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시대에도 오프라인 만남이 중요

2011.01.12 09:50:00

바야흐로 소셜미디어(Social Media) 시대다. 소셜미디어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부터 경험까지 다양한 정보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과거 미디어와 다르다. 즉 최근 전 세계 젊은이들은 블로그(Blog),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참여형 백과사전(위키피디아·Wiki), 사용자손수제작물(UCC), 마이크로 블로그(Micro Blog) 등 양방향성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에 열광하고 있다.

이 중에 페이스북의 가입자 수는 전 세계 6억 명에 육박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다. 페이스북에 밀리지만 트위터(Twitter)도 세계적인 SNS 서비스다. 트위터는 지역 제한 없이 전 세계 이용자들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거나 친구관계를 맺는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는 데 트위터를 이용한 홍보가 큰 역할을 하면서 유명해지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트위터가 단연 인기다. 트위터는 1백40자 이내의 단문 입력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업데이트에 걸리는 속도가 블로그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글을 올리고 곧바로 사람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트위터를 한다. 더욱 유명인들이 트위터를 통해 대중과 의사소통을 하면서 급속도로 번지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2011년에 더욱 만개할 것으로 전망한다. 우선 이용자가 지금보다 훨씬 급증할 것이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같은 서비스는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하면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트위터를 포함한 소셜미디어는 위험한 측면이 있다. 가장 먼저 정보의 생산, 유통, 수신 과정에서 개인 정보 노출로 사생활 침해 등이 우려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 주민등록번호, 집 주소, 은행 계좌번호 등 민감한 정보까지 유출되어 경제적인 피해까지 예상된다.

언론의 왜곡된 사회 진단도 우려가 된다. 현재 우리 사회는 소셜미디어에 동참하지 않는 인구가 더 많다. 매일 증가하는 소셜미디어 가입자 수는 전체 인구 비례로 볼 때는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언론 매체는 다수가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셜미디어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다보니 필요 없이 소셜미디어에 뛰어들면서 시간 낭비는 물론 경제적 손실까지 보게 된다. 소셜미디어의 접근 자체에 따른 압박감, 정신적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업무의 손실이 따르고, 과도한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소셜미디어 관계는 폐쇄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 문화다.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것으로 신뢰성이 매우 희박하고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많다. 특히 트위터에 공감하는 내용을 사람들의 전체 생각으로 오해하거나 착각해서도 안 된다. 트위터는 선의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공감을 나누는 공간이다. 그리고 그 생각은 일부의 반응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나의 글을 읽고 반응을 하지 않는 침묵하는 다수의 마음을 읽는 것이다.

지금 세대가 디지털 기기를 자유자재로 활용하고 변화와 속도를 즐기며 자신감에 가득 차 있는 모습은 좋은 면도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각종 정보를 얻고 그것을 자신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강력한 힘을 가진 이들은 구세대와 다르게 말 그대로 똑똑한 세대라는 점에서 찬사를 보낸다.

그러나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사람이다. 기계에 의한 삶은 따뜻한 인간관계가 없다. 인간관계는 직접 만나는 오프라인 문화가 더 중요하다. 서로 얼굴을 보고 마음을 나누는 문화가 필요하다. 맹목적인 문화 속으로 빠져 들다가 정작 중요한 문화를 경시하는 스스로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사실 SNS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은 공공장소에서 친구와 수다를 떠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그러면 차라리 얼굴을 보면서 수다를 떠는 것도 생산적이다.

인간관계는 우리 삶의 원천이다. 우리는 거기에서 화합과 공존이라는 삶의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 소셜미디어 내에서의 관계는 기계의 편리성에 의존하는 것이다. 현재 대다수 소셜미디어 운영 형태를 살펴보면, 관계 구축보다는 단순히 참여한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얼굴도 한 번도 안 본 사람과 트위터를 하면서 위안을 삼는 것은 고독을 즐기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겨울날 눈이 내리는 소리도 듣지 못하고 이야기에 빠져 지내던 기억이 떠오른다. 좀 느리고 어디선가 들은 것도 같은 할머니의 옛 이야기는 정겨움이 있다. 이불 속에 언 발을 묻고 밤새도록 듣던 할머니의 이야기도 우리의 마음을 따뜻하게 했다. 그때의 이야기는 세련되지도 않았지만, 그 따뜻함은 홀씨가 되어 지금도 가슴에 그리움으로 자라고 있다. 소셜미디어 시대에도 아주 오래된 미디어가 생각나는 오늘이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