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보수' 용어 바로잡기, 교육계가 나서자

2011.01.06 17:08:00

'진보' '보수' 용어 문제 바로잡기에 양동안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가 나섰다. 그는 "'진보 교육감'이란 말은 적절하지도 정확하지도 않은 용어입니다. 사회주의자는 아니지만 사회주의에 기울어져 있으니 '좌경(左傾) 교육감'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맞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좌파 교육감'이라고 한다면 꼭 들어맞는 말은 아니지만 '진보'보다는 훨씬 나은 용어"라고 했다. 반면 이들과는 상반된 입장에서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를 옹호하는 교육감들은 '보수 교육감'이 아닌 '우파(右派) 교육감'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우익 정치학자'인 양동안 교수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보(進步)'와 '보수(保守)'라는 용어가 잘못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좌익에서 지칭하는 '진보'라는 말이 우리 사회에서 마치 객관적인 용어처럼 사용되고 있는 것은 매우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뒤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정확하고 올바른 지적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미 한국교육신문(2007.1.3)에 '언어 의미가 왜곡되면 교육은 망가진다'라는 글을 게재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를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편향적으로 사용하면 언어 자체의 왜곡현상이 일반화되어 사회 전체가 무너진다는 내용으로 학교 현장의 구체적인 예를 들은 바 있다.

이름짓기, 용어 의미 선점하기는 정치권이 정권을 차지하려는데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언어의 힘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큰 힘을 발휘한다. 그래서 정치권에서는 언어의 의미를 왜곡시켜 일반화시키려 한다. 그것이 그들에게는 득표의 수단으로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량한 국민들은 그들의 속셈을 깨닫지 못한다.

좌파 종북주의 단체들이 내세우는 단어들을 보면 정말 그럴 듯하다. 흠잡을 만한 단어는 찾기 힘들다. 모두 좋은 단어이다. 그러나 이들이 사용하는 의미는 우리 보통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단어의 사회적 약속을 벗어난 뜻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자주, 평화, 인권, 복지, 균형발전, 자유, 민주, 민족, 통일…. 그 좋은 말들을 편향세력이 제 멋대로 독점하더니 그 순수 의미를 왜곡시켜 버리고 말았다. 그들은 '자주'라는 말에 '반미' '외세 배격'의 색채를 넣고 '민족끼리'라는 달콤한 말로 국민들을 속이려 한다. '통일'이라는 말에는 '적화통일'과 '평화통일'이 있으나 그들은 '통일'로 위장하고 있다. 

'민족끼리'라는 말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인해 그들의 정체는 드러나고 말았다. 이제 '민족끼리'라는 말로 국민들을 더 이상 속일 수 없게 된 것이다. 지난 선거에서 정당의 승패를 좌우한 '무상급식'도 정확히 말하면 '세금급식'이다. '무상급식' 용어를 선점하며 정치이슈로 등장시킨 것도 그들이다.

우리 사회 이념·가치관 혼란을 바로 잡으려면, 사회 전체가 무너지는 것을 막으려면 우선 국민들 사이에 잘못 통용되는 용어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 '진보·보수 이름 바로 부르기'부터 벌여야 한다.

이번 기회에 언론계에 한 가지 주문하고자 한다. '진보 교육감'이라는 용어 대신 '좌경 교육감'을 쓰자는 것이다. '진보'란 용어로 긍정적 이미지를 주어서는 안 되고 나아가 선거에서 '진보'임을 내세우는 후보들에게 유권자들이 무의식적으로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을 중앙 언론이 앞장 서면 더욱 좋고 그것이 안 될 경우, 한국교육신문이 선두에 서서 진보와 보수 용어 바로잡기에 나섰으면 한다. 용어 바로잡기에 교육계가 앞장서야 한다. 그렇게 하면 우리 사회의 이념 갈등, 가치관 혼란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고 본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