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사랑이 담긴 밥상이 그립다

2008.08.06 13:37:00

모처럼 세 식구가 밥상 앞에 앉아 저녁을 먹었다.

“셋이 저녁밥 먹는 것이 너무 오랜만이네 !”

아내도 새롭다는 듯이 한마디 한다. 아침은 거르고 나가고 휴일에도 늦도록 잠을 자는 아들과 함께 식사를 하기란 좀처럼 어렵고 점심은 각자 먹게 되는 게 현실인데 저녁은 왜 그렇게 모임도 많은지 대부분 외식으로 때우는 집이 늘고 있다. 가정의 기능은 잠만 자는 공간역할만 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니 하루세끼를 가족과 함께 먹고 자랐던 어린 시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끼게 한다.

아마도 이런 현상은 대부분의 도시가정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우리조상들은 아이들에게 ‘밥상머리교육’을 하며 예의범절과 함께 아이들과 또는 가족 간에 자연스러운 대화나 상담이 이루어 졌었는데 요즘은 가족 간에 밥상 앞에 얼굴마주하며 대화를 나누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어 안타깝다.

문명의 발달로 세상이 예전보다 너무 많이 편해졌는데도 가족보다는 남들과 대화를 더 많이 하고 식사도 더 자주하는 것이 현실인 것 같다. 가족중심에서 친구중심, 모임중심, 직장중심으로 생활패턴이 치우쳐 가족중심의 가정생활이 너무 소외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선진국에서는 가정으로 식사초대를 받는 것을 최상의 영광으로 생각하는 반면, 우리는 크고 잘 꾸며진 식당에서 값비싼 음식을 대접하는 것을 최상의 접대로 생각하는 문화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다.

팔순의 노모께서는 자녀들을 키워 모두 도시로 내보내고 혼자서 밥을 지어 드시며 생활을 하시니 얼마나 적적하실까 ? 농촌에는 대부분 혼자사시는 노인들이 많은데 전통윤리에 잣대를 맞추면 모두들 불효를 하고 있는 것이다. 가끔 찾아뵙고 안부전화라도 드리는 것으로 과연 자식 된 도리라고 할 수 있는가? 가끔은 어머니가 차려주시던 시골밥상이 그리울 때가 있다.

학교급식이 시작되기 전엔 학생의 점심도 어머니의 사랑과 정성이 담긴 도시락을 싸주어 정(情)을 먹고 자랐는데 요즘 아이들은 학교급식으로 획일적인 음식을 먹어야 한다. 영양학적으로 칼로리를 계산하여 위생적으로 조리한 음식을 먹고 자라지만 예전아이들에 비하면 체력이 뒤지는 것을 어찌하랴. 중식지원, 무료급식, 급식비지원 등 많은 혜택을 받는 좋은 점도 너무 많다.

아침을 굶고 등교하는 아이들은 또 얼마나 될까? 저녁에는 사흘이 멀다고 외식을 하기 때문에 아이들은 자장면을 시켜먹거나 라면을 끓여 먹게 하면 미안한 마음에서 통닭이나 피자 등을 시켜주니 과식을 하게 마련이다. 인스턴트식품에 익숙해진 아이들인데다 운동부족으로 비만아는 점점 늘어만 가고 있어 미래의 꿈나무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져서 문제이다.

우리나라처럼 외식산업이 발달한 나라도 드물다고 생각한다. 음식점이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들고 TV에서도 입맛을 자극하는 색다른 음식을 소개하는 프로가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쉽게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편리함만 생각하지 아이들이 밥과 함께 먹는 따뜻한 어머니의 정과 가정은 뒷전으로 밀리는 기분이 들어 씁쓸하다.

이 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의 심신이 건강하고 올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키우려는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영유아기는 모유로 키우고 인성이 형성되는 초등학교 과정까지는 어머니의 정성과 사랑이 담긴 우리식품으로 조리한 신토불이(身土不二)음식을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가족이 식탁에 함께 앉아서 사랑의 대화를 나누며 음식을 먹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것이 건강하고 올바른 자녀로 키우는 비법이라고 생각되어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이찬재 (전)충주 달천초등학교 교장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