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수능 70% 출제' 공교육 망친다

2010.06.09 09:32:00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첫 번째 모의평가가 10일 치러진다. 고3 수험생뿐만 아니라 학부모 그리고 교사들까지 긴장감 속에서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한 해 두 번 치러지는 모의평가는 수능의 바로미터라 할 만큼 무척 중요하다. 영역별 난이도는 물론이고 출제 흐름까지도 예측할 수 있어 일선 학교에서는 막바지 수능 대비 자료로 요긴하게 쓰이고 있다.

그런데 올해는 이런 자료도 크게 의미가 없을 듯 싶다. 왜냐하면 오로지 한 가지에만 올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3월에 교과부장관은 물론이고 대통령까지 나서서 교육방송(EBS) 수능 강의와 교재를 수능시험에 70% 이상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첫 번째 모의평가를 앞둔 지난 4일 교육과정평가원 측은 한 술 더 떴다. 올 수능시험에서는 EBS교재 수리영역의 경우, 숫자만 바꾼 문제를 출제하고 외국어영역에서는 교재에 있는 지문을 그대로 인용한 문제를 3개 이상 출제할 예정이며 이미 6월 모의평가는 이 방식으로 출제했다는 것이다.

굳이 평가원 측의 EBS 밀어주기가 아니더라도 고3 교실은 이미 수능교재가 점령했다. 아이들의 책상에는 교과서 대신 수 십권이 넘는 EBS교재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정규수업, 보충수업 할 것 없이 EBS 교재 일색이다. 아무래도 입시를 목전에 두고 1점이 아쉬운 상황에서 혹시 점수에 보탬이 된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게 고3 학생들이고 또 이를 지도하는 교사들이다.

EBS 수능 강의나 교재를 중심으로 출제하겠다는 교육 당국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한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사교육비 총액은 21조 6000억 원으로 이미 공교육비 예산과 맞먹는 수준이다. 과외나 학원 등에 쏟아붓는 엄청난 비용을 낮추고 사교육비에 짓눌린 가계(家計)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도 공감한다. 그러나 그 방법이 EBS 수능 강화라는 데는 찬성할 수 없다.

1994학년도에 처음 시행된 수능은 암기식, 주입식 교육의 폐단을 극복하고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수능이 도입되면서 독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토론식 수업으로 변화하는 등 긍정적인 면도 있었다. 그러나 수능도 사교육의 영향권에 들면서 점차 도입 목적이 퇴색하고 결국 치열한 점수따기 경쟁으로 전락했다.

그나마 꺼질듯 남아있던 창의적 교육에 대한 불씨마저도 올해 들어서는 완전히 잦아들고 말았다. EBS 강의나 교재에서 70%를 내겠다고 했으니 책을 읽히고 토론을 시킬 명분이 사라진 것이다. 일부 아이들 가운데는 정규수업 시간에도 선생님의 눈을 피해 PMP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해 수능강의를 보거나 수업용 교재와는 다른 수능교재를 숨겨놓고 공부하는 사례도 있다. 이런 아이들에게 따끔하게 훈계를 하면 선생님이 제 점수 책임져 줄 거냐고 따지는 데는 달리 할말이 없다.

더 우려가 되는 것은 EBS 교재를 공부하더라도 그 내용을 이해하면 좋겠지만 아예 답을 외우는 식으로 공부하는 아이들도 있다. 이미 수능 도입 전에 경험했던 주입식 교육의 폐단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7차 교육과정의 핵심 목표인 창의적 사고 능력의 배양은 이제 구호만 남아 메아리치고 있다. 점수 경쟁에서 벗어나 개인의 소질과 잠재적 능력을 중시하겠다던 입학사정관제마저 EBS 강의와 교재에 묻혀 아이들의 관심에서 벗어난지 오래다.

수능을 담보로 한 EBS 밀어주기가 사교육비를 낮추는 데는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공교육은 EBS에 치여 고사 직전까지 내몰리고 있다. 수업은 파행으로 치닫고 학생들은 오로지 EBS에 모든 것을 걸고 있다.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EBS 강의와 교재를 요약해주는 사교육 업체의 인터넷 강의가 인기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다. 교육 당국은 행여 다리에 난 종기를 고치려다 온몸을 탈나게 하는 것은 아닌지 지금이라도 꼽씹어 보기 바란다.
최진규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