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帽子)가 문제였다. 우리 반의 한 아이가 며칠 째 단추도 잠그지 않은 채 잠바에 달린 모자만 쓰고 다녔다. 날씨도 추운데 잠바를 걸치고 다니는 모습이 왠지 볼썽사나웠다. 수업시간이나 점심시간까지 그런 차림으로 모자를 쓰고 있어 몇 번 주의를 줬다. 똑같은 얘기를 반복하다보면 교사도 스트레스 받는다.
"얘, 좋은 옷을 왜 그렇게 입고 다니니?"
"이거 더러운 옷인데요."
멀쩡한 옷을 더럽다고 하다니…. 정말 생뚱맞은 대답이었다. 그냥 넘어갈 수 없어 또 한마디 했다.
"왜 좋은 옷을 더럽다고 하니?"
"우리를 버리고 간 에미가 사준 옷이란 말이에요. 그러니 더럽지요."
당연한 얘기를 왜 자꾸 물어보며 귀찮게 하느냐는 듯 갑자기 아이가 목소리의 톤을 높였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대답이기도 했고 짧은 얘기 속에 담긴 원망이 너무나 커 말문이 막혔다. 그렇더라도 영문을 알아보고 아이를 이해시켜야 했다.
"그런 말을 어떻게 할 수 있니?"
"우리 할머니는 매일 그러는데요."
"그래도 너는 그렇게 말하면 안 돼."
마지 못해가 아니라 죽지 못해 손자들을 맡고 있는 할머니로서는 집나간 며느리가 원망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러니 아이들 앞에서 할 소리 못할 소리 다했을 것이다. 모자(母子)관계가 문제였다. 더 큰 문제는 엄마에게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는 아이였다.
이쯤에서 어떤 관계가 부부이고, 부모인지 생각해보자.
부부는 한자로 지아비 부(夫)에 아내 부(婦)다. 법률상으로는 일상가사로 인해 생긴 채무까지 연대책임을 지는 관계다. 부모는 아비 부(父)와 어미 모(母)로 아버지와 어머니를 가리키는 말이다. 누구든 태어나 처음 배운 말이 '엄마. 아빠'다.
부부와 부모는 떼어 놓을 수 없는 지남철이다. 부모는 자식부터 챙기고 자식은 부모부터 섬긴다. 그게 바로 물보다 진하다는 핏줄관계다.
언감생심, 농담이더라도 돈이나 사랑이 핏줄보다 진하다는 말 하지 말자. 철부지 4학년 아이가 자기의 엄마를 모질게 원망한다. 자기들 좋아할 때는 금지옥엽으로 떠받들다 싫을 때는 아무렇게나 버려도 되는 소모품이 아니라고….
아이들 떼어놓고 나갔던 엄마가 성인이 된 자식 앞에 무릎 꿇고 용서를 비는 장면을 TV에서 본다. 자식이 업신여길 미래를 생각해보자.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그때 자식을 무슨 낯으로 볼 것인가? 속으로 삭이는 원망은 언젠가 무섭게 폭발한다. 물론 그 불똥이 어디로 튈지는 아무도 모른다. 떼어놓고 떠난 자식에게 된통 당할 날이 길어야 30~40년 후다. 그만큼 많이 남아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세월 참 빠르게 흘러간다.
물론 아이를 떼어놓고 나갈만한 사정이 있다. 누구에게나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있었을 것이다. 그래도 우리나라의 이혼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혼만이 능사가 아니다. 자식을 위해 어려움을 감수할 수 있는 부모여야 한다.
행복한 가정을 이루려면 소소한 일도 가족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아이들도 가족공동체의 일원이다. 아이가 부모의 이혼에 대해 사리분별을 할 수 있는 나이까지 기다리는 게 자식을 낳은 부모의 의무다. 부모의 이혼에 동의한 자식은 부모 모두가 행복하기를 바라고, 부모의 행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줄도 안다.
우리 반 아이들 중 20%는 부모가 이혼하며 조부모에게 맡겨진 조손가정 아이들이다. 변화가 많은 요즘 교육 젊은 부모들도 따라가기 어렵다. 연로한 어른들이 아이들의 교육을 뒷받침한다는 그 자체가 무리다.
언제 그랬냐는 듯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아이를 바라보며 원만하지 못한 모자관계가 아이에게 주는 상처를 생각했다. '인생의 반은 부모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만큼 부모와 자식은 중요한 관계다. 상처받은 철부지 아이들이 부모를 원망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 수는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