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 프로그램 자막 오류도 지적했어야

2010.08.04 16:37:00

지난달 28일 방송3사 예능 프로그램의 비속어와 인격 모독 표현이 심각하다고 국립국어원이 지적했다. 이날 국립국어원이 배포한 보도 자료에 의하면, 지난 한 달 동안(6월) 방송된 MBC ‘무한도전’, KBS 2TV ‘1박2일’, SBS ‘패밀리가 떴다2’를 모니터한 결과 개선 여지가 상당하다고 발표했다.

국립국어원은 대사 436건, 자막 408건을 분석했으며, 저품격 방송언어 사용 횟수는 총 844건으로 나왔다고 지적했다. 그 중 비속어가 39%로 가장 많았고, 인격 모독 표현이 26%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인격 모독 표현의 68%가 상대방의 외모를 비하하는 것이었다. 방송별로는 ‘무한도전’이 423건, ‘패밀리가 떴다2’가 281건, ‘1박 2일’이 140건으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에서 프로그램별 개선 필요 사례를 제시한 것을 보면,

1. 1박 2일(KBS-2TV)
◎ 비속어
ㅇ (대사) 갈 때까지 고생해서 뽕을 빼야 합니다(→ 끝까지~ 끝을 봐야 합니다.).
ㅇ (대사) 나 몰라라 쌩까면 어떡하라는 거예요(→ 나 몰라라 하면 어떡하라는).
ㅇ (자막) 멍충아!(→ 삭제)
◎ 인격 모독 표현
ㅇ 외모: (대사) 김선생이 제일 배고프게 생겼으니까
ㅇ 외모: (자막) (자전거 타는 몽 설명)서커스 원숭이
ㅇ 외모: (자막) (MC몽을 설명)비빔밥과 수육 같이 먹는 잡식 원숭이

2. 무한도전(MBC)
◎ 비속어
ㅇ (대사) 날로 먹으려고 하면 안 되지(→ 힘 안들이고 차지하려고~).
ㅇ (대사) 남 찍는 데 와 가지고 꼽사리를 끼어(→ ~끼어들어).
ㅇ (대사) 야, 넌 인제 안 꽂아 줘!(→ 야, 넌 인제 안 불러 줘!)
◎ 인격모독 표현
ㅇ 외모: (대사) (유재석 얼굴을 보고)눈이 파리처럼 나왔어요.
ㅇ 외모: (자막) (노홍철에게 민머리인 길 머리를 안고 사진 찍으라며) 완벽한 새알
ㅇ 외모: (대사) (변신한 정형돈을 보고)그물에 걸린 복어 아니에요.

3. 패밀리가 떴다 2(SBS)
◎ 비속어
ㅇ (자막) 깝의 대명사 조권!(→ 방정의 대명사 조권!)
ㅇ (대사) 와, 진짜 나쁜 놈이다, 나쁜 놈(→ 와, 진짜 나쁜 사람이다, 나쁜 사람).
ㅇ (대사) 지금 심심해 뒤지라고 이것들이 지들끼리 떠들고 자빠졌어(→ 지금 심심해하라고 얘들이 지들끼리 떠들고 있어).
◎ 인격모독 표현
ㅇ 외모: (대사) 그지꼴을 하고 웃기잖아.
ㅇ 외모: (대사) 쟤 맨 얼굴 예쁜 것 좀 봐요. 화장을 하면 할머니 같아서 그렇지…
ㅇ 외모: (자막) 뭐야! 이 노비 같은 X는!

이에 대해 ‘무한도전’의 김태호 PD는 인격 모독적인 표현이 많다는 국립국어원의 지적에 대해 조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태호 PD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쪽으로 웃음을 줄 수 있는 장치를 찾겠다며 국립국어원의 지적을 편집에 반영할 뜻을 비쳤다. 기대가 되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번에 아쉬운 점은 국립국어원이 우리말 자막의 오류에 대해서는 지적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금 텔레비전은 영상과 함께 자막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와 더불어 국어정서법에 어긋난 자막이 자주 노출되고 있다. 또 출연자들의 순화되지 않은 언어가 화면상에 자막으로 표현됨으로써 국민의 바른 언어생활을 방해하고 있다.

텔레비전 자막이 홍수를 이루는 만큼 맞춤법 오류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1일자 SBS 방송 예능 버라이어티 ‘일요일이 좋다-영웅호걸’에는 ‘개수(個數)’를 표기를 하면서, ‘갯수’라고 사이시옷 표기를 했다. 이는 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이 필요 없다. 또 ‘소시지(sausage)’를 표기하면서 ‘소세지’라고 했다가 ‘소시지’라고 하는 등 표기에서 일관성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텔레비전의 자막은 원래 출연자 이름 및 약력소개 혹은 정보적 가치가 있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의도와 상관없이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자막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상파 방송 3사 오락프로그램에서 무분별하게 펼쳐지는 자막 표기는 사용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혼란스러울 정도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보도, 교양프로그램 등 다른 장르까지 영향을 끼쳐 이제 자막은 방송에서의 적극적인 표현 수단이 되고 있다.



텔레비전이 우리의 여가 생활에 주요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현실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그와 더불어 방송 언어가 시청자들의 언어생활이나 언어습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방송사 측은 출연자와 프로그램 제작자에게만 책임을 물을 것이 아니다. 방송사가 방송언어를 전문적으로 심의할 전문가 확보와 방송언어의 순화를 위해 자체심의 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또 심의 기준을 위반한 출연자에 대한 제재조치를 강화하고 모든 방송인에게 언어교육을 확대해 나가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방송사는 재미있는 방송, 시청률이 높은 방송을 하기 전에 우리말 표기가 제대로 된 방송을 위해서도 앞장서야 한다. 시청자의 일상적인 언어생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선도해야 할 책임을 갖고 방송언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것은 공익 방송으로서의 국민에게 하는 마지막 봉사이자 자신들이 해야 할 첫 번째 임무이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