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하는 아이들, 어찌할까?

2011.06.15 09:36:00

우리나라 청소년 95%가 욕하는 현실

초·중·고생 1260명 조사 결과, 응답자 80% "초등학교 때 욕설 배운다"는 기사(한겨레 2011.6.6)를 보고 정말 놀랐습니다.10명 중 8명이 초등학교 때 처음 욕설을 배웠고 초등학교 저학년 때라는 응답도 22.1%나 되어서 깜짝 놀랐습니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처럼 욕하는 버릇도 일찍 잡아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바른생활 시간에 설문지를 내어서 조사를 해 보기로 했습니다.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은 아홉 살짜리 2학년 아이들이라 착하고 순진해서 깜짝 놀라게 하는 시어를 달고 사는 아이들이입니다. 창의성도 뛰어나고 규칙을 지키거나 원칙을 준수하는 태도가 어느 학년보다 좋아서 선호하는 학년이기도 합니다. 기초부터 다잡아 주어야 할 것들은 많지만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스펀지 같기 때문에 교육자로서 느끼는 보람이 큽니다. 바꾸어 말하면 아직은 자아정체성이 덜 성숙하고 사춘기에 이르지 않아서 매우 순수하므로 사랑스럽고 예쁜 시기입니다. 

우리 반 아이들도 그렇게 욕을 할까 싶어서 조사해 보고 싶었습니다. 한발 더 나아가서 왕따를 미리 예방하자는 차원에서 아래와 같은 설문지를 직접 작성하여 조사해 보았습니다.

2011년 6월 14일 화요일 2학년 이름 (      )

친구랑 사이좋게 지내요

* 선생님은 우리 반 친구들이 서로 사이좋게 지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여러분의 생각을 알고 싶습니다. 다음 질문에 솔직하게 답을 해 주면 참 고맙겠습니다. 누가 누구를 썼는지는 절대 밝히지 않으니 안심하고 쓰기 바랍니다.

1. 우리 반에서 나랑 놀지 못하게 하는 친구가 있나요?
어떤 친구가 (                ) 무슨 일로 (                        )
언제 그랬나요? (                                                    )

2. 다른 친구랑 놀지 말라고 하는 친구가 있었나요?
어떤 친구가 그랬나요? (             )
무슨 일로 그랬나요? (                                        )

3. 우리 반 친구가 다른 친구를 괴롭히는 것을 본 적 있나요?
어떤 친구가 그랬나요? (    )
그때 나는 어떻게 했나요?(                        )

4. 신문을 보니 요즈음 친구들은 욕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우리 반에서 욕을 하는 친구를 본 적 있나요?
  (      ) 있다면 어떤 친구가 욕을 하나요? (                  )

5. 나는 다른 사람에게 욕을 한 적 있나요? 다음 중에서 고르세요. (  )

1) 가끔 한다 . 2) 전혀 안 한다. 3) 자주 한다.  4)날마다 한다.

6학년을 가르칠 때는 쉬는 시간이나 운동장에서, 복도나 화장실에서 아이들이 욕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어서 그때마다 지적해 주고 상담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면서부터는 욕하는 아이들 때문에 마음을 상해 본 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담임 선생님이 있는 곳에서는 싸우거나 욕하는 아이들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며칠 전 신문을 보고 저학년 아이들도 욕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입니다.

조사 결과는 정말 우려할 만큼 심각했습니다.

내가 보이지 않는 보육교실이나 통학 버스, 운동장에서 자기들 끼리 놀 때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입니다. 철저하게 이름을 밝히지 않을 테니 마음 놓고 쓰도록 하고 나쁜 일을 방지하고자 조사하는 거라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이 든 아이들은 조사용지를 가리고, 한참을 머뭇거렸습니다. 그런 행동은 쓰고 싶은 내용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되어서 차분하게 시간을 주고 널찍이 떨어져서 쓰게 했습니다. 그 결과를 보면,

1번과 2번 항목에서는 50% 이상의 아이들이 이름을 썼고, 특히 거명된 아이들이 학급에서 착하고 공부 잘한다고 칭찬 받는 아이들이어서 매우 놀랐습니다. 어찌 보면 담임 선생님이라는 '강자' 앞에서는 철저히 자신을 포장하고 참았다는 뜻으로 해석되었습니다.

다른 친구를 괴롭히는 것을 보고도 가만히 있었다는 대답이 훨씬 많았습니다. 이유를 묻고 말린다는 비율이 더 낮았습니다. 마지막 문항인 욕하는 태도에 대한 답변으로는 50%가 전혀 안 한다고 해서 참 다행이었고 가끔 한다는 아이가 20%였습니다.

