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안의 교사는 있어도 학교 밖의 교사는 없다. 교회 안의 신도는 있어도 교회 밖의 신도는 없다”라는 풍문이 한국 사회의 인성 교육의 지각 변동을 의미하는 것일까? 살인과 폭행이 계층을 가리지 않고 매스컴을 들썩거리는 이면에는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와 물질주의로 가는 길목에서 겪는 아노미를 제어해줄 장치가 없는 탓인지. 아니면 교육이라는 현장이 지식 교육의 표층만 드러내고 인성 교육은 무의식으로 묻어 두고 있기 때문인지.
매년 겪는 것이지만 학기 초에 각 학교의 정문을 장식하는 플래카드에는 무엇이 씌어져 있는가? 우리 학교는 모모대학에 몇 명 합격, 고시 몇 회 합격 축, 모모 대회에서 우수상 수상 등등 참으로 학교의 자랑이 가득하다. 학교의 정문에 진정으로 붙어야 할 문구는 무엇일까? 학교의 자랑이 외면적인 치장으로 가득차고 내면으로는 썩고 병들어 가도 아무렇지도 않다는 말인가? 학생들의 폭력과 학생들의 인성 교육의 무방비한 상태가 교육청으로부터 내려오는 학교 폭력예방교육, 인성 교육, 화합으로 가는 장 마련 등등의 공문은 진정 현장 교사들의 마음에는 없는 것일까? 아니다. 이런 상황을 모르는 교사는 아마 한 명도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만 같다.
외향으로 치우치는 학교 교육의 이면에서 쓰러져가는 인간 교육의 아쉬움이 여기 저기서 용광로처럼 끊어 화산으로 폭발되고 있다는 것도 강호순 사건이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지는 않는지. 사람의 교육과 인간다운 교육 그 차이는 무엇일까? 점층화되어 가는 인성의 깊이가 아닐까?
각 학교 정문 플래카드에 “우리 학교에는 폭력이 없습니다. 우리 학교는 도서관과 독서실 학습을 자랑합니다. 우리 학교는 학생과 교사가 서로 인사를 잘 합니다”라고 써 붙이면 얼마나 좋을까? 이것은 한 사람만의 생각일까? 매너리즘에 빠져 외향 추구에만 눈을 돌리고 있을 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사교육이 부를 상징하는 잣대로 넘실거리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타인을 앞서가려는 이기주의 풍토는 독버섯처럼 자라고 있지는 않은지.
김수한 추기경이 마지막 유언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을 강조하였다지만, 전라도 임실교육청을 비롯한 타 교육청의 학력평가 조작의 파문은 학교 교육문화의 실조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시장경쟁이 교육계에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의식을 오용하고 있는 전라도 임실교육청을 비롯해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교육문화의 실조는 현장을 지켜가는 교사들의 양심에 다시 한번 사회의 지탄을 포함시켜야 했다. 성적만능주의를 지향하는 오늘의 학교의 현실이 곧 교사들의 교육의 양심도 무의식으로 내팽개치는 결과를 만들었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서울 모 대학의 입시 파문 등은 교육의 총체적인 개혁을 암시하는 신호탄은 아닐지. 봄으로 가는 길목에서 차가운 겨울의 한파가 달려와 교육문화의 실조를 풍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