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리포터의 눈에만 보인다?

2011.02.14 09:06:00

리포터는 올해 2월말로 교육경력이 딱 34년이다. 한국교육신문 리포터 경력은 7년차다. 교육자, 리포터라서 그런지 사물과 현상을 보는 시각도 타인과는 다르다. 보통 사람은 무심코 넘어가는 것이 필자의 눈에는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예컨대 얼마 전, 연수 중 수도권 전철을 이용하게 되었다. 전동차 출입문 위에는 지하철 노선도가 붙어 있다. 아마도 승객들이 가장 많이 볼 것이다.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환승역도 알아보고 가장 빠른 길을 살펴보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필자의 눈에 익지 않은 역이름이 발견됐다. '장안평'이 '장한평'으로 표기되어 있었던 것이다. 많고 많은 역이름 중에서 왜 하필 그 글자가 눈에 들어오는지? '나는 장안평으로 알고 있는데…' 언제 바뀌었지?

'장안평'이 맞는지 아니면 '장한평'이 맞는지? 괄호 안에 표기된 영어 스펠링을 보니 'janghanpyeong'이다. 그렇다면 '장한평'이 맞는가? 문득 '퇴고'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어떤 물건이나 작품이 완성되었을 때 담당자는 거기에 나타난 글(문장,  단어)의 잘못된 곳은 없나 한 번 쯤 읽어보았으면 한다. 




얼마 전에는 1호선 서울역에서 한 편의 산문시를 보게 되었다. 그런데 제목과 내용이 맞지 않았다. 제목 '별의 사과'가 낯설게 보였다. 시를 여러 번 읽어보아도 '별의 나라'가 맞는 것이다. 그렇다면 제목이 잘못된 것이다. 그것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귀가하여 '별의 나라'를 검색해 보았다. 허윤정(69) 시인의 작품이다. “별의 나라는 멀리 있는 줄 알았다 / 아득하고 / 더 아득한 그 곳에 / 별의 나라는 멀리 있는 줄 알았다 / 어느 날 / 시간의 뚜껑을 열고 들여다보니 / 연기로 그을린 때 묻고 낮은 천장 / 그 속엔 정다운 사람이 모인 시골집 안방 / 그믐날 저녁이었다 / 진실은 그곳에 진을 치고 / 푸근한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었다 / 설음식 준비하는 고향집 안방 / 거기가 바로 아득한 별의 나라였다”

허 시인은 금아 피천득, 초정 김상옥, 파하 이원섭 선생의 문하생이자 총애를 받던 분이다. 또 '별의 나라'는 산문시가 아니라 자유시다.  그렇다면 서울메트로는 시의 제목뿐 아니라 시의 형식까지 맘대로 바꾼 것이다. 담당자가 원고와 비교하여 한 번만 읽어보았다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다.

또 1호선 서울역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 이것을 유심히 보는 사람은 그 동안 없었을까? 필자는 이 시를 보면서 행복의 무지개를 떠올렸다. 무지개를 찾으러 먼 곳을 찾아헤매었지만 결국엔 찾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와 보니 바로 거기에 행복이 있었다는 이야기다.

교육 리포터의 좋은 점은 주위의 사물을 유심히 보고 또 그것을 교육과 연관시키고 잘못된 것은 바로잡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 걸음 나아가 주위의 좋은 것은 본받아 학교 현장에 접목할 수는 없을까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이 때 가방에 넣고 다니는 디지털카메라는 보조도구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카메라는 순간 포착을 할 수 있다. 무심코 지나치는 장면을 기록으로 남길 수 있어 리포터에게는 참으로 유용하다. 기사나 한 편의 글을 쓸 때 사진이 들어가면 사실감을 더할 수 있고 독자들의 관심도를 집중시킬 수 있다.

교육 리포터 활동은 학교 경영에 크게 도움을 준다. 교육에 보탬이 된다. 삶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인생이 보람 있고 활기가 넘친다. 교육 리포터의 눈에만 보이는 사물과 현상, 보통 사람에게도 보이면 우리 나라가 지금보다는 좀 더 살기좋은 나라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하는 생각도 든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