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절부절못하다’가 표준어

2010.08.24 16:02:00

우리가 평소 무심코 쓰는 표현 중에 잘못 쓰는 말은 수없이 많다. 그 중에 ‘안절부절하다’라는 단어가 있다. 설마 이 말이 틀린 거야 하겠지만, 분명히 표준어가 아니다. 우선 사전을 검색하면,

‘안절부절’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모양.
- 안절부절 어쩔 줄을 모르다.
- 마음이 내려앉지 않는 듯이 안절부절 윗목 아랫목으로 거닐고 있었다.

‘안절부절못하다’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
- 합격자 발표를 기다리며 안절부절못하다.
- 거짓말이 들통 날까 봐 안절부절못하다.

‘안절부절’은 그 자체로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해 어찌 할 바를 모르는 모양’을 뜻하는 부사다. 부사는 모양을 바꾸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조사 같은 것이 붙지 않고, 활용도 안 한다. 이 부사에서 나온 동사가 ‘안절부절못하다’이다. 그런데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안절부절하다’라는 단어를 쓰고 있다.

○ 검찰 간 팽팽한 신경전이 펼쳐질 것이란 예상과 달리, 한 전 총리 측은 상당히 여유를 보인 반면 검찰은 안절부절하는 모습이 역력했다(시민일보, 2010년 3월 11일).
○ 그런가하면 이날 녹화에 참여한 김숙, 백보람 등은 안절부절 하는 박명수와는 반대로 “축의금을 내길 잘했다.”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는 후문이다(시사서울, 2010년 5월 5일).
○ 첫 방송을 상대 배우 김재욱과 함께 시청한 그녀는 “방송 볼 때 가만히 못 앉아 있고 이곳저곳을 돌아다녔다.”며 “안절부절하는 내 모습을 보고 재욱이 ‘제발 가만히 앉아서 보면 안되냐’고 말하기도 했다.”고 전했다(티브이데일리, 2010년 6월 14일).

앞 예문에 ‘안절부절하다’는 잘못된 말이다. 표준어 규정 제25항에서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이런 이유로 낫우다, 광우리, 팔목시계/팔뚝시계, 구슬사탕은 비표준어이다. 이는 고치다, 광주리, 손목시계, 알사탕이 표준어다.)는 규정이 있다. 이는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이 국어를 풍부하게 하기보다는 혼란을 야기한다는 판단에서 어느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규정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안절부절하다’도 버린 것이다. ‘안절부절하다’는 부정사(否定辭)를 빼고 쓰면서도 의미는 반대가 되지 않고 부정사가 있는 ‘안절부절못하다’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특이한 용법이다. 따라서 ‘안절부절하다’는 오용(誤用)으로 판단되어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이와 비슷한 것이 ‘주책없다’가 있다. 이도 부정 표현이 자연스럽다. 해서 ‘주책이다’를 버렸다.

‘안절부절하다’라는 비표준어를 자주 쓰게 된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오래 전에 그룹 ‘사랑과 평화’의 노래 중에 ‘한 동안 뜸했었지’라는 노래가 있었다. 이 노래를 모두가 흥얼거리던 기억이 있다. 이 노래는 ‘한 동안 뜸했었지. 웬 일인지 궁금했었지. 혹시 맘이 변했을까 안절부절 했었지.’라고 부른다. 결국 이 노래의 마지막 소절이 영향을 준 탓이다.

그리고 또 하나 ‘안절부절하다’를 쓰는 이유는 우리의 언어 습관과 관련이 있다. 우리말은 조어법(造語法)이 발달한 언어에 속한다. 그 중에 가장 생산적인 조어 방식의 하나가 체언 뒤에 접미사 ‘-하다’를 붙이는 법이다. 자주 사용하는 명사 ‘공부, 결혼, 순수, 행복’에 ‘-하다’를 붙이면 동사나 형용사가 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 형용사에 붙어서 ‘외로워하다, 그리워하다’와 같은 동사를 만들기도 한다. 이뿐인가 최근에는 영어에 ‘-하다’를 붙여 ‘컬러풀하다, 시크하다, 모던하다’ 등 정체불명의 단어를 마구 사용한다. 그러다보니 ‘안절부절하다’도 이런 조어법으로 만들어진 단어인 줄 알고 쓰고 있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