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다’와 ‘매다’

2010.05.02 20:38:00

2010년 4월 30일자 중앙일보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제주 성산포 옆 해변엔 배낭을 맨 채 올레길을 걷는 순례꾼이 쌓아 놓은 돌탑이 끝없이 이어진다. 지리산 둘레길이나 강화….

이 기사문은 ‘걸으면 걸을수록 행복해진다’는 표제어 아래 있는 것으로, 걷기 운동의 효과를 안내하고 있다. 기사 내용에 의하면, 걷기는 체중 조절이 수영보다 뛰어나고, 기타 뇌졸중 위험도 낮아진다고 한다. 특히 느리게 걸으면 명상 효과도 있어 남녀노소가 즐기는 운동이라고 한다.

하지만 기사 첫머리의 ‘배낭을 맨’은 바르지 않은 표기이다. 이때는 ‘메’는 것이 바른 표기이다(사실 이 문장은 꾸미는 말을 중첩하여 써 비문이 되었다. 이것도 바로 잡아야 한다.). 두 단어의 차이를 사전을 통해 검색하면,

‘매다’는
1.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 신발 끈을 매다. 옷고름을 매다.
2. 끈이나 줄 따위로 꿰매거나 동이거나 하여 무엇을 만들다.
- 붓을 매다. 책을 매다.
3. 끈이나 줄 따위를 몸에 두르거나 감아 잘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 전대를 허리에 매다. 대님을 발목에 매다
4. 달아나지 못하도록 고정된 것에 끈이나 줄 따위로 잇대어 묶다.
- 소를 말뚝에 매다. 죄인을 형틀에 매다.
5. 끈이나 줄 따위로 어떤 물체를 가로 걸거나 드리우다.
- 나무에 그네를 매다. 빨랫줄을 처마 밑에 매다.
6. (주로 ‘목’을 목적어로 하여) 어떤 데에서 떠나지 못하고 딸리어 있다.
- 그 일에 목을 매고 있는지 일 년이 넘는다.

‘메다’
1.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 어깨에 배낭을 메다.
2.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
- 젊은이는 나라의 장래를 메고 나갈 사람이다.

이렇게 보면 ‘넥타이는 목에 매야 하고, 배낭은 어깨에 메야 한다’는 둘의 구분을 쉽게 한다면, ‘메다’는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 사용한다. 반면 ‘매다’는 끈이나 줄 따위를 이용한다고 기억하면 된다.



일간 신문에 이러한 오류가 있다는 사실에 놀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도 그렇게 놀랄 일이 아니다. 이러한 실수는 다른 매체에서도 자주 본다.

○ 15㎏이 넘는 배낭을 매고 하루 평균 30㎞ 이상을 걷는 강행군이었지만, 그와 함께하며 힘을 보탠 사람들이 있어 외롭지 않았습니다.(연합뉴스, 2010년 3월 23일)

○ 이날 총 두 자루를 어깨에 매고 궁궐을 습격한 업복이는 대길 못지않은 몸놀림으로 군관들의 활과 칼을 피해 순식간에 좌의정 이경식과 마주했다.(리뷰스타, 2010년 3월 26일)

○ 6일 중국 언론들은 유명 명품 브랜드 L사의 가방을 어깨에 매고 구걸에 나선 이유는 “이름을 알리려는 것”이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매일경제, 2010년 4월 6일)

참고로 위와 달리 ‘메다’가 자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이때 ‘메다’는 ‘뚫려 있거나 비어 있던 곳이 묻히거나 막히다’라는 의미이다. 이는 ‘하수도 구멍이 메다. 웅덩이가 메다’ 처럼 비어 있는 공간이 본의 아니게 막히는 상황에 쓰인다. 또 이 단어는 ‘어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을 때’도 많이 쓴다. 즉 ‘나는 기뻐서 목이 메었다. 그는 가슴이 메어 다음 말을 잇지 못했다’라고 한다.

그리고 이 ‘메다’의 사동사로 ‘메우다’가 있다. 이는 ‘구덩이를 메우다. 빈칸을 메우다. 원고지를 메우는 일은 고된 작업이다’처럼, ‘어떤 장소에 가득 차다’라는 의미로 쓴다. 그런데 이 ‘메우다’를 ‘메꾸다’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 손해를 안 끼치게 하기 위해서 마이너스를 메꾸다 보니까 커진 일이죠.(mbc 뉴스, 2009년 7월 18일)

○ 단순히 원고지를 메꾸는 것도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하물며 읽는 사람을 흡인력 있게 끌어들이면서 설득하는 글을 쓴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강미은 저, ‘통하고 싶은가’ 본문 p. 49)

○ 시장 변화를 한 발도 아닌 반발만 앞서 읽고 있어야할 마케터의 역할과 임무를 빈 원고지 메꾸는 일로 대신하고 있다는 점이 위안에 속할 수 있다면 불행 중 다행일 것이다.(임은모 저, ‘짐 클라크의 수익모델 엿보기’ 본문 p. 256)

여기에 ‘메꾸다’는 모두 ‘메우다’라고 해야 한다. ‘메꾸다’는 사전에 없는 말이다. 과감히 버려야 한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