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국어 공부 어떻게 해요”②

2010.08.02 08:44:00

학생 : 이번에는 영역별로 국어 공부 방법을 여쭤보고자 합니다. 먼저 문학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선생님: 학생들은 조급하기 때문에 눈앞에 결과에 연연해합니다. 그러다보니 무턱대고 문제집을 푸는 학습법에 매달려 있습니다. 사실 문학 작품은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어떤 작품이 나올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런 가운데 문제집만 풀어보면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선생님은 그것보다 개념에 충실한 방법을 권합니다. 예를 들어 문학 공부는 먼저 문학의 각 장르의 특징을 공부해야 합니다. 즉, 시·소설 그리고 희곡과 수필이라는 장르가 어떤 미적 질서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학적 법칙을 사용해 만들어낸 텍스트가 어떤 형식과 내용으로 완성되는지 살펴야 합니다.

이러한 공부가 전제되면 작품을 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작품을 통해 작가가 독자에게 어떻게 말을 거는지 짚어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가와 대화를 통해 의미망에 접근해야 문제를 쉽게 풀 수 있고, 이러한 훈련이 되면 어느 작품이든지 만나면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이런 작업 없이 작품을 작게 쪼개고 분석하는 학습만 하면 다음 단계로 성장 발전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면 낯선 작품을 만나면 안 배워서 모른다고 하게 되지요. 실력도 늘지 않고 머물게 됩니다.

학생 : 문학 중에서도 특히 고전문학은 더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고전문학은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하는지 도아주세요.
선생님 : 일부에서 고전문학은 외울 수밖에 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실제로 과거에는 외우는 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그 많은 고전작품을 외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앞에서 문학 공부 방법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고전문학도 먼저 공부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시대 변천에 따른 문학 장르의 특성에 대해서 먼저 공부해야 합니다. 우선 운문은 향가, 고려가요, 시조와 가사로 이어지는 각 장르의 형식상 특징과 내용상의 특징을 정리해서 머릿속에 완벽하게 담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산문도 마찬가집니다. 고전소설의 전형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것은 먼저 공부하고 세부 작품을 읽으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이러한 학습이 전제되어 있으면 공부하기가 편해집니다. 학습 효과도 훨씬 빠르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고전문학은 원문에 치중하다보니 어렵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고전문학은 원문보다는 현대어 풀이에 비중을 두고 공부하세요. 현대어로 풀어서 그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 포인트입니다. 고전 문학 문제는 내용만 알아도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이 나옵니다. 그런 의미에서 고전 문학은 현대 문학에 비해서 오히려 점수를 쉽게 딸 수 있는 영역입니다.

학생 : 소설이나 수필과 다르게 시는 함축적인 의미 때문에 공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선생님 : 시가 어려우니까 시 공부를 하면서 정형화된 해석을 외우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시의 해설을 외운다 하더라도 수능에서 똑같은 시를 보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시를 이해하는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시도 언어로 이루어져 있는 텍스트입니다. 단지 언어가 다듬어져있고 상징적으로 표현되었을 뿐입니다. 특히 시란 원래 모호성을 특징으로 한 것입니다. 따라서 일단 시를 접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시의 전문을 꼼꼼히 읽어서 어떤 내용인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음악도 처음 듣게 되면 부분적인 것에 신경을 안 씁니다. 전체적인 느낌을 중요시 합니다. 마찬가집니다. 시도 부분적인 것에 집착하지 말고 전체적인 느낌을 먼저 정리합니다. 그리고 시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자꾸 읽다보면 시에 대한 구체적인 부분까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는 머리로 이해하려고 하는 것보다 가슴으로 읽어야 합니다. 가슴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은 시인과 호흡을 같이 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학생 : 마지막으로 국어 공부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선생님 : 개인에 따라서 선호하거나 능률적인 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저는 국어사전을 적극 활용하는 학습 방법을 권합니다. 우리는 영어 공부를 하면 영어 사전부터 찾습니다. 마찬가지로 국어공부도 국어사전이 첫걸음입니다. 흔히 영어 실력은 어휘력이라고 하는데, 국어도 똑같습니다. 어휘력이 풍부하면 이해력이 높습니다. 어휘력을 높이는 방법은 많은 글을 읽어야 하겠지만, 사전 활용이 핵심입니다.

참고로 사전은 전자사전보다 책으로 만들어진 사전이 좋습니다. 전자사전은 자판을 두드려 원하는 단어만을 확인하게 됩니다. 반면 책으로 만들어진 사전은 찾고 있는 단어뿐만 아니라 연관성이 있는 어휘를 폭넓게 보게 되어 학습의 양과 효과도 커집니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독서 경험입니다. 문학 작품 및 좋은 글은 언어의 정수입니다. 모범적인 문장을 많이 읽는 것은 언어 능력을 극대화합니다. 실제로 선생님이 공부할 때도 학생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 읽기는 모든 공부에 우선이었습니다. 여러분도 목표를 세워보고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1930년대 한국 단편 문학 읽기, 현대소설 50편 읽기 등. 목표가 있으면 삶이 즐거워집니다. 앞에서도 비슷한 말씀을 드렸지만 국어는 공부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가 하면 국어는 단기간에 성적을 올리기 어려운 과목이기 때문에 차라리 포기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큰 오산입니다. 우리말이기 때문에 더 자세한 내용까지 알아야하고, 우리말이기 때문에 또 공부를 하면 쉽게 성적이 오릅니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