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계청에서 2007년 출생통계 결과를 발표하였다. 몇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출생아 수는 49만 7천 명으로 전년보다 4만 5천 명 증가하였다. 증가요인으로 20대 후반 여성 인구의 증가(제3차 베이비붐 효과) 등 인구학적 요인과 사회문화적인 요인 등의 영향이다. 제3차 베이비붐 효과는 한국전쟁 이후 태어난 사람의 자녀가 혼인․출산연령기에 도달하여 나타난 효과이다.
둘째, 출산연령층(15~49세)의 모든 연령계층에서 출산율 상승하였는데 30대 초반(30~34세) 출산율은 연령계층 중 가장 높았다.
셋째, 남아선호 현상이 완화되어 출생성비가 106.1로 1982년 이후 처음으로 정상성비 수준 회복하였다.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수)가 106.1로 1982년 이후 처음 정상성비(103~107) 수준을 보였다. 첫째 아 및 둘째 아의 성비는 정상성비 수준이나 셋째 아 및 넷째 아 이상의 성비는 115.2 및 119.4로 여전히 높으나 전년(121.8, 121.6)보다 개선되었다.
넷째, 수도권 출생이 전체 출생 중 50.8% 차지하였다. 출생아 중 서울 20.2%, 인천 5.3%, 경기 25.3%를 차지하여 출생아의 절반이 넘는 50.8%가 수도권에서 태어났다.
특히 232개 시군구별 출생아 수는 경북 울릉군, 경북 영양군, 인천 옹진군은 1년에 100명내외의 신생아수가 태어나고, 경북 군위군, 전북 장수군, 경북 청송군, 경남 의령군, 충북 보은군, 충북 괴산군, 충북 단양군은 1년에 200여명의 신생아가 태어나 신생아가 적게 태어났다. 반면 경기 수원시, 경기 용인시, 경기 성남시, 경기 부천시, 경기 고양시 등은 매년 1만명 가량의 신생아가 출생하여 확실하게 차이가 나고 있었다.
조출생률은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인데 경남 남해군, 충북 괴산군, 충북 보은군, 경북 예천군, 전남 고흥군, 경북 청도군, 인천 강화군, 충남 서천군, 경북 의성군, 충남 부여군은 5.5명에서 6명 내외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반면 경기 오산시, 경기 화성시, 경남 거제시, 경남 진해시, 경북 칠곡군, 대전 유성구, 울산 북구, 광주 광산구, 강원 인제군, 충남 아산시는 16.5명에서 15명 수준으로 낮은 지역의 3배 가량 되었다.
그에 따라 군지역에는 1년에 태어나는 아이가 100여명에 머무는 지역도 많다고 한다. 농촌지역에 아가 울음소리 듣기가 힘들어 농촌지역 초등학교, 중학교를 앞으로 어떻게 운영하여야 할지 우려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각시도교육청, 군교육청과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앞으로 6년후에 나타날 신입생의 감소에 대하여 미리 신경을 써야 하겠다. 더구나 쌍춘년 효과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높았던 출산율이 앞으로 감소될 전망이어서 농촌학교 교육을 위한 정책에 더욱 많은 신경을 써야 하겠다. 향후 10년뒤를 바라보는 농촌교육정책을 만들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