나른하고 딱딱한 학교생활이 조금은 향기가 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