학교 교육의 지향점이 전인 교육이라고 전제했을 때 다른 사람을 괴롭히고 욕하는 태도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입니다. 욕하는 아이들이 많은 슬픈 현실은 곧 어른들의 모습을 반영하는 결과이기에 부끄러움이 앞섰습니다. 자신의 분노를 욕으로 표출하여 거칠게 보임으로써 강자처럼 보여서, 상대방을 이길 수 있다는 생각일 수도 있고, 각종 매체나 가정 환경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으니 모두 다 어른들에게 배운 결과입니다.

"선생님, 우리 아버지도 욕하는 데요?"
"선생님, 우리 형도 욕하고 선배들도 욕해요."
"우리 할머니도 화가 나시면 막 욕하는 데요?"

"그래요? 욕하는 게 나쁜 일인 줄 알면 부모님이나 친구들이 욕해도 욕을 배우지 않아야 정말로 훌륭한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착한 마음, 양심이 발달한 사람이랍니다. 욕을 하고 싶어도 하지 않고 참는 사람은 최고로 강한 사람이고, 꾸중을 들으니까, 흉 볼까봐 안 하는 사람은 중간, 남들이 싫어해도 참지 못하고 욕하는 사람은 가장 낮고 약한 사람이랍니다. 여러분은 모두 중간이나 '하'가 아닌 최고로 높은 '상'이 될 수 있지요?"

"예, 선생님!"
"약속했습니다. 2학년 1반 친구들은 모두 최고로 훌륭한 사람이 된다고! 앞으로 일주일 뒤에 다시 조사할 때는 여러분의 이름이 한 사람도 나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인터넷의 악성 댓글로 많은 사람들이 상처를 이기지 못하여 자살하고 괴로워하는 모습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닙니다. 예로부터 우리 문화는 유교적인 환경의 지배를 받고 살아서 참아야 한다는 강박 관념이 많이 지배해 온 것이 사실입니다. 부모에게 따지거나 상사에게 따질 수 있는 문화가 아니었습니다. 심지어는 억울해도 참으면 나중에 진실이 밝혀진다며 참으라고 했습니다. 대화가 아닌 순종과 겸손이 미덕이었고 토론보다는 뒷 담화가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풍토 속에서 자신을 보호하는 방편으로 욕을 하기도 하고 익명으로 다른 사람을 비방하는 모습이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 활개를 치고 있는 것입니다. 출퇴근 할 때 중, 고등학교 앞을 지나다보면 정말 걱정되는 모습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교실에서 신는 슬리퍼를 질질 끌고 등교하는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서 악을 지르며 이야기하는 모습, 친구를 부르는 소리는 거의 욕의 수준인 모습, 대낮에도 가까운 아파트의 계단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남녀 학생이 껴안는 모습 등. 걱정을 넘어 한숨이 나올 지경입니다. 허벅지가 다 드러난 채 엉덩이가 꽉 낀 짧은 교복 치마에 화장까지 한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니 말입니다.

옷 입거나 욕을 하는 겉모습은 곧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것이고 말은 곧 그 사람의 인격을 가늠하는 잣대라고 생각합니다. 학생인지 성인인지 분간할 수 없는 복장으로 함부로 내뱉는 언어 폭력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넘쳐나는 현실을 어찌할까요?

가정에서부터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 가르쳐야

이제는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함을 생각합니다. 가정에서부터 대화의 소중함을 생각하고 가부장적인 가족 문화를 개선하여 불만을 이야기하고 토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중요한 문제는 가족끼리 회의를 하거나 주기적으로 가족간에 편지를 쓰는 방법도 좋으리라고 봅니다.

학교에서는 자치 활동, 토론 문화 조성해야

학교에서도 학급이나 학교의 문제를 민주적인 절차를 소중히 하는 학급 회의나 학생회가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오로지 교과 교육 중심, 입시 교육 중심으로 기울다 보니 학생들의 자율적인 자치 활동이나 의사소통의 기회가 줄어들거나 아예 없어져서 선생님이나 학교 측과 소통이 막혀 버린 현실을 개선해야 합니다. 출구를 막아놓고 일탈만 문제 삼는 것은 문제만 더 키울 뿐입니다.

자녀의 아픔과 불만을 들어주는 부모님,학생들이 가진 불만과 의견을 들어주는 선생님, 선생님의 입장을 전달하고 토론할 수 있는 열린 분위기가 되어야 합니다. 학력만을 부르짖는 일방통행식 교실문화에서 터져 나오는 불만으로 선생님과 다투는 모습은 선생님과 학생 모두 피해자입니다.

욕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은 곧 욕하는 어른들이 많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다 같이 행복할 수 없고 다 같이 좋은 대학, 등록금 걱정 없이 공부할 수 있는 풍토와는 먼 이 나라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되었다는 게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이 모든 것이 하루 아침에 해결될 수 없는 끝을 알 수 없는 블랙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서 있는 교실 한 구석에서부터 한 명의 아이만이라도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과 시간을 만들어야 함을 깊이 생각합니다.
장옥순 담양금성초/쉽게 살까, 오래 살까 외 8권 출간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